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유방암 생존자의 여가시간 신체활동과 건강관련 삶의 질

The association between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survivors

초록/요약

본 연구는 유방암 생존자의 여가시간 신체활동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를 알아보고, 유방암 생존자가 적절한 여가시간 신체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운동강도별 횟수를 활용하여 일주일간 여가시간 신체활동량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인 GSLTPAQ와 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는 SF-12v2를 사용했다. 대상자 모집은 경기도 소재 권역암생존자통합지지센터에 등록 혹은 방문한 유방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135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SPSS Win 25.0을 이용해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유방암 생존자의 주간 고강도 운동횟수는 평균 1.6(±1.7)회, 주간 중강도 운동횟수는 평균 2.7(±2.0)회, 주간 저강도 운동횟수는 평균 3.5(±2.2)회였으며, 여가시간 신체활동 총점은 평균 38.2(±21.6)점으로 나타났다. 활동적인 여가시간 신체활동을 하는 경우는 43%, 활동부족인 경우는 57%로 나타났다. 건강관련 삶의 질은 신체적 요약지표(PCS) 48.5(±7.4), 정신적 요약지표(MCS) 47.8(±8.7)로 나타났다. 여가시간 신체활동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를 분석하자 여가시간에 활동적 신체활동을 하는 유방암 생존자가 활동이 부족한 그룹에 비해 PCS와 MCS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PCS와 MCS 모두 여가시간 신체활동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약한 정도의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가시간 신체활동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자 중강도 이상 운동을 투입한 모형이 PCS와 MCS 모두 유의하였다. 중강도 이상 운동을 많이 할수록 PCS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MCS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유방암 생존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여가시간 중 활동적 신체활동의 중요성에 대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유방암 생존자의 성공적인 일상복귀와 건강증진을 위해 치료 이후 여가시간 동안 신체활동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권장할 필요가 있다.

more

초록/요약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firms the association between Leisure-Time Phsycial Activity(LTPA)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HRQoL) in Breast cancer survivo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breast cancer survivors at the integrated support center for cancer survivors in Gyeonggi-do(N=135). For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GSLTPAQ developed by Gordin and Shephard was used, and SF-12v2 was used to measur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esults: The average number of strenuous exercises was 1.6(±1.7), the average number of moderate exercises was 2.7(±2.0), and the average number of mild exercises was 3.5(±2.2), and the total score of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was 38.2(±21.6). It was found that 43% of active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and 57% of insufficiently activ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found to be 48.5(±7.4) of physical component summary(PCS) and 47.8 (±8.7) of mental component summary(MCS). Whe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in leisure tim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reast cancer survivors who were active in leisure tim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both PCS and MCS than in thegroup with insufficient activity. In addition, both PCS and MCS showed a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hysical activity in leisure time. When analyzing the effect of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oth PCS and MCS were significant in the model with moderate to strenuous exercise. It was found that PCS increased as more moderate to strenuous exercise was performed, but it was not shown 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 in MCS. Conclusions: In order to successfully return to daily life and improve health of breast cancer survivors,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them to do enough physical activity during their leisure time.

more

목차

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B. 연구 목적 4
C.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고찰 6
A. 여가시간 신체활동 6
1. 여가의 개념 6
2. 건강의 측면에서 여가의 역할 7
3. 여가시간 신체활동 10
B. 건강관련 삶의 질 12
1. 건강관련 삶의 질이란 12
2. 암생존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12
Ⅲ. 연구방법 14
A. 연구설계 14
B. 연구가설 15
C. 연구대상 16
D. 연구도구 17
E. 자료수집 방법 18
F. 분석방법 19
Ⅳ. 결과 20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0
B. 여가시간 신체활동 22
C. 건강관련 삶의 질 23
D. 일반적 특성과 여가시간 신체활동 24
E.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 삶의 질 27
F. 여가시간 신체활동과 건강관련 삶의 질 29
1. 여가시간 신체활동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29
2. 여가시간 신체활동, 건강관련 삶의 질 상관관계 31
3. 중강도 이상 운동이 PCS에 미치는 영향 33
4. 중강도 이상 운동이 MCS에 미치는 영향 37
Ⅴ. 고찰 40
Ⅵ. 결론 44
참고문헌 45
부 록 58
ABSTRACT 7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