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신도시 대중교통 통행 성장 요인 분석

Factor Analysis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Travel Growth in New Towns

초록/요약

국내 신도시는 1기, 2기를 거쳐 3기까지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신도시 인구도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입주초기 대중교통 공급 부족 문제로 교통난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신도시 대중교통 부족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는 신도시가 완성된 도시가 아닌 개발 중인 도시이므로 교통기반시설이 부족하고, 대규모 광역교통수단은 수익성 등의 이유로 입주 초반에 공급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도시 교통난 해결을 위해서는 신도시 성장에 따라 변화하는 대중교통 수요에 맞는 적정한 규모의 대중교통 공급이 필요하다. 대중교통 수요와 공급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대중교통 통행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신도시를 중심으로 패널선형회귀모형을 활용하여 대중교통 통행 성장 요인을 분석하였다. 대중교통 통행량을 종속변수로 인구와 버스노선 수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 패널선형회귀모형 중 임의효과 모형이 가장 적합하였고, 임의효과 모형에서는 인구가 10% 증가할 때마다 통행량은 2.7% 증가, 버스노선 수가 10% 증가할 때마다 통행량은 7.1%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신도시 대중교통 통행량과 인구, 버스노선 수 간 관계를 모형화 하였으므로 이를 통해 수요에 따른 최적 대중교통 공급 수준을 파악하고, 수요 규모에 따른 공급 규모를 결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ore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범위 2
제2장 선행연구 고찰 6
제1절 대중교통 통행, 수요 영향요인 분석 관련 연구 6
제2절 패널회귀모형 분석 관련 연구 8
제3절 기존연구의 한계와 차별점 11
제3장 기초자료 구축 및 분석 12
제1절 기초자료 구축 12
제2절 기초자료 분석 15
제4장 분석 방법론 및 결과 25
제1절 패널선형회귀모형 관련 이론 검토 25
제2절 변수 설정 27
제3절 모형추정 결과 29
제5장 결론 및 향후 연구 방향 46
제1절 결론 46
제2절 향후 연구 방향 47
참고문헌 49
Abstract 5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