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Characteristics and etiologic distribution of diplopia and ocular motor nerve palsy

복시와 눈운동신경 마비의 임상적 특성과 원인

초록/요약

복시는 신경과와 안과 의사가 흔하게 접하는 증상이고, 안구 운동 신경 마비는 복시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복시와 안구 운동 신경 마비의 병인에 대한 많은 보 고들이 있었지만 문헌들 마다 병인의 분포는 다양한 결과를 보였다. 그 이유는 각 연구마다 병인의 정의가 상이하고, 대상 인구 집단이 다르고, 연구를 수행한 의사의 진료과가 다르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전의 연구들은 대부분 안과 의사들 이, 안과를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수행하였고, 신경과 의사가 보고한 연구는 매 우 적었다. 그래서 저자들은 2003년부터 2020년까지 진료과의 구분없이 분당서 울대학교병원을 복시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와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서 안구 운동 신경 마비를 진단받은 모든 연령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병인을 조사하였고, 이 를 통해 인구 통계적 특성과 병인의 분포를 밝히고, 나이와 성별에 따른 병인의 차이와 환자들의 내원경로, 진료과에 따른 진료 비중의 차이를 조사하였고, 이전 연구들과 병인의 분포를 비교하였다. 1. 복시의 임상적 특성과 원인 복시를 주소로 내원한 4,029명의 환자를 조사하였고, 최종적으로 3,776명의 환 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복시 환자 중 3557 (94.2%)명은 양안복시, 219 (5.8%)명은 단안복시를 진단받았다. 양안복시의 가장 흔한 원인은 미세혈관 성(n = 516, 14.5%)이었고, 뇌졸중 (n = 412, 11.6%), 종양성 (n = 304, 8.5%), 중증근무력증 (n = 253, 7.1%), 외상성 (n = 240, 6.7%), 보상되지 않은 사위(n = 232, 6.5%)가 뒤를 이었다. 양안복시환자는 주로 신경과 의사가 진료하였고 (2549/3557, 71.7%), 진료 비율은 안과 (2247/3557, 63.2%), 응급의학과 (1528/3557, 43.0%), 신경외과 (361/3557, 10.1%), 기타 과 (271/3557, 7.6%) 순이었다. 복시의 병인은 환자의 나이, 성별, 진료과에 의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p <0.001). 이번 연구의 복시의 병인과 해부학적 병변 위치의 비율은 이전의 연구들과는 다른 결과를 보였고, 주로 하나의 진료과에서 시행된 이전의 연구 결과들은 선택오차가 있을 수 있으며, 특정 진료과로 편향된 결과를 제공하 였을 수 있음을 감안하여 해석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2. 활차신경마비의 임상적 특성과 원인 고립성 활차신경마비를 진단받은 1,258명의 환자를 조사하였고, 최종적으로 1,0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활차신경마비의 병인을 주제로 한 문헌을 검색하였고, 50명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16편에서 보고한 병인의 비율과 이번연구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고립성 활차신경마비의 가장 흔한 원인은 선천성 (n = 330, 32.4%)이었고, 특발성 (n = 256, 25.1%), 미세혈관성 (n = 212, 20.8%), 외상성 (n = 145, 14.2%)이 뒤를 이었다. 고립성 활차신경마 비는 주로 안과 의사가 진료하였고 (n = 841, 82.5%), 진료 비율은 신경과 (n = 380, 37.3%), 응급의학과 (n = 197, 19.3%) 신경외과 (n = 75, 7.4%), 기타 과 (n = 18, 1.8%) 순이었다. 고립성 활차신경마비의 병인은 환자의 나이, 성별, 진료과에 의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p <0.001). 이번 연구의 고립성 활차신경마 비의 병인의 분포는 이전의 연구들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이전의 결 과들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외전신경마비의 임상적 특성과 원인 고립성 외전신경마비를 진단받은 952명의 환자를 조사하였고, 최종적으로 807명 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외전신경마비의 병인을 주제로 한 문헌 을 검색하였고, 50명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26편에서 보고한 병인의 비율과 이번연구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고립성 외전신경마비의 가장 흔한 원인은 미세혈관성 (n = 296, 36.7%)이었고, 특발성 (n = 143, 17.7%), 종양성 (n = 115, 14.3%), 혈관기형 (n = 82, 10.2%), 염증성 (n = 76, 9.4%), 외상성 (n = 240, 6.7%)이 뒤를 이었다. 고립성 외전신경마비는 주로 안과 의사가 진료하였 고 (n = 841, 82.5%), 진료 비율은 신경과 (n = 380, 37.3%), 응급의학과 (n = 197, 19.3%) 신경외과 (n = 75, 7.4%), 기타과 (n = 18, 1.8%) 순이었다. 고립 성 외전신경마비의 병인은 환자의 나이, 성별, 진료과에 의해 다른것으로 나타났 다 (p <0.001). 이번 연구의 고립성 외전신경마비의 병인의 분포는 이전의 연구 들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p <0.001). 4. 눈돌림신경 마비의 임상적 특성과 원인 고립성 눈돌림신경마비를 진단받은 672명의 환자를 조사하였고, 최종적으로 633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눈돌림신경마비의 병인을 주제로 한 문헌을 검색하였고, 50명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14편에서 보고한 병인 의 비율과 이번연구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고립성 눈돌림신경마비의 가장 흔한 원인은 미세혈관성 (n = 168, 26.5%)이었고, 혈관기형 (n = 110, 17.4%), 종양 성 (n = 86, 13.6%), 염증성 (n = 79, 12.5%), 특발성 (n = 60, 9.5%), 외상성 (n = 53, 8.4%)이 뒤를 이었다. 고립성 눈돌림신경마비의 병인은 환자의 나이, 성별, 진료과에 의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p <0.001). 신경과는 미세혈관성과 염증성 원인을 주로 진료하였고, 안과는 특발성, 종양성, 외상성 원인을, 신경외 과는 혈관 기형에서 큰 진료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번 연구의 고립성 눈돌 림신경마비의 병인의 분포는 이전의 연구들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p <0.001). 5. 안구 운동 신경 마비의 비교 안구 운동 신경 마비의 병인 분포는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p <0.001). 안구 운동 신경에 따라 첫 내원 경로를 응급실과 외래로 선택하는 비율도 달랐으며 (p <0.001), 치료에 참여하는 진료과의 비율도 달랐다 (p <0.001). 이러한 차이는 두 신경의 해부학적, 생리학적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신경의 직경, 주행 거리, 주행경로 상에 있는 주변 혈관과 구조물과의 관계, 각 신경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의 수와 성질의 차이 등에 의해 미세혈관성, 외상성 원인에 대한 취약성의 정도가 다르고, 주변 혈관의 혈관기형 발생 빈도가 다르기 때문에 혈관 기형에 의한 마비 발생의 빈도가 다르게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병인의 차이는 각 신경 마비의 발현 양상의 차이와 치료 방법의 차이로 이어지고 이러한 차이가 내원 경로와 진료 과 분포의 차이의 원인인 것으로 생각된다.

more

초록/요약

Background and purpose: Diplopia is a commonly observed symptom in neurology and ophthalmology clinics. Ocular motor nerve palsies are the most common cause of diplopia. The clinical features and underlying etiologies of diplopia and ocular motor nerve palsies have been described in many studies. However, a literature review has shown a large discrepancy in the proportion of etiologies among the studies.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3776 patients with diplopia as the chief complaint, 1020 patients who had a confirmed diagnosis of isolated trochlear palsy, 807 patients who had a confirmed diagnosis of isolated abducens nerve palsy, and 633 patients who had a confirmed diagnosis of isolated oculomotor nerve palsy at all departmen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Seongnam, South Korea, from 2003 to 2020. Results: Diplopia was binocular in 3557 (94.2%) and monocular in 219 (5.8%) patients. The common causes of binocular diplopia included microvascular (n = 516, 14.5%), strokes (n = 412, 11.6%), neoplastic (n = 304, 8.5%), myasthenia gravis (n = 253, 7.1%), traumatic (n = 240, 6.7%), and decompensated phoria (n = 232, 6.5%), and comprised more than a half of the causes. Patients with binocular diplopia were usually managed by neurologists (2549/3557, 71.7%), followed by ophthalmologists (2247/3557, 63.2%), emergency physicians (1528/3557, 43.0%), neurosurgeons (361/3557, 10.1%), and others (271/3557, 7.6%). The etiologies of binocular diplopia differed markedly according to the patient’s age and the specialties involved in the management (p < 0.001). The most common etiology of isolated trochlear palsy was congenital (n = 330, 32.4%), followed by idiopathic (n = 256, 25.1%), microvascular (n = 212, 20.8%), and traumatic (n = 145, 14.2%). These four etiologies explained 92.5% of isolated trochlear palsy. Patients were mostly managed by ophthalmologists (n = 841, 82.5%), followed by neurologists (n = 380, 37.3%), emergency physicians (n = 197, 19.3%), neurosurgeons (n = 75, 7.4%), and others (n = 18, 1.8%). The etiologic distribution of isolated trochlear palsy in the current study did not differ from that of 2,664 patients pooled from the previous studies. The most common etiology of isolated abducens nerve palsy was microvascular (n = 296, 36.7%), followed by idiopathic (n = 143, 17.7%), neoplastic (n = 115, 14.3%), vascular anomalies (n = 82, 10.2%), inflammatory (n = 76, 9.4%), and traumatic (n = 35, 4.3%). These six etiologies explained 92.6% of isolated abducens nerve palsy. The proportion of etiology largely depended on the patients’ age. Patients were mostly managed by ophthalmologists (n = 576, 71.4%), followed by neurologists (n = 479, 59.4%), emergency physicians (n = 278, 34.4%), neurosurgeons (n = 191, 23.7%), and others (n = 72, 8.9%). Neurologists were mainly involved in the management of microvascular (199/296, 67.2%) and inflammatory abducens nerve palsy (71/76, 93.4%) while ophthalmologists mainly participated in the care of idiopathic (105/143, 73.4%), neoplastic (88/115, 76.5%), and traumatic (34/35, 97.1%) palsies. Neurosurgeons mostly took care of patients with abducens nerve palsy due to vascular anomalies (79/82, 96.3%). Compared to the pooled data from the previous reports, the current study showed a higher prevalence of microvascular cause [296/807 (36.7%) vs. 975/4,706 (20.7%)], but lower occurrence of idiopathic [143/807 (17.7%) vs. 964/4,706 (21.5%)], traumatic [35/807 (4.3%) vs. 659/4,706 (14.0%)] and neoplastic [115/807 (14.3%) vs. 810/4,706 (17.2%)] causes. The most common etiology of isolated oculomotor nerve palsy was microvascular (n = 168, 26.5%), followed by vascular anomalies (n = 110, 17.4%), neoplastic (n = 86, 13.6%), inflammatory (n = 79, 12.5%), idiopathic (n = 60, 9.5%), and traumatic (n = 53, 8.4%). Neurologists were mainly involved in the management of microvascular and inflammatory oculomotor nerve palsies while ophthalmologists mainly participated in the care of idiopathic, neoplastic, and traumatic palsies. Neurosurgeons mostly took care of oculomotor nerve palsy due to vascular anomalies. The etiologic distribution of isolated oculomotor nerve palsy observed in the current is different from that of 2,786 patients pooled from the previous studies (p < 0.001). Conclusions: Given the differences in the etiologic distribution of diplopia according to the patient’s age and the specialties involved in the management, the results of previous reports on the characteristics and etiology of diplopia, primarily performed in a single specialty department, should be interpreted with a possible selection bias. The proportion of etiologies of isolated ocular motor nerve palsy differs according to the age ranges of the patients and specialties involved in the management.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etiologic distribution of isolated ocular motor nerve palsy should be interpreted with these considerations.

more

목차

I. INTRODUCTION 1
II. METHODS 6
A. Participants 6
B. Classification of the etiologies 11
1. diplopia 12
2. Isolated trochlear palsy 15
3. Isolated abducens nerve palsy 17
4. Isolated oculomotor nerve palsy 19
C. Statistical analysis 21
D. Literature review 22
III. RESULTS 23
A. Demographic characteristics 24
1. diplopia 24
2. Isolated trochlear palsy 27
3. Isolated abducens nerve palsy 29
4. Isolated oculomotor nerve palsy 31
B. Etiology 33
1. diplopia 33
2. Isolated trochlear palsy 48
3. Isolated abducens nerve palsy 53
4. Isolated oculomotor nerve palsy 59
5. Comparison among isolated ocular motor nerve palsies 66
C. Specialties involved in the management 69
1. diplopia 69
2. Isolated trochlear palsy 76
3. Isolated abducens nerve palsy 78
4. Isolated oculomotor nerve palsy 80
5. Comparison among isolated ocular motor nerve palsies 82
D. Literature review 84
1. Isolated trochlear palsy 84
2. Isolated abducens nerve palsy 88
3. Isolated oculomotor nerve palsy 93
IV. DISCUSSION 97
A. diplopia 97
B. Isolated trochlear palsy 104
C. Isolated abducens nerve palsy 108
D. Isolated oculomotor nerve palsy 111
E. Comparison among isolated ocular motor nerve palsies 114
F. Limitation 116
G. Conclusion 118
H. Copyright 120
V. REFERENCES 12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