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Job Crafting Questionnaire(JCQ)에 대한 타당화 연구

A study for validation of Job Crafting Questionnaire(JCQ)

초록/요약

본 연구는 잡 크래프팅이 조직 구성원들로 하여금 자발적으로 직무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개인의 효용을 넘어 조직 차원의 성과로 이어진다는 점을 주목했다. 조직 구성원의 동기 부여에 관심이 커지면서 학계는 물론 실무현장에서도 잡 크래프팅의 효과를 다루는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잡 크래프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려는 시도도 함께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추세에 발맞추어 최근 잡 크래프팅의 관계, 과업, 인지, 기술적 측면과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을 포함한 조절초점의 개념을 통합해 기존 척도보다 잡 크래프팅을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개발된 잡 크래프팅 척도인 Job Crafting Questionnaire(JCQ)에 대한 국내 타당화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304 명의 사무직 노동자를 대상으로 타당화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JCQ의 8요인 모형이 국내 환경에서 적합한 타당도를 확보했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와 동시에 해당 척도가 직무탈진, 직무열의와 가지는 준거관련성을 검증하였으며, 이를 통해 잡 크래프팅이 직무열의와 가지는 유의미한 연관성을 확인했다. 연구를 마무리하며 한계와 의의를 통해 학문적, 실무적 함의를 기술했다.

more

초록/요약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a Job Crafting Questionnaire(JCQ) scale for employees in Republic of Korea. Job crafting is an individually-driven work design process which changes the meaning of one's job. To identify the validity of the JCQ scale, this study used 304 Korean employees. All items from the scale were translated into Korean through cross-validation from multi-lingual researchers. This study perform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ation, and the eight-factor model of JCQ was supported with reasonable fit. Moreover, this study found JCQ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work engagement and slightly related to burnout.

more

목차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4
1.잡 크래프팅 4
2.Wrzesniewski와 Dutton의 JCQ(Job Crafting Questionnaire) 6
3.Tims와 Bakker의 JCS(Job Crafting Scale) 7
4.Bindl 등의 척도(Job Crafting Questionnaire) 8
5.잡 크래프팅의 선행 요인 10
6.잡 크래프팅의 결과 변인 12
1)직무탈진 13
2)직무열의 14
Ⅲ. 연구방법 16
1. 연구대상 16
2. 연구절차 16
3. 분석방법 16
4. 측정도구 17
1)잡 크래프팅 척도 17
2)직무탈진 척도 18
3)직무열의 척도 19
Ⅳ. 연구결과 19
1. 신뢰도 및 상관분석 19
2. 확인적 요인분석 및 모형 부합도 지수 22
3. 준거관련타당도 37
V. 논의 39
1. 이론적 그리고 실무적 함의 40
2. 한계점과 향후 연구 제안 42
참고문헌 44
부록 51
Abstract 6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