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군집분석을 통한 남성의 도움추구 태도 유형 분류 및 특성

초록/요약

본 연구는 상담에 대한 의미변별 형용사 척도를 사용하여 성인남성의 도움추구 태도를 측정하였을 때 어떤 집단이 도출되는 지를 보고, 집단의 차이와 특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어 상담의도, 심리적 불편감, 남성의 성역할 갈등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남성 292명을 대상으로 상담에 대한 의미변별 형용사 척도,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척도, 상담의도 척도, 심리적 불편감 척도, 남성의 성역할 갈등 척도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을 하였고, 이 단계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집단을 구분한 후,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교차분석으로 집단의 특성을 알아보고, 일원배치 분산분석으로 집단 간 상담의도, 심리적 불편감, 남성 성역할 갈등에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한 것은 다음과 같다. 이 단계 군집분석 결과 양가태도 집단, 미태도 집단, 긍정태도 집단, 부정태도 집단이 도출되었다.각 집단은 연령대와 상담경험 유무, 상담고려 유무에 차이가 있었다. 특히 2,30대의 젊은 연령층에서 상담에 부정적이거나 양가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고 50대에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나타났다. 양가태도 집단과 긍정태도 집단은 비슷한 수준의 상담경험과 상담고려를 가지고 있고, 미태도 집단, 부정태도 집단 순으로 나타났다. 각 집단은 상담의도, 심리적 불편감, 남성 성역할 갈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양가태도 집단은 높은 심리적 불편감과 성역할 갈등을 경험하면서 상담의도가 높았는데, 미태도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심리적 불편감과 남성우월경향이 더 높았고, 부정태도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불안이 높은 집단이었다. 미태도 집단은 심리적 불편감은 중간인 편이었으며, 성역할 갈등과 상담의도는 양가태도집단, 부정태도 집단과 유사하였다. 긍정태도 집단은 낮은 심리적 불편감과 성역할 갈등을 가지고 있고 상담의도가 높았다. 부정태도 집단은 높은 심리적 불편감과 성역할 갈등을 경험함에도 불구하고 상담에 가려는 의도가 낮았다. 본 연구는 상담에 대한 태도 연구에서 태도의 다차원성을 반영할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각 태도 집단의 특성과 차이를 밝혀 우리나라의 상담이용률을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였다. 특히 기존의 연구에서는 도출되지 않았던 부정태도 집단을 도출하여 그 특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more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문제 7
제2장 이론적 배경 8
제1절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8
제2절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14
제3절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와 각 변인과의 관계 17
제3장 연구 방법 22
제1절 연구대상 22
제2절 측정도구 24
제3절 분석방법 31
제4장 연구 결과 32
제1절 기초통계분석 32
제2절 주요변인의 상관관계 33
제3절 군집분석 36
제4절 교차분석 41
제5절 집단 간 차이검증 44
제5장 논의 48
제1절 요약 및 논의 48
제2절 결론 및 제언 55
참고문헌 57
부록 6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