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공익신고 활성화 및 공익신고자 보호제도 강화 : 형법적 관점에서의 개선방안 연구

Promotion of public interest reporting and strengthening of the public interest whistleblower protection system : A study on improvement measures from the perspective of criminal law

초록/요약

공익신고란 국민의 건강과 안전, 환경, 소비자의 이익, 공정한 경쟁 및 이에 준하는 공공의 이익을 침해하는 행위로서 「공익신고자 보호법」 별표의 공익신고 대상 471개 법률의 행정처분이나 벌칙의 대상이 되는 공익침해행위에 대해 신고하는 것을 말한다. 누구든지 공익침해행위가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때에는 이를 시정하기 위해 공익신고 기관에 신고를 할 수 있다. 다만, 공익신고 내용이 거짓이라는 사실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공익신고를 한 경우 및 공익신고와 관련하여 근로관계상의 특혜나 금품 등을 요구하거나 그 밖에 부정한 목적으로 공익신고를 한 경우에는 공익신고로 인정되지 아니한다. 오염물질의 배출, 원산지 허위표시, 부실공사, 무자격자의 의료행위, 불량식품의 제조‧판매, 기업 간 담합 등 국민의 건강과 안전, 자연환경, 공정경쟁 등을 침해하는 공익침해행위는 우리 사회 전체의 신뢰를 훼손하고 중대한 사회적 손실을 야기하여 엄청난 사회적 비용을 발생시킨다. 이처럼 현대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여러 가지 수많은 유형의 공익침해행위는 그 전문성과 복잡성이 뚜렷하고, 그 피해 규모도 커서 사후적 대응으로는 한계가 있는 점으로 볼 때 공익신고가 우리 사회에 갖는 의미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공익신고제도는 행정력이 미치지 못하는 사각지대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익침해행위를 방지함으로써 위법행위 사전 예방 및 효율적 규제의 효과를 이끌어 낸다. 또한 공익신고제도는 기업의 경우에 일시적인 이익이 아니라 기업 이미지 개선 및 경쟁력 강화를 이루어 내도록 도움을 주며, 사회 전체적으로는 궁극적으로 국민의 생명과 신체, 재산을 보호하고 국가질서를 유지하는데 기여하는 역할을 한다. 공익신고는 신고자와 신고대상인 조직의 관계에 따라 크게 외부 공익신고와 내부 공익신고로 구분하게 된다. 외부 공익신고는 일반적으로 조직 구성원 혹은 계약상대방 등과 같이 업무상, 계약상 일정한 관계에 놓여있는 사람이 아닌 조직 외부에 있는 자가 공익침해행위를 인지하고 이를 시정하기 위해 신고하는 행위를 말한다. 이에 반해 내부 공익신고는 조직 구성원 등이 자신이 속한 조직 내에서 발생한 공익침해행위를 인지하게 된 경우 이를 바로잡기 위하여 신고하는 행위로써 조직 스스로가 사전 예방 및 자율적 통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비용 낮고 효과 좋은 효율적 통제수단 이라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공익신고는 사회의 여러 영역에 걸친 다양한 부패행위를 효과적으로 밝혀내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공익신고자 보호제도의 한계점을 알고 그에 대한 해결방안을 연구하는 것은 부패방지 체계를 개선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다. 특히 신고자들이 형사처벌 등에 대한 두려움에서 벗어나 주저없이 공익신고를 할 수 있도록 보완점을 찾아내고 개선하는 일은 공익신고제도의 활성화를 이끌고 동시에 제도의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적인 방안이 될 것이다. 이렇게 공익신고제도의 활성화와 성공 여부는 신고자 보호와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있으므로 공익신고자 보호제도는 끊임없이 보완 및 개선되어야 한다. 현행 「공익신고자 보호법」에서는 공익신고자의 보호를 위해 비밀보장, 불이익조치 금지, 보호조치, 신변보호, 책임감면 등 다양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나 제도의 구체적 운영과 관련하여서는 일부 미비점들도 존재하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신고자 보호는 필연적으로 형법적 요소와 직결되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공익신고자 보호법」에서 규정하는 공익신고자 보호제도의 문제점들을 형법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첫째 「형법」상 비밀누설죄와 공익신고 가치 충돌로 발생하는 위법성 조각의 문제, 둘째 공익신고자에 대한 불이익처분의 입증책임 전환 문제, 셋째 공익침해행위 범죄에 연루된 공범자가 자수를 한 경우 처벌 감면의 문제, 마지막으로는 「공익신고자 보호법」 별표 공익침해행위 대상 법률에 「형법」이 추가될 필요성이 있는지 등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이에 대한 형법적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신고의 행위가 공익신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형법」 제127조 공무상 비밀의 누설 및 제317조 업무상 비밀누설 죄의 위법성 조각 인정을 확실히 할 수 있도록 그 근거를 「공익신고자 보호법」에 명시적으로 규정해 두어야 한다하는 것이다. 둘째, 불이익조치자에게 불이익처분의 입증책임 전환을 확대·강화하기 위하여 현행 「공익신고자 보호법」에서의 입증책임 전환의 입법적 조치로 볼 수 있는 제23조 불이익조치 추정 규정을 개정하여 입증책임 전환이 가능한 경우를 확대해야 한다하는 것이다. 셋째, 공익침해행위 범죄에 연루된 자가 조사 진행 중이 아닌 신고 시점에 자신의 위법행위를 자수한 경우 이에 대한 감면 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책임의 감면을 규정하고 있는 현행 「공익신고자 보호법」 제14조를 보완 개정하는 것인데 별도로 제14조의2를 신설하여 자수자의 경우에는 국민권익위원회가 법원, 징계권자, 행정처분권자에게 감면의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고, 누구든지 신고의사를 밝힌 자에게 자수를 하지 못하도록 압력이나 회유 등을 행사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현행 「공익신고자 보호법」 별표에서 규정하고 있는 공익침해행위 대상 법률 471개에는 「형법」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데, 여기에 「형법」을 추가함으로써 「형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각종 주요 범죄행위에 대한 신고도 공익신고로 인정하도록 해야 한다하는 것이다.

more

초록/요약

Public interest whistleblower is an act that infringes public health and safety, environment, consumer interest, fair competition, and equivalent public interest, and is subject to administrative disposition or penalty under 471 laws subject to public interest whistleblowing in the attached table of the 「Public Interest Whistleblower Protection Act」. It means to report a violation of the public interest. Anyone who becomes aware of the fact that an act of infringing the public interest has occurred or is likely to occur, can report it to the public interest reporting agency to correct it. However, if a public interest report is made despite knowing or ought to have known that the contents of the public interest report are false, in cases where a public interest report is requested for preferential treatment or money or other valuables in labor relations in relation to the public interest report, or if the public interest report is made for other fraudulent purposes It is not recognized as a public interest report. Disruption of pollutants, false indication of country of origin, poor construction, unqualified medical practice, manufacture and sale of unqualified food, collusion between companies, etc. It undermines people's trust and causes significant social losses, resulting in enormous social costs. As such, the numerous types of public interest violations occurring in modern society have clear specialization and complexity, and the scale of the damage is large, so there are limitations in responding ex post. can be said to be large. The public interest whistleblowing system prevents violations of the public interest that may occur in blind spots beyond administrative power, thereby leading to effective prevention of illegal acts and effective regulation. In addition, the public interest whistleblower system helps companies to improve their corporate image and strengthen their competitiveness, not just temporary profits, and ultimately plays a role in protecting the lives, bodies, and property of the people and maintaining national order in society as a whole. do. Public interest whistleblowing is largely divided into external public interest whistleblower and internal public interest whistleblower,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porter and the organization to which the report is being made. External public interest whistleblowing generally refers to an act reported by a person outside the organization who is not in a certain business or contractual relationship, such as an organization member or the other party to a contract, to recognize and correct a violation of the public interest. On the other hand, internal public interest whistleblowing is an act of reporting in order to rectify an act of violation of the public interest that has occurred within the organization to which the organization belongs. It is significant that it is an effective and efficient control method. Since such public interest whistleblow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effectively uncovering various corruptions in various areas of society, knowing the limitations of the public interest whistleblower protection system and studying solutions for it will be the starting point for improving the anti-corruption system. In particular, finding and improving weaknesses so that reporters can file public interest reports without hesitation free from fear of criminal punishment will be a key measure that will lead to the vitalization of the public interest reporting system and at the same time determine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system. As such, the vitalization and success of the public interest whistleblower system is inseparable from the whistleblower protection, so the public interest whistleblower protection system must be constantly supplemented and improved. The current 「Public Interest Whistleblower Protection Act」 operates various systems to protect public interest whistleblowers, such as guaranteeing confidentiality, prohibition of disadvantageous measures, protective measures, personal protection, and exemption from responsibility. to be. In particular, since the protection of whistleblowers is inevitably directly related to criminal law elements, this study examined the problems of the public interest whistleblower protection system stipulated in the 「Public Interest Whistleblower Protection Act」 from a criminal law point of view and sought ways to improve it. In this regard, firstly, the problem of fragmentation of illegality arising from the conflict between the crime of leaking secrets and the value of public interest reporting under the 「Criminal Act」, secondly, the problem of shifting the burden of proof for disadvantageous disposition against public interest whistleblowers, and thirdly, the punishment in case an accomplice involved in a crime of violating the public interest turns himself in The issue of exemption and exemption, and finally, the need to add the 「Criminal Act」 to the Acts for Infringing the Public Interest in the attached table of 「Public Interest Whistleblower Protection Act」 will be dealt with. As for the criminal law improvement measures in this regard, first, if the act of reporting falls under a public interest report, the grounds to ensure the recognition of the illegality of Article 127 of the Criminal Act, Article 127 of the disclosure of official secrets and Article 317 of the disclosure of business secrets. should be explicitly stipulated in the 「Public Interest Whistleblower Protection Act」. Second, in order to expand and strengthen the burden of proof of disadvantageous measures for those who take disadvantageous measures, shift the burden of proof by revising Article 23, which can be seen as a legislative measure to shift the burden of proof in the current Public Interest Whistleblower Protection Act, by amending the presumption of disadvantageous measures. This means that the possible cases should be expanded. Third, supplement Article 14 of the current 「Public Interest Whistleblower Protection Act」, which stipulates reduction and exemption of responsibility,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reduction or exemption for the case where a person involved in a crime of violation of the public interest voluntarily commits the offense at the time of reporting, not during investigation. It is to be amended, but Article 14-2 is newly established to allow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to present opinions on reduction or exemption to the court, the person with the right to discipline, or the person with the right to take administrative disposition in the case of a person who has surrendered, and to prevent anyone who has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report to surrender. It means that you should not exercise pressure or appeasement. Lastly, the 471 laws subject to violations of the public interest specified in the attached table of the current 「Public Interest Whistleblower Protection Act」 do not include the 「Criminal Act」. It is also necessary to recognize the report as a public interest report.

more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1. 연구의 범위 4
2. 연구의 방법 6
제2장 우리나라 공익신고제도 현황 7
제1절 공익신고자 보호법 제정 배경 및 개정 연혁 7
1. 공익신고자 보호법의 제정 배경 7
2. 공익신고자 보호법의 개정 연혁 8
제2절 공익신고자 보호법의 주요 내용 및 운영 현황 10
1. 공익신고자 보호법의 주요 내용 10
가. 신고주체 10
나. 공익신고 대상 14
다. 신고방법 15
라. 신고의 조사 및 처리 17
2. 공익신고제도의 운영 현황 및 실태 18
가. 공익신고 접수 및 처리 현황 18
나. 공익신고자 보호사건 접수 및 처리 현황 23
제3절 공익신고자 보호제도 현황 27
1. 주요 신고자 보호제도 현황 27
가. 공익신고자 보호법 주요 규정 27
나. 내부신고자 보호제도에 대한 형법적 고찰의 의의 29
2. 신고자 보호제도 세부내용 30
제3장 형법적 관점에서의 공익신고자 보호제도 35
제1절 신고행위로 인한 형법상 비밀누설죄 성립과 관련한 문제 36
1. 비밀유지의무와 내부신고의 어려움 36
2. 우리나라 공익신고 법제화 당시 법령과 형법의 배치 37
3. 공익신고를 어렵게 만드는 법률들 38
4. 현행 공익신고자 보호법과 형법의 모순된 상황 40
제2절 공익신고자에 대한 불이익처분의 입증책임 문제 41
1. 공익신고와 불이익처분 사이 인과관계 입증의 어려움 41
2. 내부신고 현실과 불이익처분 입증책임 전환의 중요성 43
3. 공익신고 법령의 불이익조치 추정 규정 현황 45
제3절 공범자가 자수한 경우 처벌 감면의 문제 47
1. 자수의 제도적 의의 47
2. 양형기준에서 공익침해행위와 관련된 감경요소로서의 '자수' 49
3. 우리 형법과 공익신고자 보호법의 감면 규정 현황 52
제4절 형법이 공익신고 대상법률에 포함되지 않은 상황 54
1. 공익신고자 보호법의 한계 54
2. 형법이 가지고 있는 공익의 의미 56
3. 형법을 공익신고 대상법률에 포함하려 한 시도들 58
제4장 공익신고자 보호제도의 형법적 개선방안 62
제1절 형법상 비밀누설죄 위법성 조각의 적극적 고려 62
1. 비밀누설죄에 있어 '비밀'의 의미 62
가. 공무상 비밀의 누설 63
나. 업무상 비밀의 누설 64
2. 현행 공익신고자 보호법상 면책규정 의의와 해외 입법례 65
가. 공익신고자 보호법상 비밀누설죄 면책규정 의의 65
나. 해외 입법례 66
3. 형법 제20조 정당행위로의 인정 근거 규정 68
가. 공공부문 공익신고 법률 68
나. 현행 공익신고자 보호법 68
4. 입법적 개선방안 70
가. 공무상 비밀누설죄 관련 공익신고자 보호법 제7조 제2항 신설 70
나. 업무상 비밀누설죄 관련 공익신고자 보호법 제14조 제4항 개정 72
제2절 불이익조치자에게 불이익처분의 입증책임 전환 확대 75
1. 공익신고자 보호법 제23조 의의와 해외 입법례의 시사점 75
가. 공익신고자 보호법 제23조 의의 75
나. 해외 입법례의 시사점 76
2. 입법 개선을 위한 우리의 입증책임 전환 선행사례 연구 79
가. 공익신고 법령 입증책임 전환 규정 제정의 시도 79
나. 입증책임의 전환·완화에 관한 국내 입법례 비교검토 80
3. 입법적 개선방안 81
가. 공익신고자 보호법 제23조 제2호 개정 및 제5호, 제6호 신설 82
나. 불이익 추정 규정의 실효성 확보 83
제3절 공범자가 자수한 경우 감면 가능성 제고 88
1. 형법과 공익신고자 보호법의 자수자 감면에 대한 입장 88
가. 현행 형법 체제의 자수자 감면에 대한 입장 88
나. 현행 공익신고자 보호법의 자수자 감면에 대한 입장 89
2. 자수 관련 공익신고자 보호법 제14조 이해 및 특별양형인자 사례 91
가. 내부신고자 자수와 관련한 공익신고자 보호법 제14조의 이해 91
나. 양형기준에서 공익신고 대상법률의 '자수 감경' 구체적 반영 사례 92
3. 입법적 개선방안 99
가. 공익신고자 보호법 제14조의2 제1항 신설로 자수 감면 가능성 제고 99
나. 공익신고자 보호법 제14조의2 제2항 등 신설로 자수 신고 환경 조성 100
제4절 공익신고 대상법률에 형법 포함 102
1. 공익신고 대상법률로서 형법의 적용 분야 102
가. 형법상 횡령 및 배임 102
나. 도로 위 보복운전 104
2. 형법을 공익신고 대상법률에 포함시킨 해외 입법례 107
가. 일본 107
나. 프랑스 109
3. 입법적 개선방안 111
가. 형법의 기능과 관련된 선행논의 111
나. 공익신고자 보호법 별표에 형법을 포함 114
제5장 결론 117
【참고문헌】 12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