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국판 긍정 정서조절곤란 척도 타당화 연구

Validation of Korean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 Positive (K-DERS-P)

초록/요약

정서경험을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것은 개인의 정신건강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많은 선행 연구에서 부정 정서에 대한 조절곤란이 미치는 영향에 주목한 반면, 긍정 정서 경험에 대한 조절곤란의 기제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긍정 정서 경험에 대한 조절곤란을 측정하는 척도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Positive)를 번안하고 타당화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대학생 340명을 모집하여 극단치와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26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수렴타당도, 변별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한국판 긍정 정서조절곤란 척도는 원 척도와 동일하게 수용의 어려움, 목표지향적 활동의 곤란, 충동통제의 어려움의 세 하위 요인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좋은 모형 적합도를 보였다. 또한 긍정 정서와 관련된 긍정긴급성, 긍정 정서에 대한 두려움과 상관이 더 높아 수렴타당도가 확립되었다. 반면, 부정 정서 경험과 관련된 부정긴급성, 부정 정서조절곤란, 부정 정서 개선에 대한 믿음과는 상대적으로 상관의 크기가 작아 변별 타당도가 확립하였다. 내적합치도와 2주 간격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양호하여 신뢰롭고 안정적인 측정 도구임이 밝혀졌다. 증분 타당도를 분석한 결과 부정 정서조절곤란을 통제한 후에도 긍정 정서조절곤란이 우울과 문제성 음주를 예측하였다.

more

초록/요약

Effective emotion regulation is crucial for an individual’s mental health. Contrary to the great attention to the impact of negative emotion dysregulation on mental health,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emotion dysregulation with positive emotion. For this rea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Korean version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 Positive (K-DERS-P) which measures emotion dysregulation with positive emoti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ith final sample of 326 college students supported 3 factor structure with 13 item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this three factor model. Factor structure was identical to that of the original scale whose subfactors were difficulties with acceptance, impulse control, and goal-directed behavior. Convergent and divergent validity were also supported as K-DERS-P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ositive urgency and positive affective control scale whose correlation was higher than correlation with negative emotion dysregulation, negative urgency, and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Internal consistency and two-week test-retest reliability reported that K-DERS-P was a reliable measurement. After controlling negative emotion dysregulation, positive emotion dysregulation significantly predicted depression symptoms and problematic drinking showing that incremental validity has been established.

more

목차

제 1장 서론 1
제 2장 이론적 배경 4
제 3장 연구목적 12
제 4장 연구방법 14
제 5장 결과 20
제 6장 논의 29
참고문헌 35
부록 5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