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한 초등학교 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유교적 가치가 교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and Confucian Value of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on Teachers' Commitment by Examining the Mediating Role of Teacher Efficacy

초록/요약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and Confucian value of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on teachers'commitment by examining the mediating role of teacher efficacy.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667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in Gyeonggi-do were sampled in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and used for questionnaire response analysi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validation,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Win 26.0 and AMOS 20. The main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found to be highly aware of the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M=4.024), Confucian value (M=4.085), teacher efficacy (M=3.874), and teachers’ commitment (M=4.079).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pirically suggested the level of each variabl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ularly how the principal perceives the Confucian value of the principal.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the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and Confucian valu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Confucian value was .739, especiall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all sub-areas of Servant leadership and moral cultivation(仁), which is a sub-areas of Confucian valu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high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648 and .766. This mean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Confucian values is not a negative (-) independent or exclusive relationship, but a positive (+), organic, and mutual relationship. Third, it was found that the Confucian value of the principal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teachers’s commitment. This means that principals need to exercise leadership that includes Confucian values such as moral cultivation(仁) and social order(禮儀), away from the stereotype and perception that Confucian values, which are unique and outdated values in Korea, hinder the development of school organizations.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had a insignificant effect on teachers’ commitment,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means that when Servant leadership is exercised, the influence may not be relatively significant due to the Confucian value context, which is our unique culture, in which values such as respect and conformity to superiors are still importan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principal's Confucian value had a greater influence on the teachers' commitment than the servant's leadership.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increase teachers' commitment in the Korea school,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ervant leadership together, but to prioritize leadership that reflects Confucian values, which are unique to Korea. Fifth, teacher efficacy was found to play a positiv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al's Confucian value and teachers’ commitment.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and teachers’ commitment. This means that it may be effective for the principal to first consider ways to improve teacher efficacy through leadership that reflects Confucian values in order to increase teachers' commitment. Sixth,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by teaching career,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the principal's Confucian value on teacher efficacy was greater in high career (over 10 years) than in low career (less than 10 years). This means that in order to enhance effective teacher efficacy, the principal needs to demonstrate customized leadership based on Confucian values according to his or her career and age. The main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managing a school, the principal should consider servant leadership and Confucian values together, but demonstrate leadership that considers Confucian values more. In order to enhance the teachers’ commitment, it is necessary to combine Confucian values with Western leadership. In addition, in order to enhance teacher efficacy, the principal needs to exercise leadership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areer path. Second, "Korean educational leadership" should be researched and developed.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nd develop a "Korean educational leadership" that combines Korean values and culture with Western leadership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education. Third, various measures and policies should be prepared to increase teacher efficacy. In order to enhance teacher efficacy, it is necessary to actively support leadership with Confucian values, customized leadership according to educational career, various training, teacher voluntary clubs,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nd teacher sabbatical year system.

more

초록/요약

본 연구는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한 초등학교 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및 유교적 가치가 교사의 교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였고, 경기도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667명을 비례층화표집(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하여 설문 응답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6.0과 AMOS 20.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t검증,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와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M=4.024) 및 유교적 가치(M=4.085)와 교사효능감(M=3.874)과 교직헌신도(M=4.079)를 전체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각 변인의 수준 특히, 학교장의 유교적 가치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둘째,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유교적 가치 사이가 정적(+) 상관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번트 리더십과 유교적 가치의 상관관계 계수는 .739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서번트 리더십의 모든 하위 영역과 유교적 가치의 하위 영역인 도덕 함양(仁)의 상관관계 계수가 .648 ~ .766으로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번트 리더십과 유교적 가치의 관계가 부정적(-)·독립적·배타적인 관계가 아닌 긍정적(+)·유기적·상호적인 관계라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학교장의 유교적 가치는 교직헌신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장들은 우리 나라 고유의 가치인 유교적 가치가 고리타분하고 구시대적인 가치여서 교직헌신도 나아가 학교 조직의 발전을 저해시킨다는 고정관념과 인식에서 벗어나 도덕함양(仁), 사회질서(禮義) 등의 유교적 가치가 두루 포함된 리더십을 발휘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은 교직헌신도에 미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는 서번트 리더십이 발휘될 때 여전히 상급자에 대한 공경과 순응 등의 가치가 중요하게 여겨지는 우리 고유 문화인 유교 가치적 맥락에 의해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크게 작용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학교장의 유교적 가치가 서번트 리더십보다 교사의 교직헌신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의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의 헌신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서번트 리더십을 함께 고려하되 우리 나라 고유의 가치인 유교적 가치가 반영된 리더십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다섯째, 교사효능감은 학교장의 유교적 가치와 교직헌신도 간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직헌신도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장은 교사들의 헌신도를 높이기 위해서 유교적 가치가 반영된 리더십을 통해 우선적으로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고려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섯째, 교직경력에 의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학교장의 유교적 가치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저경력(10년 이하)에 비해 고경력(10년 초과)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효과적인 교사효능감을 제고를 위해 학교장은 경력과 나이대에 따라 유교적 가치에 기반한 맞춤형 리더십을 발휘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은 학교를 경영함에 있어 서번트 리더십과 유교적 가치를 함께 고려하되 유교적 가치를 보다 고려한 리더십을 발휘해야한다. 교직헌신도 제고를 위해 서양의 리더십에 유교적 가치의 접목이 필요하다. 또한, 교사효능감 제고를 위해 학교장은 경력대에 따라 리더십을 달리 발휘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한국교육형 리더십”을 연구하고 개발해야한다. 교사들의 높은 헌신도를 이끌어내고 궁극적으로 한국 교육의 발전을 위해서 서양의 리더십에 한국 고유의 가치와 문화를 접목한 “한국교육형 리더십”을 연구 및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안과 정책을 마련해야한다. 교사효능감 제고를 위해 유교적 가치가 내재된 학교장 리더십 및 경력대에 따른 맞춤형 리더십 발휘, 다양한 연수, 교사 자율 동아리, 전문적 학습 공동체, 교사 연구년제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2. 연구문제 7
3. 용어의 정의 8

Ⅱ. 이론적 배경 10
1. 교직헌신도 10
가. 교직헌신의 개념 10
나. 교직헌신의 하위요인 15
다. 교직헌신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19
2. 서번트 리더십 22
가. 서번트 리더십의 개념 22
나. 서번트 리더십의 하위요인 25
다. 학교장 서번트 리더십의 영향 변인 30
3. 유교적 가치 34
가. 유교적 가치의 특징 34
나. 유교적 가치의 하위요인 41
다. 유교적 가치가 한국사회에 미치는 영향 45
라. 학교에서의 유교적 가치의 영향 47
4. 교사효능감 50
가. 교사효능감의 개념 50
나.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 54
5. 변인 간의 관계 57
가.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직헌신도 간의 관계 57
나.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 61
다. 학교장의 유교적 가치와 교직헌신도 간의 관계 67
라. 학교장의 유교적 가치와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 71
마. 교사효능감과 교직헌신도 간의 관계 74

Ⅲ. 연구 방법 80
1. 연구대상 80
2. 측정 도구 82
가.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82
나. 학교장의 유교적 가치 83
다. 교사효능감 84
라. 교직헌신도 85
3. 연구 모형 86
4. 연구 절차 88
가. 표집 방법 88
나. 예비 조사 90
다. 본 조사 91
라. 연구 수행 과정 91
5. 자료 분석 92

Ⅳ. 연구 결과 94
1.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유교적 가치와 교사의 교사효능감, 교직헌신도의 수준 94
가. 측정 변인의 기술 통계 94
나. 변인에 대한 배경변인별 차이 97
다. 변인간 상관관계 분석 105
2.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유교적 가치와 교사의 교사효능감, 교직헌신도 간의 구조적 관계 109
가. 연구 모형 타당성 분석 109
나.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한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유교적 가치가 교직헌신도에 미치는 구조 관계 분석 111

Ⅴ. 논의 및 결론 119
1. 논의 119
가.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유교적 가치와 교사의 교사효능감, 교직헌신도의 수준 119
나.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유교적 가치와 교사의 교사효능감, 교직헌신도의 배경변인별 차이 121
다.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유교적 가치와 교사의 교사효능감, 교직헌신도의 상관 관계 123
라.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한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유교적 가치가 교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127
2. 결론 134

참고문헌 137

부록 155

ABSTRACT 16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