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또래 동조성을 매개로

초록/요약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 관계적 공격성, 또래 동조성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관계적 공격성 사이에서 또래 동조성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중립적 또래 동조성이 개인의 기호 및 관심사가 같지 않아도 이를 또래와 일치시키는 동조성이라면 반사회적 또래 동조성은 도덕적으로 옳지 않은 일에 또래와 함께하는 동조성이다. 두 또래 동조성의 특징이 다르기에 각각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차이가 있을 거라 판단하여 관계적 공격성에 대한 또래 동조성의 영향력을 하위영역별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다섯 개 초등학교 5, 6학년 419명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고학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 관계적 공격성, 또래 동조성을 측정하고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상관분석을 통해 변인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고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관계적 공격성의 사이에서 또래 동조성 및 하위영역별 또래 동조성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 관계적 공격성, 또래 동조성은 정적 상관을 보였고 심리적 통제와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를 또래 동조성이 부분 매개하였다. 또래 동조성의 하위영역 중 반사회적 또래 동조성은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관계적 공격성 사이를 부분 매개하였다. 하지만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중립적 또래 동조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만 중립적 또래 동조성은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또래 동조성의 영향을 이론적으로 확인하였으며 관계적 공격성을 낮추기 위한 학부모 상담 및 교육, 반사회적 또래 동조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도덕성 교육 및 상담을 위한 교사 연수자료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more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문제 6
제2장 이론적 배경 8
제1절 부모의 심리적 통제 8
제2절 또래 동조성 11
제3절 관계적 공격성 15
제4절 변인 간의 관계 18
제3장 연구방법 27
제1절 연구대상 27
제2절 측정도구 28
제3절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32
제4장 연구결과 33
제1절 연구 변인들의 기술통계 33
제2절 연구 변인간의 상관분석 33
제3절 매개효과 검증 35
제5장 논의 및 결론 44
제1절 요약 및 논의 44
제2절 결론 및 제언 47
제6장 참고문헌 5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