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The Trend of the Burden of Malaria in Sub-Saharan Africa and Its Association with Development Assistance for Health and Governance

초록/요약

Even with the vast investment in malaria alleviation programs, malaria remains the 6th leading cause of death in low-income countries. With over 90% of the 241 million cases and 627,000 deaths caused by malaria in 2020 belonging to Sub-Saharan Africa (SSA), the region remains the prime focus of malaria intervention, and the 3.3-billion-dollar contribution by donors in 2020 is justified. The trend of malaria in Sub-Saharan Africa has been noted to be reduced, but the rate of change remains quite different by country and sub-region and some countries have reported increases. Yet the effect of individual countries’ governance on these differences remains a debatable issue. This study aimed at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 Assistance for Health (DAH) and Governance on the trend of the burden of malaria. The study used data from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9 to estimate the trend by using the Joinpoint regression program, and Institute of Health Metrics and Evaluation’s DAH database, and World Bank Governance Indicators to analyze the DAH and Governance respectively from 2000 to 2017 and used two-way fixed effects to establish their association with the trend in the period. Study findings show decreases in SSA’s Age-standardized rates for Disability-Adjusted Life Years (DALYs) (-47%(-69% to -14%)) Deaths(-38%(-65% to -3%)), Incidence(-35%(-44% to -25%), and Prevalence(-34%(-43% to -24%)). There was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age-standardized DALY rates and DAH per capita (-134.29 p-value <0.0001) and Governance (-246.19 p-value <0.0001). Study findings indicate that increases in DAH and improved governance are associated with a decreased burden of malaria in Sub-Saharan Africa.

more

초록/요약

말라리아 예방 및 통제 프로그램에 대한 막대한 투자에도 불구하고 말라리아는 여전히 저소득 국가에서 6번째로 큰 사망 원인이다. 2020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SSA) 지역의 말라리아 사망자수는 62만7000명에 달하며, 전세계 말라리아 사망률 중 90% 이상 차지하기 때문에 여전히 말라리아 개입의 주요 초점지역이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말라리아 유병률은 감소했지만, 국가와 지역에 따라 변화 속도가 상당히 다르며 일부 국가에서는 증가했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에 대한 개별 국가의 거버넌스의 영향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는 문제로 남아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의 개발원조(DAH)와 보건의료 거버넌스가 말라리아 질병부담에 미치는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세계질병부담연구 2019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Joinpoint regress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2000년부터 2017년까지 말라리아 질병부담의 추이를 확인하였다. DAH는 보건계량평가연구소(IHME)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거버넌스는 세계은행에서 추정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보건계량연구소 (IHME)의 DAH을 사용하 양방향 고정효과 분석을 이용하여 말라리아 질병부담과 DAH와 거버넌스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SSA의 연령표준화 장애보정생존연수(DALY) (-47%(-69% ~ -14%))사망률(-38%(-65% ~ -3%)), SSA 발생률(-35%(-44% ~ -25%), 유병률(-34%(-43% ~ -24%))이 감소하였다. 연령 표준화 DALY 비율과 1인당 DAH(-134.29 p-값 <0.0001)와 거버넌스(-246.19 p-값 <0.0001) 사이에는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이 연구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말라리아 부담 감소가 DAH 증가 및 거버넌스 개선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more

목차

I. Chapter 1. 1
1.1. Introduction 1
1.1.1. Background 1
1.1.2. Purpose 5
1.2. Literature Review 6
1.2.1. Malaria 6
1.2.2. Malaria in SSA 7
1.2.3. Development Assistance for Health 7
1.2.4. DAH for Malaria 9
1.2.5. Governance and Health 10
1.2.6. Summary 11
II. Chapter 2. 12
2.1. Methodology 12
2.1.1. Data Source 12
2.1.2. Measures 15
2.1.3. Statistical Analyses 16
III. Chapter 3 19
3.1. Results 19
3.1.1. Trends in SSA and subregions 19
3.1.2. Notable Country Specific Trends 23
3.1.3. Trends By Age (The High Burden Among Children Under 5 Years) 24
3.1.4. The Association of the Burden with DAH and Governance 27
IV. Chapter 4 31
4.1. Discussion 31
4.2. Conclusion 38
V. References 39
VI. Korean Abstract 45
VII. Supplementary Materials 4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