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병원 밖 심장정지 환자에서 두 번째 도착 팀 반응시간이 신경학적 예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cond arrival team on Neurological Outcome in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초록/요약

배경 병원 밖 심장정지 환자의 치료는 일반적으로 기본소생술을 기반으로 응급처치를 시행하며, 충분한 인력 및 자원이 지원되면 전문소생술로 전환된다. 우리는 다중출동 시스템에서 두 번째 도착 팀 반응시간에 최적의 도착시간을 분석하고, 퇴원 시 병원 밖 심정정지 환자의 신경학적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히기 위한 목적이다. 연구 방법 이 연구는 병원 밖 심장정지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수집된 자료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국내의 구급출동 시스템은 다중출동 기반으로 운영되며 첫 번째 도착팀이 현장에 도착하면 기본소생술을 시행하며, 두 번째 도착팀이 현장에 도착 후 전문소생술로 전환한다. 두 번째 도착 팀 반응시간과 퇴원 시 신경학적 결과에 따라 ROC 분석 후 최적의 값을 분석 후 두 그룹으로 분류한다. 성향점수 매칭과 다변수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후착대 도착시간 반응시간과 퇴원 시 신경학적 결과 사이의 독립적인 연관성을평가하였다. 결과 연구기간 동안 총 4,649명의 병원 밖 심장정지 환자가 전문소생술을 받았으며, ROC분석 결과 두 째번 도착 팀 반응시간에 최적의 cut off 값은 14분이였다. 좋은 신경학적 결과를 얻는 환자의 비율은 성향 점수매칭 전후 모두 14분 이상인 그룹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 <0.001). 다변수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14분 이상 반응시간 그룹이 좋지 않은 신경학적 결과를 가질 가능성이 높으며, 성향점수 매칭 후 수정 교차비는 2.87(95% 신뢰구간, 1.65-5.11, p <0.001)이었다. 결론 다중출동 시스템에서 두 번째 도착 팀 반응시간이 최소 14분 이상 지연되면 퇴원 시 좋지 않은 신경학적 결과를 가질 가능성이 높다.

more

초록/요약

Background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the multi-tier system has been applied since 2015. pre-hospital managment for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 is generally based on basic life support, and when sufficient manpower and resources are provided, it is converted to advanced life supp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optimal arrival time of emergency responders in a multiple dispatch system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vanced resuscitation start time on the neurological outcome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upon discharge. Methods This study wa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registry with OHCA patients. In the study area, a multi-tier emergency response system was operated, and ALS was started when the second-arrival team arrived at the scene.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cut-off value of response time of the second-arrival team set by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ssess the independent association between the response time interval of the second-arrival team and the neurological outcome. Result During the study period, a total of 4,649 adult OHCA patients received ALS at the scene. In ROC analysis, the optimal cut-off value for response time of second-arrival teams was 14 minutes. The proportion of patients who achieved favourable neurological outcome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 with ≥14 minutes both before and after propensity score matching. In multivariable analysis, the group with ≥14 minutes showed an independent association with poor neurological outcome, and the adjusted odds ratio was 2.87 (95% confidence interval, 1.65–5.11) after propensity score matching Conclusion In a multi-tier prehospital emergency response system, initiation of ALS delayed by more than 14 minutes is associated with poor neurological outcome at hospital discharge.

more

목차

I. 서론 1
1. 연구필요성 1
2. 연구목적 4
3. 용어정리 5
4. 측정도구 9

II. 연구방법 10
1. 연구내용 10
2. 연구대상자 11
3. 연구자료 수집 11
4. 분석 방법 12

III. 결과 14
1. 두 번째 도착팀 반응시간에 따른 ROC curve 14
2. 연구 모집단의 임상적 특성 15

IV. 고찰 21

V. 결론 24

참고문헌 25

ABSTRACT 2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