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전위공격성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분노억제의 매개효과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정서인식명확성, 분노억제, 전위공격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전위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분노억제가 순차적으로 매개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31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연구 활용에 동의한 310부의 설문지의 결과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23.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 개의 변인들을 상관분석한 결과,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정서인식명확성, 분노억제, 전위공격성의 관계은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전위공격성의 관계를 정서인식명확성이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전위공격성의 관계를 분노억제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전위공격성의 관계를 정서인식명확성과 분노억제가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매개변인의 간접효과를 확인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분노억제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셋째,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전위공격성으로 가는 경로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분노억제가 순차적으로 매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주요 시사점과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more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문제 및 모형 10
제2장 이론적 배경 12
제1절 전위공격성 12
제2절 내현적 자기애 16
제3절 정서인식명확성 24
제4절 분노억제 29
제3장 연구방법 37
제1절 연구대상 37
제2절 측정도구 38
제3절 자료분석 42
제4장 연구결과 43
제1절 주요 연구의 기술통계 43
제2절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44
제3절 매개효과 분석 46
제5장 논의 및 결론 51
제1절 요약 및 논의 51
제2절 결론 및 제언 56
참고문헌 60
부록 8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