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심리적 안전감과 직무열의의 관계 : 심리적 안전감은 언제 가장 효과적인가?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afety and work engagement: For when psychological safety is most effective?

초록/요약

본 연구는 심리적 안전감에 대한 Edmondson의 상호작용 모델을 직무요구자원 모델을 통해 설명하고 심리적 안전감이 높은 도전적 스트레서와 함께 주어질 때 가장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국의 직장인들을 대상으 로 과장급 이하 사무직에 종사하는 535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중다 회귀 분석을 통해 연구 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심리적 안전감은 직무열의를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도전적 스트레서는 심리적 안전감과 직무열의의 관계를 정적으로 조절하였 고 방해적 스트레서는 조절효과를 가지지 않았다. 도전적 스트레서는 심리적 안전감과 직 무열의의 관계를 증폭하는 역할을 하였으며, 심리적 안전감과 도전적 스트레서가 모두 높 은 수준일 때 직무열의의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이론 및 실무적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Edmondson's interaction model for psychological safety through Job Demand-Resource Model(JD-R) and to reveal that psychological safety can be most effective when given with high challenge stressors. We collected data from 535 office workers at the department level or lower working across the country, and verified the research model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psychological safety positively predicted work engagement, challenge stressors positive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afety and work engagement, and hindrance stressors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Challenge stressors played a role in ampl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afety and work engagement, and when both psychological safety and challenge stress were high, the level of work engagement was the highest. Finall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more

목차

I. 서론 1
II. 이론적 배경 4
1. 심리적 안전감 4
1-1) 심리적 안전감의 개념 4
1-2) 심리적 안전감의 선행변수 및 결과변수 5
2. 직무요구자원 모델 7
2-1) 직무요구자원 모델 소개 7
2-2) 직무요구와 직무자원의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 8
2-3) 자원으로써의 심리적 안전감 11
3. 심리적 안전감과 직무열의의 관계 12
3-1) 심리적 안전감과 직무열의의 주효과 관계 12
3-2) 심리적 안전감과 도전적 스트레서의 상호작용효과 13
III. 연구 모형 및 가설 17
1. 연구 모형 및 가설 17
IV. 연구방법 18
1. 연구 대상 18
2. 측정 도구 20
1) 심리적 안전감 20
2) 도전적 스트레서 20
3) 방해적 스트레서 20
4) 직무열의 21
3. 분석방법 22
V. 연구 결과 23
1. 측정 변인들의 신뢰도 및 상관관계 23
2. 심리적 안전감과 직무열의의 관계에 대한 도전적 스트레서의 조절효과 24
3. 심리적 안전감과 직무열의의 관계에 대한 방해적 스트레서의 조절효과 26
VI. 결론 및 논의 27
참고문헌 31
부록 40
영문 초록 4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