검색 상세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바디 모션 데이터 시각화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sualization Method of Body Motion Data in Architecture Digital Technology

초록/요약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을 통해 확장된 신체 영역의 바디 모션 데이터를 활용하여 건축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신체 중심의 유기적 형태의 공간 생성의 디자인 방법 도구로써 활용되기 위한 데이터 시각화 방법의 제안을 목표로 한다. 건축에서의 바디 모션, 즉 신체의 움직임에 대한 인식은 다양한 사회문화적 배경들과 밀접하게 연관된 체험적이고 감각적인 수단 및 유동적이고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개념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인식은 디지털 기술과 접목되어 신체 움직임에 직간접적으로 상호 반응하는 실험적이고 혁신적인 디자인 프로젝트들이 시도되고 있다. 현대 건축에서 인간의 신체는 감각과 행동의 주체로서 건축 공간 설계 및 예술 분야에 능동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디지털 기술과 미디어의 발달은 신체가 가지는 감각 영역의 한계를 확장시켜 다양한 방식의 감각적, 지각적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신체의 자세와 움직임은 디지털 센서 기술이 접목된 미디어를 통해 실시간으로 시각, 촉각, 청각, 공감각 등의 다양한 감각의 방식으로 표현됨으로써 공간과 신체 사이의 양방향 소통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신체 영역의 확장을 통한 건축 공간의 구성과 그 형태는 단순히 내부와 외부를 구분 짓는 정형적인 바닥, 벽, 천장과 같은 경계가 아닌 개인의 지각과 체험을 증강시키고 신체와 능동적, 유동적인 상호 관계를 갖는 현대 건축 공간 구축 방식의 핵심 요소라고 볼 수 있다. 디지털 기술의 도입은 가상이라는 공간 속에서 신체 영역의 물리적 제한을 사라지게 함과 동시에 모션 캡쳐 기술을 통해 도출된 바디 모션 데이터를 3차원의 시각적 이미지로 표현하는 수단을 제공해준다. 이러한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신체 움직임의 디지털 데이터화는 기존의 모듈 기반의 정형적 건축 공간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주었고, 육면체의 정형적 공간 형태에 정해진 건축 프로그램을 대입시키는 설계 방식이 아닌 공간 내부에서의 신체 활동을 중심으로 건축 프로그램이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설계 방식의 관점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바디 모션 데이터로부터 신체 움직임의 물리적 운동량에 근거하여, 신체와 상호작용하는 유기적 공간 형태 생성에 필요한 바디 모션 데이터의 시각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안된 바디 모션 데이터 시각화 방법을 통해 실제 건축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정량적 수치에 따라 신체 움직임에 상호 반응하는 공간 형태 생성, 유형화 및 체계화 과정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써의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data visualization method to utilize body motion data in extended body areas through digital technology as a design method tool for creating body-centered organic space forms in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Body motion in architecture, that is, the perception of body movement, has changed into an experiential and sensuous means closely related to various social cultural backgrounds and a continuously changing concept. This perception is combined with digital technology, and experimental and innovative design projects that directly or indirectly respond to body movements are being attempted. In modern architecture, the human body is actively used in the field of architectural space design and art as the subject of sensation and action.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media expands the limitations of the sensory area of the body, enabling sensory and perceptual experiences in various ways. The body's posture and movement are expressed in various ways of senses such as sight, touch, hearing, and synesthesia in real time through media incorporating digital sensor technology, enabling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space and body. Through this expansion of the body area, the composition and shape of the architectural space can be seen as a key element that enhances individual perception and experience, not just the boundaries that separate the inside from the outside. The introduction of digital technology eliminates the physical limitations of the body area in a virtual space and provides a means to express body motion data derived through motion capture technology as a three-dimensional visual image.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digital dataization of body movements provided a new perspective on the existing module-based architectural space, and proposed the way of space form design based on the flexible architectural programcentered on physical activities inside the space, not the design method of injecting the fixed architectural program into the formal space shaped in hexahedr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visualization method of body motion data which is necessary for creating organic spatial forms, interacting with the body based on the physical momentum of body movement from body motion data. Through the proposed data visualization method of body motion, we aim to provide the basis for the process of creating, categorizing, and organizing organic spatial shapes that interact with body movements according to quantitative figures derived from body motion data in the actual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more

목차

1.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2

2. 디지털 기술과 신체 5
2.1. 건축에서 신체 의미의 변화 5
2.2. 디지털 기술과 접목된 신체의 확장 7
2.2.1. 신체의 확장과 유기적 건축 7
2.2.2. 신체의 확장과 반응형 미디어 건축 9
2.2.3. 신체의 확장과 반응형 키네틱(Kinetic) 건축 10
2.2.4. 신체의 확장과 VR(Virtual Reality) 건축 12
2.3. 소결 14

3. 바디 모션 데이터의 활용 16
3.1. 모션 캡쳐와 바디 모션 데이터 16
3.2. 바디 모션 데이터의 활용 특성 18
3.2.1. 신체 구성 요소의 연속적 움직임 18
3.2.2. 신체 영역의 연속적 물리적 경계 20
3.2.3. 신체의 연속적 이동 동선 22
3.3. 소결 24

4. 바디 모션 데이터의 시각화 26
4.1. 데이터 시각화와 바디 모션 26
4.2. 바디 모션 데이터의 유형 28
4.3. 정적 상태의 바디 모션 데이터 시각화 30
4.3.1. 데이터 해석 30
4.3.2. 조절 인자 도출 31
4.3.3. 조절 인자 활용 33
4.3.4. 시각화 39
4.4. 동적 상태의 바디 모션 데이터 시각화 42
4.4.1. 데이터 해석 42
4.4.2. 조절 인자 도출 43
4.4.3. 조절 인자 활용 46
4.4.4. 시각화 53
4.4.5. 시각화 유형 종합 61
4.5. 종합 및 소결 63

5. 결론 65

6. 참고문헌 6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