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국어 교육을 위한 ‘-(으)려고 하-’ 교육방안 연구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s for ‘-(eu)ryeogo ha-’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초록/요약

본 연구는 ‘-(으)려고 하-’의 기본 의미인 ‘의도’와 확장 의미인 ‘조짐’의 특성을 고찰하고 각각의 교육방안을 분리하여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육에서 ‘-(으)려고 하-’에 대한 통사적 특성이 주로 종결형 앞에 위치하는 용법에 한정되어 있으며, 일부 교재에서 언급된 연결형 앞에서 결합하는 용법은 초급 단계에 적절하지 않다고 보고 이를 적합한 별도의 학습 수준에서 교수해야 한다고 언급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으)려고 하-’가 기본 의미인 ‘의도’로 해석되는 용법은 양태를 토대로 고찰하였고, 유사 문법 표현으로 ‘-기로 하-’, ‘-고자 하-’, ‘-(으)ㄹ까 하-’를 선정하였다. ‘-(으)려고 하-’가 확장 의미인 ‘조짐’을 해석되는 용법은 상(相) 이론을 토대로 고찰하였으며, 유사 문법 표현으로 ‘-(으)려던 참이-’와 ‘-게 생겼-’을 선정하였다. 3장에서는 ‘의도’의 ‘-(으)려고 하-’와 ‘조짐’의 ‘-(으)려고 하-’의 의미별 특성을 ‘주어 제약’, ‘어미 제약’, ‘용언 결합 양상’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그 특성을 유사 문법 표현과 비교하였다. ‘의도’의 ‘-(으)려고 하-’는 유정물 주어를 취하는 문장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조짐’의 ‘-(으)려고 하-’는 유정물 주어와도 함께 쓰일 수 있으나 무정물 주어를 취할 때 그 의미가 더 명료해지므로 무정물 주어를 취하는 문장을 활용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유사 문법 표현과의 비교에서는 ‘-(으)려고 하-’와는 다른 의미 속성, 부정 표현 결합 양상, 화용론적 용법에 관한 내용도 함께 다루었다. ‘의도’와 관련된 유사 문법 표현은 ‘반드시, 결국, 이미’와의 결합 양상을 통하여 표현마다 나타내는 ‘의도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조짐’ 유사 문법 표현은 ‘임박성’, ‘급진성’, ‘점진성’으로 나누어 문법 표현이 나타낼 수 있는 ‘조짐’의 세부적인 성격을 고찰하였다. ‘임박성’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곧, 막, 이제’을 활용하였고, ‘급진성’은 ‘갑자기’, ‘점진성’은 ‘점점, 조금씩’과의 결합을 통해 확인하였다. 4장에서는 ‘-(으)려고 하-’의 ‘의도’ 용법과 함께 ‘의도 표현하기’ 및 ‘거절하기’ 기능을 학습할 수 있다고 보았고, ‘조짐’ 용법으로는 ‘묘사하기’ 및 ‘주의주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고 보았다. ‘-(으)려고 하-’의 교육방안은 두 단계로 분류하여 ‘의도’ 용법은 초급 단계, ‘조짐’ 용법은 중급 단계에 맞춰 교안을 제시하였다. <1 단계> ‘의도’의 ‘-(으)려고 하-’는 유정물 주어를 취하는 문장으로 수업을 구성하였으며, 통사적인 특성으로는 종결형 앞에 사용되는 형태만을 제시하였다. <2 단계> ‘조짐’의 ‘-(으)려고 하-’는 무정물 주어를 취하는 문장으로 수업을 구성하였으며, 종결형뿐만 아니라 연결형 앞에서도 사용되는 용법을 제시하고 복합문을 구성할 수 있도록 수업 내용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으)려고 하-’의 기본 의미인 ‘의도’뿐만 아니라 한국어 교육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확장 의미인 ‘조짐’ 또한 균형 있게 다루어 의미별 구체적인 교육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더불어 ‘-(으)려고 하-’가 종결형 앞에 위치하는 용례뿐만 아니라 연결형 앞에서 사용되는 용례 또한 주목하여 두 용례를 교수‧학습하기에 적합한 수준을 고찰하였다. ‘조짐’의 ‘-(으)려고 하-’를 교수‧학습하기 위해 그림 자료를 활용하여 교안을 구성하였다. 그러나 한국어 교육을 위한 상(相) 표현 선정과 교수‧학습 내용을 위해 앞으로 더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며, 이에 맞는 교수법에 관한 연구도 지속된 논의가 필요하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sic meaning ‘intend to’ and its expanded one ‘appear to be’ of ‘-(eu)ryeogo ha-’ and thereby, suggest the teaching methods separately for each of them.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the syntax ‘-(eu)ryeogo ha-’ is located usually before the ending of the sentence, it is deemed not proper to be taught at the novice level, while it is often used before the combining form in some textbooks. So, it may well be deemed necessary to teach it at separate learning levels. The 2nd Chapter reviews the primary uses (‘intend to’) of ‘-(eu)ryeogo ha-’ based on its modelity, and thereupon, suggests its similar expressions such as ‘-giro ha-’, ‘-goja ha-’ and ‘-(eu)rkka ha-’. The expanded uses (‘appear to be’) of ‘-(eu)ryeogo ha-’ is discussed based on the theory of aspects, and as the similar grammatical expressions, ‘-(eu)ryeodeon chami-’ and ‘-ge sanggyeott-’ are selected. The 3rd Chapter reviews the sematic characteristics of ‘intend to’ and ‘appear to be’ of ‘-(eu)ryeogo ha-’ in terms of ‘limit of the subject’, ‘limit of ending’ and ‘aspect of predicate combination’, and thereupon, compares the results with the similar grammatic expressions. The discussion is focused on the sentences using the sensuous subjects together with ‘intend to’ of ‘-(eu)ryeogo ha-’. The ‘appear to be’ of the syntax might be used with the sensuous subjects, but its meaning would be clearer when it is used with the non-sensuous subjects. Thus, the discussion is focused on the sentences used with the non-sensuous subjects. When it is compared with the similar grammatical expressions, such other attributes of ‘-(eu)ryeogo ha-’ as uses for different meaning, combination with the negative expressions and pragmatics are discussed as well. The grammatical expressions related with ‘intend to’ differ in terms of ‘intention’ when it is combined with ‘necessarily, after all, already’. Moreover, the researcher examined the detailed meaning of ‘appear to be’ of the syntax by dividing it into ‘imminence’, ‘rapidness’ and ‘progression’. In order to grasp the degree of imminence, such expressions as ‘soon, just and now’ were used, while ‘rapidness’ was examined by means of ‘suddenly’ and ‘progression’ was examined by means of ‘gradually, little by little.’ The 4th Chapter confirms that ‘intend to’ of ‘-(eu)ryeogo ha-’ could be learned together with ‘expression of intention’ and ‘refusal’, while ‘appear to be’ of the syntax could be learned together with ‘describing’ and ‘warning’. The teaching methods of ‘-(eu)ryeogo ha-’ are suggested into two levels. Its ‘intend to’ could well be taught at the novice level, while its ‘appear to be’ could be taught at the intermediate level. At <the novice level>, its ‘intend to’ is taught together with its sensuous subjects, while it is suggested before the ending form in syntactic terms. At <the intermediate level>, its ‘appear to be’ is taught together with its non-sensuous subjects, while being used before both ending and connecting forms, Further, it could also be used for the complex sentences. This study may well be significant in that it has examined not only the basic meaning or ‘intend to’ of ‘-(eu)ryeogo ha-’ but also its expanded meaning or ‘appear to be’ which has little attracted attention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reby, in that it has suggested some specific pedagogic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Moreover, ‘-(eu)ryeogo ha-’ placed not only before the ending form but also before the connecting one is reviewed to suggest the appropriate levels for their teaching and learning.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teach/learn ‘appear to be’, some picture data are used to design the teaching guides. However, it is believed that in order to select the expression of aspects, teaching & learning contents and their representations, this study should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while the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should be developed.

more

목차

1. 서론 1
1.1. 연구 목적 1
1.2. 선행 연구 3
1.3. 연구 방법 6

2. 이론적 논의 7
2.1. 양태에 대한 논의 7
2.2. 상에 대한 논의 11

3. ‘-(으)려고 하-’의 용법별 특성 16
3.1. ‘의도’의 ‘-(으)려고 하-’의 특성 16
3.1.1. 주어 제약 16
3.1.2. 어미 제약 17
3.1.3. 용언 결합 양상 20
3.1.4. 유사 문법 항목과의 비교 25
3.1.4.1. ‘-기로 하-’와의 비교 26
3.1.4.2. ‘-고자 하-’와의 비교 32
3.1.4.3. ‘-(으)ㄹ까 하-’와의 비교 36
3.1.4.4. ‘의도’ 유사 문법 간 의미 비교 40
3.2. ‘조짐’의 ‘-(으)려고 하-’의 특성 41
3.2.1. 주어 제약 41
3.2.2. 어미 제약 43
3.2.3. 용언 결합 양상 46
3.2.4. 유사 문법 항목과의 비교 48
3.2.4.1. ‘-(으)려던 참이-’와의 비교 48
3.2.4.2. ‘-게 생겼-’과의 비교 53
3.2.4.3. ‘조짐’ 유사 문법 간 의미 비교 56

4. ‘-(으)려고 하-’의 교육 현황 분석 및 교육 방안 59
4.1. 교재 및 문법서 분석 60
4.1.1. 대학출판 교재 60
4.1.2. 한국어 교육 문법서 66
4.2. 교육 방안 70

5. 결론 98

Abstract 10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