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무단횡단 보행자 정보 제공에 따른 차량의 통행행태 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Vehicle Traffic Behavior according to the Provision of Jaywalking Pedestrian Information

초록/요약

교통사고 중 보행자사망자는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 중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보행자 안전을 위한 교통사고 감소 대책으로써 무단횡단 교통사고 예방은 특히 더 중요하다. 이에 따라 무단횡단을 방지하기 위해 무단횡단을 차단할 수 있는 시설물을 설치하거나 보행자 인식 개선, 신호체계 개선 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최근 많은 지자체에서 보행자 안전 개선을 위해 과학기술을 이용한 AI기반의 스마트 보행안전시스템을 구축중이나, 노상주차가 허용되는 구간 내에서 예상하지 못하게 횡단하는 보행자에 대한 고려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노상주차 허용구간에서 보행자의 무단횡단은 차량과 차량 사이의 협소한 공간을 이용한 도로횡단으로 운전자 측면에서는 이를 대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노상주차 허용구간에서 무단횡단 보행자 정보 제공을 통하여 차량의 행태를 분석·수행하였다. 전라북도 익산의 노상주차가 허용되는 잠재적 위험 구간을 선정하여 무단횡단 보행자 알림 시스템을 구축하고 일정기간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차량의 구간 내 평균 속도는 1.1km/h 감소하였으며, 구간 내 제한속도 준수율은 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시스템을 통한 정보 제공이 차량의 속도 저감 및 제한속도 준수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로부터 향후 많은 지역에서 다양하고 광범위한 분석을 수행한다면 사각지대에서의 보행자 사고가 줄어들 것으로 판단된다.

more

초록/요약

Pedestrian deaths in traffic accidents account for a large proportion of all traffic deaths, and prevention of jaywalking traffic accidents is particularly important as a measure to reduce traffic accidents for the safety of pedestrians. Accordingly, in order to prevent jaywalking, efforts are being made to install facilities that can block jaywalking, improve pedestrian awareness, and improve signal systems. Recently, many local governments are building AI-based smart pedestrian safety systems using science and technology to improve pedestrian safety, but they are unable to consider pedestrians unexpectedly crossing within sections where on-street parking is permitted. Pedestrians' jaywalking in the on-street parking allowed area is a road crossing using a narrow space between vehicles, and there is a limit to prepare for this from the driver's side. In this study, vehicle behavior was analyzed through the provision of jaywalking pedestrian information in the permitted on-street parking area. A jaywalking pedestrian notification system was established by selecting a potentially dangerous section in Iksan, Jeollabuk-do where on-street parking is permitted, and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compliance rate was found to increase by 5%.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shown that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through the system is effective in reducing vehicle speed and complying with the speed limit. From these analysis results, it is judged that pedestrian accidents in blind spots will be reduced if various and extensive analyzes are performed in many areas in the future.

more

목차

1.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2. 이론적 배경 5
1. 관련 계획 5
2. 국내외 교통안전 시스템 적용 사례 6
3. 선행 연구 고찰 12
3. 자료수집 및 시나리오 개발 15
1. 시스템 구성 15
2. 정보 제공 시나리오 17
3. 현황 조사 및 자료수집 20
4. 평가 결과 분석 25
1. 분석 개요 25
2. 효과 분석 29
5.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33
1. 결론 33
2. 향후 연구과제 35
참고문헌 3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