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팬데믹 후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관련 요인

초록/요약

연구목적 : 코로나-19 팬데믹 후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관련요인을 확인하고 분석하기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 경기도 소재의 1개의 상급종합병원에서 코로나-19가 유행하기 전부터 지금까지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팬데믹 전-후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과 엑셀 기반의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Rex을 사용하여 independent T-test, ANOVA, Paired T-test, Multiple Linear Regression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코로나-19 팬데믹 후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평균은 60.02점이었다. 직무스트레스의 하부요인에서는 인지적 업무요구, 근무 유해 환경, 물리적 업무요구, 감정적 업무요구, 보상의 적절성 요인이 상위 5개 요인으로나타났다. 팬데믹 전과 비교해보면 직무스트레스의 총점은 4.77점 상승하였다. 하부요인에서는 물리적 업무요구, 보상의 적절성, 근무 유해 환경 요인의 전-후 변화가 컸다. 직무스트레스의 관련요인으로는 성별, 연령, 직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여자, 전담간호사, 연령이 낮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았다. 직무스트레스 상위 5개 하부요인에서의 관련 요인은 하부요인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물리적 업무요구에서는 성별과 근무부서가 관련요인으로 나타났다. 여자, 중환자실 보다 병동, 외래부서, 행정부서가 높았다. 근무 유해 환경요인에선 직위와 확진환자 간호경험이 관련 요인이였다. 전담간호사, 확진환자 간호경험이 있을수록 점수가 높았다. 선행연구와 비교했을 때, 팬데믹 상황에서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관련요인으로 새롭게 나타난 요인은 없었다. 결론 및 의의 : 코로나-19 유행전 보다 팬데믹후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점수가 더 높았다. 그 중 물리적 업무, 보상의 적절성, 근무 유해 환경요인에서 변화가 컸다. 직무스트레스 관련 요인은 성별, 연령, 직위였다. 추가 분석을 통해 직무스트레스 하부요인마다 관련 요인이 각각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직무스트레스 개선 활동을 계획할 때, 하부요인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정하고 요인마다 맞춤 개선활동이 필요하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목적 3
3. 용어정의 3
Ⅱ. 문헌고찰 4
1. 코로나-19 4
2.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의 직무스트레스 5
3.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7
Ⅲ. 연구방법 9
1. 연구설계 9
2. 연구대상자 및 표본크기 10
3. 자료수집과정 10
4. 측정도구 10
5. 분석방법 13
6. 연구윤리 14
Ⅳ. 연구 결과 15
Ⅴ. 논의 23
Ⅵ. 연구 결론 28
참고문헌 2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