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개인의 목표지향과 리더십발휘동기의 관계에서 팀 개인주의와 팀 권력거리의 조절효과 분석

초록/요약

최근 들어 '리더 포비아'라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로 리더 기피 현상, 리더십발휘동기의 저하 현상이 사회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기업 경영에서 훌륭한 리더의 선발과 양성이 끼치는 영향력이 대단히 중요한 만큼, 이 문제는 대단히 큰 심각성을 내포하고 있다. 기업 현장에서 해당 문제는 이미 상당히 확산되어 있으나, 아직까지 학술적인 연구는 부족하여 체계적인 이해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리더십발휘동기에 영향을 주는 선행변수로 개인의 목표지향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 관계를 조절하는 상황적 요인으로 팀 개인주의와 팀 권력거리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중요한 동기 이론 중 하나인 Vroom의 기대 이론을 근거 이론으로 하고 있다. 기대 이론을 통해 리더십발휘동기가 작용하는 과정을 이해하고 선행변수와 조절변수와의 관계를 예측하였다. 리더십발휘동기의 선행연구들은 주로 선행변수, 그 마저도 개인 수준의 선행변수에 대한 연구로 국한되어 있다. 그리고 선행연구들은 리더십발휘동기를 보다 정교하고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상황적 요인, 그리고 매개변수와 조절변수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풍부하게 이루어 져야 한다고 제언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제언에 따라 목표지향과 리더십발휘동기의 관계에서 팀 수준 변수인 팀 개인주의와 팀 권력거리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개인 수준의 변수와 팀 수준의 변수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개인이 속한 팀을 구분할 수 있도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43개팀, 222명의 자료가 통계분석에 사용되었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리더십발휘동기와 독립변수 관계를 분석한 결과로는 학습목표지향은 정(+)적인 유의한 관계를, 성과회피 목표지향은 부(-)적인 유의한 관계가 나타났으며, 성과접근 목표지향은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조절효과 분석 결과로는 팀 개인주의는 리더십발휘동기와 학습목표지향의 정(+)적인 관계를 완화시키는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반면에 예측한 가설과 달리, 팀 개인주의는 리더십발휘동기와 성과회피 목표지향의 부(-)적인 관계 역시 완화시키는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반면, 팀 권력거리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입증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기대 이론에 근거하여 그 동안 연구되지 않았던 리더십발휘동기의 선행변수, 조절변수와의 유의한 관계를 입증함으로써, 리더십발휘동기 연구를 이론적으로 확장하는 기여를 하였다. 그리고 최근의 사회 현상을 시의성있게 연구하고, 이를 통해 기업의 입장에서 훌륭한 리더를 선발하고 양성함에 있어서 개인의 목표지향과 팀의 조직문화를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환기함으로써 실무적으로 기여하였다. 그러나 자료수집을 1개 기업에서 진행하여 표본의 대표성에 문제가 있고, 한 번의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함으로써 동일방법편의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는 등의 한계점들이 존재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상에서 언급한 한계점을 보완하여 리더십발휘동기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실무적 접근이 보다 깊이 있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more

목차

제 1 장 서론 1
제 1 절 문제제기 1
제 2 절 연구목적 및 연구과제 3
제 3 절 논문의 구성 5
제 2 장 이론적 배경 7
제 1 절 리더십발휘동기 7
제 2 절 기대 이론 10
제 3 절 목표지향 11
제 4 절 팀 개인주의 13
제 5 절 텀 권력거리 15
제 3 장 연구모형 및 가설 16
제 1 절 연구모형의 설정 16
제 2 절 연구가설 18
제 4 장 연구 방법 23
제 1 절 연구 설계 23
제 2 절 연구표본 및 자료수집 23
제 3 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26
제 4 절 자료 분석 방법 30
제 5 장 연구결과 32
제 1 절 기초분석 32
제 2 절 가설검증 34
제 3 절 추가 분석 47
제 4 절 분석결과의 요약 55
제 6 장 논의 및 결론 57
제 1 절 논의 57
제 2 절 결론 및 시사점 60
제 3 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과제 63
참고 문헌 6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