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국어와 베트남어 명령문의 대조 연구

A Contrastive Study of Imperative Sentences in Korean and Vietnamese

초록/요약

본 연구는 한국어 명령문과 베트남어 명령문을 대상으로 명령문의 특징을 대조 분석하고 양 언어 명령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고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명령문은 어느 언어에나 존재한다. 명령문은 평서문이나 의문문과 달리 화자가 청자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요구하는 문장이다. 이러한 화용적 특징은 한국어와 베트남어 모두 비슷하다. 하지만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통사적 특징에는 양 언어의 공통점보다 차이점이 많다. 그 이유는 양 언어가 서로 다른 언어 계통에 속하기 때문이다. 근거로 한국어는 교착어에 속하며 서술어에 명령형 종결어미와 결합해야 명령문을 만들 수 있다. 하지만 베트남어는 어미와 같은 문법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고립어에 속하므로 명령문을 만들기 위해 서술어가 명령 부사나 어기 조사, 수행 동사, 조동사와 결합하는 것도 있고 서술어의 자체가 문말 억양의 도움으로 명령문을 만들 수 있다. 또한, 한국어의 명령형 종결어미는 명령문을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대높임법도 동시에 기능하는데 한국어에서 독특한 문법 요소 중의 하나이다. 이상으로 보았듯이 양 언어의 특징이 공통점도 있고 차이점도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조언어학에서는 학습자들이 자기 언어와 학습하는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할 수 있다면 언어 학습 과정에 도움이 된다고 보았다. 이를 파악하는 것은 외국어 학습의 어려움을 예측할 수 있다는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는 4장으로 구성하였다. 제1장 서론 부분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연구의 대상과 방법을 기술하였다. 제2장은 한국어와 베트남어 명령문의 정의와 실현 양상을 고찰하였다. 명령문의 정의는 양 언어에 비슷하게 나타나지만 실현 양상은 완전히 다르다. 특히 베트남어에서 수행 동사와 조동사로 이루어진 명령문은 한국어에서 대응하는 문장이 명령문으로 간주되지 않는 큰 차이점이 있다. 제3장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 명령문의 각 특징을 알아보는데 명령문의 주어, 서술어, 부정 명령문 그리고 명령문의 공손 표지를 순서대로 고찰하고 다음의 각 특징에서 양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첫째, 명령문의 주어 특징에서 출현 여부와 주어의 인칭에 대해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명령문에서 주어가 자주 생략되는 경향이 많다. 하지만 베트남어에서 한국어의 경우보다 주어의 생략이 자유롭지 못하다는 차이점을 밝혔다. 주어의 인칭에 대해 전반적으로 양 언어의 주어가 주로 1인칭 복수나 2인칭에 국한되지만 1인칭 복수가 주어로 쓰인 문장은 한국어에서 청유문에 해당하는 반면 베트남어에서는 명령문에 해당한다. 둘째, 명령문의 서술어의 경우 서술어의 시제와 상, 서술어의 제약을 순서대로 알아보고 대조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명령문은 화자가 청자에게 미래의 행동을 요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양 언어의 명령문은 '미래성'을 취하는 유사점이 있다. 또 양 언어 모두 명령문에서 '행위지속상'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한국어에서는 '-고 있-'과 '-어 있-'로 표현하고 베트남어에서 'cứ'로 표현한다. 명령문은 서술어 자리에서 동사와 형용사가 모두 들어갈 수 있지만 한국어의 경우 원래 명령문의 서술어 자리에서 동사만 가능하다는 규범적 관점이 아직 존재하기 때문에 형용사가 명령문에 쓰일 수 있는 실제 사용 현황에 따져 보면 그 빈도가 높지 않다. 셋째,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부정 명령문을 살펴보았을 때 양 언어에서 명령문의 별도 부정 표현을 사용하는 것은 유사하다. 한국어의 경우 '-지 말다'가 있고 베트남어의 경우 'Đừng', 'chớ'라는 부정 명령 부사가 있다. 또한 베트남어에서 'Đừng', 'chớ' 외에 'không được(안 되다)'와 'cấm(금지하다)'으로도 부정 명령문을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안 되다'와 '금지하다'는 한국어에서 부정 명령을 표현할 수 있는데 부정 명령문은 아니다. 마지막으로 명령문에 적용될 수 있는 공손 표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양 언어의 공손 표지는 거의 비슷하나, 한국어에 존재하는 독특한 상대높임법과 유사한 용법이 베트남어에는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신 베트남어는 대명사, 수행 동사와 어기 조사를 사용하여 명령문을 부드럽게 만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4장은 본 연구에서 대조한 결과를 다시 정리할 것이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imperative sentences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by analyzing and contrasting the characteristics of imperative sentences in both languages. It is true that imperative sentences exists in all languages. Unlike declarative sentences and interrogative sentences, imperative sentences is a sentence that the speaker requires the listener to do something. This pragmatic characteristics is seemed similar in Korean and Vietnamese. However, there are more differences than similarities in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between two languages. The reason is that Korean and Vietnamese belong to different language families. Korean belongs to agglutinative languages, so imperative sentences can be only made when the predicate is combined with imperative final endings. However, Vietnamese which belongs to isolated language does not have those such imperative final endings. So to make imperative sentences, predicate can be combined with imperative adverbs, modal particles, performative verbs, or auxiliary verbs. Also, in Vietnamese, predicate itself can make imperative sentences with the help of intonation. Furthermore, imperative final endings in Korean not only creates imperative sentences, but also takes charge of addressee honorification and that makes it one of the unique grammatical elements in Korean. As seen above, it can be concluded that Korean and Vietnamese have some similarities along with differences in imperative sentences. In contrast linguistics, it is helpful for the learners to grasp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ir mother language and the target language. More than that, learners can even predict the difficulties in the progress of acquiring their target language. With that purpose, this study is made with 4 chapters. Chapter 1 is the introduction which consisting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previous studies' revision, the subject and method of the study. In Chapter 2, based on the basic discussions, this paper described definition and realization patterns of two languages' imperative sentences. The definition of imperative sentences appears similar in both languages, but the realization patterns are completely different. Especially, in Vietnamese, performative verbs and auxiliary verbs are also used to make imperative sentences while in Korean, these kind of verbs can not be used to make imperative sentences. In Chapter 3, this paper analyzed and contrasted the imperative sentences of both languages on its characteristics which are subject and predicate of imperative sentences, negative imperative sentences, and politeness markers. First, in the subject of imperative sentences, the paper examined the subject's appearance status and the subject's person. The subject tends to be omitted in the imperative sentences. However, the paper has figured out that in Korean, the subject can be omitted in most cases while in Vietnamese, the subject must be considered carefully before being omitted. About the subject's persons, it is usually in first-person plural or second-person whichis similar in both languages.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first-person plural, it is considered as request sentences in Korean. Secondly, about the predicate of imperative sentences, this paper analyzed and contrasted the tense and aspect of the predicate, together with the constraints of predicate. In both languages, the imperative sentences is supposed to be in future tense because imperative sentences is the sentence that the speaker requires the listener an action in the future. To mention about aspect, both languages all have 'continuation of action aspect' in imperative sentences which is expressed by '-go it-' and '-eo it-' in Korean and by 'cứ' in Vietnamese. Continuously, in the predicate constraints, the predicate of imperative sentences can be verb or adjective which is similar in both languages. However, due to the normative perspective which only verbs can be predicate of imperative sentences in Korean, the usage frequency of adjectives in imperative sentences is pretty low. Thirdly, it is similar that both languages has separate negative markers in negative imperative sentences which is '-ji malda' in Korean and 'Đừng', 'chớ' in Vietnamese. In addition to Đừng' and 'chớ', in Vietnamese, 'không được' and 'cấm' can also be used to make negative imperative sentences while those corresponding expressions in Korean are not used to make negative imperative sentences. Finally, this paper analyzed and contrasted the politeness markers used in imperative sentences of two languages. It is found out that both languages use some similar politeness markers. However, the unique imperative endings of Korean which functions as honorific expression, does not exist in Vietnamese, but pronouns, performative verbs and modal particles can be used to play the same role. In Chapter 4, this paper summarized the above results of contrasting between two languages.

more

목차

1. 서론 1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1.2. 선행 연구 3
1.3. 연구 대상 및 방법 7
2. 기본적 논의 9
2.1. 명령문의 정의 9
2.2. 한국어와 베트남어 명령문의 실현 양상 13
2.2.1. 한국어 명령문의 실현 양상 13
2.2.2. 베트남어 명령문 실현 양상 19
3. 한국어와 베트남어 명령문의 특징 대조 25
3.1. 한국어와 베트남어 명령문의 주어 대조 25
3.1.1. 주어의 출현 여부 25
3.1.2. 주어의 인칭 32
3.1.3. 주어에 대한 대조 분석 39
3.2. 한국어와 베트남어 명령문의 서술어 대조 41
3.2.1. 서술어의 시제와 상 42
3.2.2. 서술어의 제약  48
3.2.3. 서술어에 대한 대조 분석 59
3.3. 한국어와 베트남어 부정 명령문 대조 60
3.3.1. 한국어 부정 명령문 60
3.3.2. 베트남어 부정 명령문 63
3.3.3. 부정 명령문에 대한 대조 분석 65
3.4. 한국어와 베트남어 명령문의 공손 표지 66
3.4.1. 한국어 명령문의 공손 표지 67
3.4.2. 베트남어 명령문의 공손 표지 72
3.4.3. 한국어와 베트남어 명령문의 공손 표지 대조 79
4. 결론 81
<참고문헌> 8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