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기후위기 대응행동의 영향요인 분석 및 정책적 함의 : 가치, 지각, 거리감의 역할을 중심으로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and Policy Implications of Response Behavior against Climate Crisis : Focusing on the Role of Value, Perception, and Distance

초록/요약

본 연구는 심각해지는 기후위기 속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국민들의 대응행동을 살펴보았다.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현대 사회에 심각한 이슈로 화두가 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 피해는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환경문제는 특정 대상을 중점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민들이 기후변화에 대한 위험 인식을 가지고, 기후위기에 대응하려는 행동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국민들의 기후위기 대응정책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국민들의 인식, 즉 가치와 지각, 거리감 등의 다차원적 요인을 통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보다 풍부한 시각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해석수준이론, 가치-태도-행동 모델, 위험지각 패러다임, 계획된 행동이론 등의 이론을 고찰하였다. 정리된 이론들을 바탕으로 대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심으로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대응행동의 영향요인으로 크게 3가지 요인으로 가치 요인과 지각 요인, (계획된) 행동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먼저 가치 요인은 기후 부정의(不正義), 세계 시민의식, 과학기술 낙관주의로 구성하였다. 둘째, 지각 요인은 지각된 편익과 지각된 위험, 지식, 신뢰, 부정적 이미지로 구성하였다. 셋째, (계획된) 행동 요인은 태도와 규범, 통제감으로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거리적 요인으로 심리적 거리감과 미래 결과고려로 구성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 거리적 요인이 조절효과를 갖는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중 회귀분석을 진행하기에 앞서, 다양한 요인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였기 때문에, 변수 간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을 진행하였고, 이들 간의 상관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회귀분석을 진행하는 데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기후위기 정책에 대한 대응행동의 다중 회귀분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 시민의식을 보유하고 있을수록 대응행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존의 연구와 마찬가지로 지각된 편익이 높을수록, 지식이 높을수록, 정부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대응행동이 높아지는 반면, 지각된 위험과 부정적 이미지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기후변화에 대한 태도가 높을수록, 통제감을 높게 인식할수록 대응행동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거리감과 관련하여 기후변화에 대해 멀게 생각할수록 대응행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거리감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상호작용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거리감은 지식과 규범이 대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래 결과고려는 규범이 대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전 세계의 주요 위험 중 하나인 기후위기에 대하여 개인의 정책 대응행동을 살펴보기 위해 다양한 이론을 기반으로 모형을 구성하였고,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기후위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중들의 참여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러한 점을 통해 정부가 정책을 설정하는 데에 있어서 본 연구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수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기후변화에 대해 사람들이 심리적으로 이를 멀게 인식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대중들이 기후변화 문제에 대해 어느 정도 인식하고 공감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외에도 개인의 가치와 지각뿐만 아니라 거리감을 함께 고려함으로써 사람들의 행동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간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more

초록/요약

The study looked at people's reactions to the growing climate crisis. The damage caused by climate change is becoming a serious issue in modern society, and the damage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Such an environmental problem is not a problem that can be solved by focusing on a specific targe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for the people to have a risk awareness of climate change and to respond to the climate crisis.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richer perspective by integrating multi-dimensional factors such as people's perception, that is, value, perception, and distance, in order to induce people to participate in climate crisis response polici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ories such as interpretation level theory, VAB model, risk perception paradigm, and TPB model were considered. Based on the summarized theories, a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focusing on factors affecting Response Behavior. As the influencing factors of Response Behavior, it was composed of three main factors: Value Factor, Perception Factor, and (planned) Behavior factor. First, the Value Factors consisted of Climate Injustice, Global Citizenship, and Science&Technology Optimism. Second, the Perception Factors consisted of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Risks, Knowledge, Trust, and Negative Images. Third, (planned) Behavioral Factors consisted of Attitudes, Norms, and a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Finally, it consisted of Psychological Distance and Consideration of Future Results as distance factors. Furthermore,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whether the Distance Factor had a moderating effec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Prior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ince various factors were integrally analyzed,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is between variables were conducted, an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m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problem in proceeding wit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response behavior to climate crisis policy is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more global citizenship is held, the higher the response behavior. Second, as in previous studies, the higher the perceived benefits, the higher the knowledge, and the higher the trust in the government, the higher the response behavior, whereas the perceived risk and negative imag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Third,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attitude toward climate change and the higher th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s recognized, the higher the response behavior increases.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farther you think about climate change in relation to distance, the higher the response behavior. Next, the results of the interaction analys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distance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sychological distance was found to control the effect of knowledge and norms on response behavior.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future outcome consideration controls the effect of norms on response behavior. This study constructed a model based on various theories to examine individual policy response behavior against the climate crisis, one of the major risks in the world, and verified it through empirical analysis. Public participation is absolutely necessary to solve the climate crisis problem. Through this point, this study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setting policies for the governme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time for the public to recognize and sympathize with the climate change problem to some extent, considering that people are psychologically aware of it.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help seek ways to promote people's behavior by considering not only individual values and perceptions but also distance. Keywords: Climate Crisis, Policy Response Behavior, Value, Risk Perception, Sense of Distance

more

목차

제 1 장 서론 1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1. 연구배경 1
2. 연구 목적 4
제2절 연구범위와 방법 5
1. 연구범위 5
2. 연구방법 6
제 2 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7
제1절 기후위기 개요 7
1. 기후변화 개념 7
2. 기후위기 원인 8
제2절 기후위기 관련 정책 10
제3절 기후위기 인식과 대응행동 16
1. 기후위기 인식 16
2. 기후위기에 대한 인식과 대응행동 19
제4절 대응행동 관련 선행연구 검토 23
1. 거리감 23
2. 가치-태도-행동(VAB, Value-Attitude-Behavior) 모델 28
3. 위험지각패러다임 30
4. 합리적 행동이론(TRA, Theory of Reasoned Action) 34
5. 계획적 행동이론(TPB, Theory of Planned Behavior) 35
6. 소결 40
제 3 장 연구모형 및 가설 41
제1절 연구모형 41
제2절 연구가설 44
1. 가치 요인 44
2. 지각 요인 48
3. (계획된) 행동 요인 53
4. 거리적 요인 55
제 4 장 연구설계 57
제1절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57
1. 표본의 구성 및 자료수집 방법 57
2. 자료분석 방법 59
제2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60
1. 종속변수 : 정책 대응행동 60
2. 조절변수 60
3. 독립변수 62
4. 통제변수 68
4.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70
5. 다중공선성 검증 72
제 5 장 분석결과 74
제1절 기술통계 74
1. 기술통계 74
2. 집단별 평균차이 검증 76
3. 상관분석 83
제2절 다중 회귀분석 86
제3절 조절 효과 분석 94
1. 심리적 거리감의 조절효과 검증 94
2. 미래 결과고려의 조절효과 검증 98
제4절 연구가설 검증 100
제 6 장 결론 102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102
제2절 연구의 함의 105
참 고 문 헌 108
[부록] 설문지 121
Abstract 12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