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어린이 승하차구역 설치에 따른 교통영향분석

Traffic Impact Analysis of Drop-off and Pick-up Zone Installation

초록/요약

2019년 어린이 보호구역 내 횡단보도에서 어린이가 사망한 사건을 계기로 어린이 보호구역 내 교통안전 강화를 위해 어린이 보호구역을 별도 표지판이나 황색실선이 없어도 주차나 정차가 금지되도록 「도로교통법」이 개정되었다. 하지만, 이로 인해 통학거리가 멀거나 몸이 좋지 않아 부득이하게 차량을 이용해야 하는 학생들이 불편을 겪고 있으며, 여전히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 불법으로 주·정차하는 개인차량과 학원차량 등을 쉽게 볼 수 있는 등 개정된 법이 현실에 맞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시·도경찰청장이 안전표지로 구역·시간·방법 및 차의 종류를 정하여 정차나 주차를 허용한 곳’에서는 예외적으로 주·정차가 가능하도록, 즉 학교 주변 도로에 어린이 승하차구역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도로교통법을 추가 개정하였다. 하지만, 어린이 승하차구역에 대하여 정부 차원의 세부 설치기준이나 가이드라인에 대해서는 제시된 바 없기 때문에 무분별하게 어린이 승하차구역 설치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오히려 승하차구역 설치로 인해 주변 교통흐름이 정체되거나 교통사고 위험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승하차구역의 설치가 주변 교통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이동성 및 안전성 측면에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미시교통 시뮬레이션 모형인 VISSIM을 이용하여 어린이 승하차구역의 설치형태를 bay 형태와 stop 형태로 구분하고 전체 교통량 및 승하차 교통량 비율 변화에 따른 어린이 승하차구역 설치형태별 평균 통행시간과 평균 정지수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동일한 교통 조건에서는 bay 형태보다 stop 형태일 때 평균 통행시간과 평균 정지수가 더 크게 나타나면서, stop 형태의 어린이 승하차구역이 bay 형태에 비해 이동성 및 안전성 측면에서 주변 교통류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전반적으로 전체 교통량과 승하차 교통량 비율이 증가할수록 평균 통행시간과 평균 정지수가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다만, bay 형태 경우에는 평균 통행시간과 평균 정지수 변화의 폭이 작았지만, stop 형태에서는 변화의 폭이 매우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전체 교통량이 1,100vph 이상에서 평균 통행시간과 평균 정지수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통계적 검증을 수행하였다. 승하차 교통량 비율이 10~60% 조건에서, 평균 통행시간은 전체 교통량이 600vph 이상부터 승하차구역 설치형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평균 정지수는 전체 교통량이 500vph 이상부터 승하차구역 설치형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학교 주변 도로의 편도 전체 교통량이 600vph 이상일 때는 이동성 및 안전성 측면에서 주변 교통류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보도폭 등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bay 형태의 승하차구역을 설치하는 것이 권장된다. 특히, 전체 교통량 1,100vph 이상의 조건에서는 stop 형태의 어린이 승하차구역 설치 시 승하차 교통량 비율이 증가할수록 평균 통행시간과 평균 정지수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기 때문에 bay 형태의 어린이 승하차구역 설치가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more

목차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수행절차 5
1. 연구의 내용 5
2. 연구의 수행 절차 5
제3절 연구의 범위 7
제2장 관련 이론 및 연구 고찰 8
제1절 관련 법령 및 지침 8
1. 어린이 보호구역 관련 법령 및 지침 8
2. 주.정차 관련 법령 8
3. 버스정류장 관련 기준 10
제2절 국내·외 선행 연구 고찰 13
1. 어린이 승하차구역 관련 연구 13
2. 버스정류장 및 노상 주차 관련 연구 15
제3절 본 연구의 차별성 17
제3장 어린이 승하차구역 관련 현장 조사 및 분석 18
제1절 조사의 개요 18
1. 조사의 목적 18
2. 조사의 내용 18
제2절 경기도 내 어린이 승하차구역 현황 19
제3절 어린이 승하차구역 운영 현장 조사 21
제4절 학부모 대상 설문조사 25
제5절 문제점 분석 및 시사점 도출 28
제4장 시뮬레이션 수행 31
제1절 네트워크 및 시뮬레이션 설정 31
제2절 분석 시나리오 설정 35
제5장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 37
제1절 이동성 분야 결과 분석 37
제2절 안전성 분야 결과 분석 43
제3절 결과의 통계 검증 50
제4절 소결론 59
제6장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61
제1절 결론 61
제2절 한계점 및 향후 연구과제 63
참고문헌 6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