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우리나라 성인 남녀의 좌식시간과 대사증후군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sedentary time and metabolicsyndrome in adult men and women in Korea

초록/요약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 남녀에서 좌식시간과 대사증후군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2019-2020) 자료를 활용한 이차자료 분석 연구로 원시자료 이용지침에 따라 집락변수(cluster), 층화변수(strata), 가중치(weight)를 적용한 복합표본 분석을 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30세-69세까지의 성인 남녀로 결측치를 제외하고 총 5,445명(남성 2,964명, 여성 2,481명)을 최종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남성과 여성의 좌식시간과 대사증후군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분형 로지스틱회귀분석(Binary logistic regression)을 실행하였으며 교란변수를 통제한 후 오즈비(Odds ratio)와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을 각각 산출하였으며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p-value 값 0.05를 기준으로 하였다. 남성의 교란변수를 모두 통제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한 결과 Q1군보다 Q2군이 대사증후군의 위험도가 0.96배(OR 0.74-1.25) 낮았으며, Q3군은 Q1군보다 대사증후군의 위험도가 1.44배(OR 1.17-1.77)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다(p<0.001). 여성의 교란변수를 모두 통제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한 결과 Q1군보다 Q2군이 대사증후군의 위험도가 1.03배(OR 0.69-1.53) 높았고 Q3군은 Q1군보다 대사증후군의 위험도가 1.37배(OR 0.98-1.91) 높았으나 신뢰구간을 만족하지 못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168). 연구결과 남성은 좌식시간이 높을수록 대사증후군의 위험이 증가하였고 여성은 좌식시간이 높을수록 대사증후군의 위험은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좌식시간과 대사증후군에 독립적으로 미치는 위험 요소를 확인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남성과 여성을 분류하여 좌식시간과 대사증후군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둔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Korean adults’sedentary time and their metabolic syndrome.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used the secondary data collected from the 8 th (2019-2020) National Health & Nutrition Survey, and then, conducted the complex sample analysis, for cluster, strata and weight. The subjects were the adults aged between 30 and 69. After all, a total of 5,445 adults (males: 2,964, females: 2,481) were sampled finally, excluding the missing values. In order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subjects’sedentary time and their metabolic syndrome,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d after the controlling the confounding variables, odds ratio and 95% confidence interval were calculated, respectively. All the statistical confidence levels were set at 0.05 p-value. As a result of the logistic analysis by controlling all the confounding variables of males, it was found that the risk of the metabolism in Q1 group was 0.96 times lower (OR 0.74 – 1.25) than that in the Q2 group. And the risk of the metabolism in Q3 group was 1.44 times higher (OR 1.17-1.77) significantly (p<0.001).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the logistic analysis by controlling all the confounding variables of females, it was found that the risk of the metabolism in Q2 was 1.03 times higher (OR 0.69-1.53) than that in Q1 group. And the risk of the metabolism in Q3 was 1.37 times higher (OR 0.98-1.91) than that in Q1 group, but such a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because it could not satisfy the confidence interval (p=0.168). All in all, it could well be concluded in case of males that the longer the sedentary time was, the risk of their metabolism syndrome increased significantly. However, in case of females, such an association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This study may well be significant in that it has provided for some basic data useful to confirm the risky factors affecting the Korean adults’metabolism syndrome, while analyzing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edentary time and the metabolic syndrome by gender.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3. 용어의 정의 5
Ⅱ. 연구방법 7
1. 연구대상 7
2. 연구모형 9
3. 연구변수 10
Ⅲ. 연구결과 14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4
2. 좌식시간과 인구사회학적 특성 16
3. 좌식시간과 건강행태학적 특성 20
4. 대사증후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 23
5. 대사증후군과 건강행태학적 특성 27
6. 좌식시간과 대사증후군 30
7. 좌식시간과 대사증후군 연관성(남성) 31
8. 좌식시간과 대사증후군 연관성(여성) 33
Ⅳ. 고찰 39
Ⅴ. 결론 43
참고문헌 4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