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메타인지와 학습 간 영향 및 상호작용 연구 : 현장 연구를 중심으로

초록/요약

인지적 관점으로 밝혀낸 사실들을 실제 학습 현장에 적용해본다면 어떨까? 본 연구는 활발하게 연구된 메타인지의 이론적 토대가 실제 학습 현장에서는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14~19세의 학습자이며 메타인지 모니터링 측정 방법으로는 JOL(Judgment Of Learning)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JOL이 높은 집단은 문법 문제 풀이 정답률, 6월 모의고사, 9월 모의고사 점수가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세 집단 분류 시 학습성과는 집단 간 차이를 보였지만 학습성과 상승률은 집단 간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후 집단을 세분화하여 5% 별로 분류하였을 때 JOL 상위 5% 집단은 학습성과와 학습성과 상승률이 타 집단에 비교하였을 때 가장 높았으며 집단 간 차이와 상호작용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는 메타인지 수준은 학습성과와 학습성과 상승률과 관련성이 있으며 실제 학습 현장에서도 메타인지의 이론적 토대가 설명력이 있는 것을 제시하였다.

more

초록/요약

How about applying the facts revealed from a cognitive perspective to the actual learning field?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relevance of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actively studied metacognition in the actual learning field. The participant of the study was learners aged 14 to 19, and Judgment Of Learning (JOL) was used as a metacognitive monitoring measurement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group with high JOL had high scores on the mock test in June and September. However, when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the three groups, there was a difference in learning performance between group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learning performance increase rate between groups. Afterwards, when the group was subdivided and classified by 5%, the JOL top 5% group had the highest learning performance and rate of increase in learning performance compared to other groups, and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and interactions between groups.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level of metacognition is related to learning performance and the rate of increase in learning performance, so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metacognition is explanatory even in the actual learning field. 핵심어: metacognition, JOL, learning performance, rate of increase in learning performance, filed research

more

목차

I. 서론 1
A. 이론적 배경 4
B. 메타인지 모니터링 측정 방법 7
II. 본론 11
A. 참가자 11
B. 도구 15
C. 절차 16
D. 측정 19
1. JOL(Judgment Of Learning) 19
2. 리얼 AI 문제 풀이 정답률 20
3. 6월 모의고사 20
4. 9월 모의고사 21
III. 결론 22
A. 결과 22
1. 세 집단 분류 22
2. 5% 별 분류 26
3. 상위 5%와 하위 95% 분류 29
B. 논의 3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