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주관적 이명 경험과 삶의 질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Subjective tinnitus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초록/요약

본 연구는 주관적 이명 경험에 따른 만 40세 이상 성인의 주관적 이명 경험과 삶의 질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8기 1차년도(2019), 2차년도(2020) 원시자료 중 만 40세 이상 성인 중 최근 1년 이내, 주관적 이명 경험 여부에 대해 응답한 성인 4,81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SAS ver 9.4를 이용하였으며, 카이제곱 검정, T-test, ANOVA,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 이명 경험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성별, 연령, 가구소득. 교육 수준, 직업으로 나타났고, 건강행태 특성은 주관적 건강인지, 음주, 우울증, 스트레스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질병 이환 특성은 고혈압, 당뇨병, 직업적 소음노출, 어지럼증 및 균형감 이상, 중등도 이상 난청, 중이염에서 유의한 연관성이 확인되었다.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지수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성별, 연령, 가구소득, 교육 수준, 직업으로 나타났다. 건강행태 특성에서는 주관적 건강인지, 음주,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 스트레스, 우울증으로 나타났고, 질병 이환 특성에서는 고혈압, 당뇨병, 어지럼증 및 균형감 이상, 중등도 이상 난청, 고막이상, 중이염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특성, 질병 이환 특성을 보정한 후 주관적 이명 경험과 삶의 질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주관적 이명 경험이 없는 집단에 비해 있는 집단에서 삶의 질 지수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β=-0.014, p=0.011). 본 연구를 통해 주관적 이명 경험과 삶의 질의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중노년층의 전반적인 삶의 질 관련 요인을 고려하여 주관적 이명 경험이 있는 집단과 없는 집단의 비교를 통해 연관성을 보다 명확히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주관적 이명 경험이 있는 사람들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해 건강행태를 개선하고,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고려한 관리방안을 모색하며, 사회적 차원에서 관심을 갖고 노력한다면 삶의 질 저하에 있어 효과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본 연구자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각 특성별로 세부화하여 분석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향후 연령대를 확대하고 특성별 구체적인 지표들을 추가한 심층적인 분석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주관적 이명 경험과 삶의 질의 연관성을 확인한 본 연구의 결과는 주관적 이명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고, 사회적 차원에서의 예방 및 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association between subjective tinnitus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Raw data from the 1st year(2019) and 2nd year(2020) of the 8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used, Among adults aged 40 years or over, 4,810 people who responded about their subjective tinnitus experience within the last year were analyzed. SAS ver 9.4 was used for analysis, and Chi-square test, T-test, ANOVA,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ubjective tinnitus experience analysi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gender, age, household income, education level, and occupation. And as a result of subjective tinnitus experience analysis according to health behavior characteristics,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drinking, depression, and stress. Final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ubjective tinnitus experience analysis according to disease morbidity characteristics,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hypertension, diabetes, occupational noise exposure, dizziness and abnormal balance, moderate to severe hearing loss, and otitis medi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ssociation between subjective tinnitus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after correct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 characteristics, and disease morbidity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it was confirmed that the group with subjective tinnitus experience had a lower quality of life than the group without subjective tinnitus experience(β=-0.014, p=0.011). Through this study, considering factors related to quality of life, we compared the group with and without subjective tinnitus experience. And we were able to accurately confirm the association between subjective tinnitus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subjective tinnitus, it is necessary to improve health behavior, consider management plans that reflect demographic characteristic and pay attention at the social level.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create effective improvement measures to prevent deterioration in quality of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e the association between subjective tinnitus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and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improve society members' awareness of subjective tinnitus and to create prevention and management measures at the social level.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 필요성 4
3. 연구 목적 7
Ⅱ. 연구 방법 8
1. 연구 대상 8
2. 연구모형 10
3. 연구에 사용된 변수 11
4. 분석 방법 16
5. 연구윤리 17
Ⅲ. 연구 결과 18
1.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특성, 질병이환 특성에 따른 주관적 이명 경험 18
가.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 이명 경험 18
나. 건강행태 특성에 따른 주관적 이명 경험 20
다. 질병 이환 특성에 따른 주관적 이명 경험 22
2. 주관적 이명 경험에 따른 삶의 질 24
3.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특성, 질병 이환 특성에 따른 삶의 질 26
가.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26
나. 건강행태 특성에 따른 삶의 질 28
다. 질병 이환 특성에 따른 삶의 질 30
4. 주관적 이명 경험과 삶의 질 연관성 32
Ⅳ. 논의 38
Ⅴ. 결론 42
참고문헌 45
부록 49
ABSTRACT 5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