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범불안장애 성향 집단에서 정서명명과 인지적 재해석이 부정 정서, 불안 및 심박수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ffect labeling and Cognitive Reappraisal on Negative Emotion, Anxiety and Heart Rate in Individual with Generalized Anxiety Tendency

초록/요약

최근 자신의 정서에 이름을 붙이는 정서명명이 유망한 정서조절기제로 주목받고 있지만 범불안장애 맥락에서 조사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범불안장애 성향이 있는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정서명명과 기존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으로 알려진 인지적 재해석이 부정적인 정서가 유발된 상황에서 심리적 불편감, 상태불안 및 심박수를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지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걱정 수준이 높은 5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서명명, 인지적 재해석, 통제집단 3개의 집단으로 무선할당하여 정서조절과제 전과 후에 심리적 불편감, 상태불안 및 심박수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심리적 불편감의 시점의 주효과가 나타났으며 상태불안의 시점과 집단의 주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명명 집단과 인지적 재해석 집단의 상태불안이 통제집단보다 더 높았다. 그러나 생리적 측정치인 심박수에서는 집단과 시점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 심박수 감소의 처치효과는 정서명명, 인지적 재해석, 통제집단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정서명명이 범불안 성향 집단에서 정서조절에 효과적일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한계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affect labeling that names one's emotions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 promising emotion regulation mechanism, but it has not been investigated in the context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affect labeling and cognitive reappraisal, known as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significantly would reduces psychological discomfort, state anxiety, and heart rate in situations where negative emotions were provoked. To this end, 54 college students with high levels of anxiet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affect labeling, cognitive reappraisal, and control group. And psychological discomfort, state anxiety, and heart rat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motion regulation task.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ain effect of time was found in psychological discomfort, and the main effect of time and group was significant in state anxiety. The state anxiety of the affect labeling and cognitive reappraisal group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the physiological measure of heart rate,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 and time, indicating that the effect size of treatment of heart rate reduction was in the order of affect labeling, cognitive reinterpretation, and control group. The effect size of treatment of heart rate reduction was the greatest in the affect labeling group. Through this, it was suggested that affect labeling could be effective in regulating emotions in the individuals with generalized anxiety tendency.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more

목차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4
1. 범불안장애 4
2. 범불안장애와 정서조절곤란 4
3. 정서명명 8
4. 인지적 재해석 11
5. 선행연구 결과 검토 및 연구의 필요성 13
Ⅲ. 연구 목적 및 가설 16
1. 연구 목적 16
2. 연구 문제 및 가설 17
Ⅳ. 연구 방법 18
1. 연구 대상 18
2. 연구 절차 19
3. 측정 도구 21
4. 과제 개요 23
5. 분석 방법 25
Ⅴ. 연구 결과 27
1. 사전동질성 검증 27
2. 정규성 및 등분산성 검증 28
3. 처치에 따른 정서조절 효과 검증 29
Ⅵ. 논의 37
Ⅶ. 참고문헌 41
Ⅷ. 부록 48
Ⅷ. ABSTRACT 5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