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유발 골다공증에서 졸레드로네이트의 환자 선호도 및 효능

Patient preference and efficacy of zoledronic acid in the treatment of glucocorticoid-induced osteoporosis in patients with autoimmune diseases

초록/요약

연구 제목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유발 골다공증 치료에 있어 졸레드로네이트의 환자 선호도 및 효능 연구 목표 스테로이드 유발 골다공증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물은 비스포스포네이트(경구 알렌드로네이트 및 리세드로네이트, 정맥내 졸레드로네이트 주사)이다. 졸레드로네이트는 다른 비스포스포네이트보다 순응도가 유리한 편리한 치료 옵션이다. 본 연구의 목표는 졸레드로네이트의 선호도와 환자 만족도뿐만 아니라 다른 비스포스포네이트와 비교한 효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자가면역질환 치료 중 스테로이드 유발 골다공증으로 진단된 환자에서 최소 1년 동안 경구 비스포스포네이트를 복용한 후 추적 관찰한 골밀도 측정에서 새로운 골절 또는 골다공증이 발견된 50명의 환자를 모집하였다. 졸레드로네이트 치료 1년 후, 환자들은 선호도와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완료하였다. 치료 효능은 경구용 비스포스포네이트를 유지한 환자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골밀도 및 골절의 변화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64.1세, 여성이 96%, 스테로이드 유발 골다공증의 평균 유병 기간은 5.5년이었다. 두 그룹의 누적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용량에는 차이가 없었다. 39명의 환자(86.7%)가 경구용 비스포스포네이트보다 정맥주사용 졸레드로네이트를 선호하고 더 만족했으며, 만족도는 투여 간격과 편리한 요법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았다. 또한 졸레드로네이트 투여군과 경구 비스포스포네이트 투여군 사이의 골밀도의 변화를 비교하였을 때 요추 골밀도 (1.91±3.91 /cm2 vs. 1.00±5.30g/cm2, p=0.355), 대퇴골 경부 골밀도 (-0.91±6.31g/cm2 vs. 0.41±5.07g/cm2, p=0.264), 대퇴골 전체 골밀도 (0.29±2.91g/cm2 vs. 0.41±5.07g/cm2, p=0.891) 모두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새로운 골절의 발생은 두 군에서 각각 2건으로 차이가 없었다. 결론 환자들은 졸레드로네이트를 선호하고 더 만족해하였고, 졸레드로네이트의 골다공증 치료 효과는 경구용 비스포스포네이트와 유사했다. 따라서 자가면역질환 환자에서 발생한 스테로이드 유발 골다공증에 대한 적절한 치료제로 졸레드로네이트가 권장된다. 학위논문의 검색을 위한 주제어 환자 선호도, 졸레드로네이트, 비스포스포네이트, 스테로이드 유발 골다공증, 자가면역질환

more

초록/요약

Title Patient preference and efficacy of zoledronic acid in the treatment of glucocorticoid-induced osteoporosis in patients with autoimmune diseases Objectives The most commonly used drugs for glucocorticoid-induced osteoporosis (GIOP) is bisphosphonate (oral alendronate and risedronate, and intravenous zoledronic acid). Zoledronic acid is a convenient treatment option that allows compliance to be advantageous over other bisphosphonates. Our aim is to evaluate the preference and patient satisfaction of zoledronic acid compared to other bisphosphonates as well as the efficacy. Methods We recruited 50 patients with new fractures or osteoporosis found in follow-up bone densitometry after taking oral bisphosphonates for at least 1 year in patients diagnosed with GIOP during treatment for autoimmune diseases. After 1 year of treatment with zoledronic acid, patients completed the survey to rate their preference and satisfaction. The treatment efficacy was analyzed by comparing the changes in bone density and fractures with patients maintaining oral bisphosphonates as controls. Results Mean age was 64.1 years, 96% were female, and the mean duration of GIOP was 5.5 year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umulative glucocorticoid doses of the two groups. Thirty-nine patients (86.7%) preferred and were more satisfied with intravenous zoledronic acid over oral bisphosphonates, and satisfaction was strongly affected by the administration interval and convenient regimen. In addi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nualized percentage change in bone density in the lumbar spine (1.91 ± 3.91 g/cm2 vs. 1.00 ± 5.30 g/cm2, p=0.355), femur neck (-0.91 ± 6.31 g/cm2 vs. 0.41 ± 5.07 g/cm2, p=0.264), and femur total (0.29 ± 2.91 g/cm2 vs. 0.41 ± 5.07 g/cm2, p=0.891) between patients who received zoledronic acid and those who took oral bisphosphonates. The occurrence of new fractures was two in each of the two groups, showing no difference. Conclusion Zoledronic acid was preferred and more satisfactory by patients, and the treatment efficacy for osteoporosis was similar to oral bisphosphonates. Therefore, zoledronic acid is recommended as an appropriate treatment for GIOP in patients with autoimmune disease. Keywords for thesis search Patient preference, Zoledronate, Bisphosphonate, steroid-induced osteoporosis, autoimmune disease

more

목차

I. 서론 1
II. 본론 3
A. 연구 방법 3
1. 연구 대상 3
2. 연구에 사용되는 의약품 4
3. 데이터 수집 방법 4
4. 평가 변수 6
5. 연구의 안정성 6
6. 연구결과 분석방법 6
B. 연구 결과 7
1. 스테로이드 유발 골다공증 환자의 기준선 임상 특성 7
2. 경구 비스포스포네이트와 비교하여 졸레드로네이트 정맥주사에 대한 환자 보고 선호도 비교 9
3. 자가면역질환 환자들에서 발생한 스테로이드 유발 골다공증 치료에 있어 경구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와 졸레드로네이트의 효능 비교 11
C. 고찰 13
III. 결론 1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