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온라인 공동체에 참여한 귀농인들의 주도적 학습활동 탐구 : '밤을 잊은 농부들' 사례를 중심으로

초록/요약

This thesis is a study to explore the meaning of lifelong learning by paying attention to the context of the online community in which the returning farmers participate and the aspect of initiative in the learning process. Looking at the returning farmers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t epistemology and activity theory, in what context their learning activities were developed, and how they develop the community in the relationship of learning activities, the learning activities of returning farmers in the online community It was intended to reveal what kind of aspect of initiative that appear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er selected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and conducted the study. As a research case, ‘Farmers Who Forgot the Night’, a non-profit private organization that is continuing active transformation, was selected. In 'Farmers Who Forgot the Night', the returning farmers were learning for the purpose of online marketing, so they were able to collect data thickly through various online contents such as blogs, YouTube, and cafes that they run individually. In addi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I was able to deeply understand and describe the process of dynamics and mixing of learning activities expressed at the individual and community levels of returning farmers. The findings through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 learning activities of returning farmers were triggered for the purpose of finding a way for online direct transactions due to the irrational distribution structure and market limitations experienced in the delivery process of products produced after returning to the farm. The returning farmers of 'Bamnong' are leading the process and procedures because they raise questions about the delivery process and start learning for the purpose of expanding direct transactions by setting their own product prices. In the beginning stage of learning, learning activities were continued for the purpose of personal gain. At this stage, the results of learning are not visible, but since the returning farmers have a clear purpose, they have not stopped active efforts to reconstruct the experience of farming activities and make them into online contents. Second, since returning farmers are in a situation where they have to continue learning while engaged in farming activities, they needed a teacher who would inform them of the necessary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lead them to continue learning. In other words, because there was a limit to leading learning without an instructor, learning activities were conducted in 'Bamnong', and the instructor and leader of 'Bamnong' were playing the role of a kind of solver for the returning farmers. For this reason, in the online community 'Bamnong', along with returning farmers who engage in independent learning activities, educators who help them continue their learning and create new values ​​are important elements of the activity system. When the learning activities at 'Bamnong' first started, the representative took on the role of a professor in the form of talent sharing, but as the returning farmers grow, their roles are mixed as both a teacher and a colleague who help each other learn. At the same time, since it is for me and my family to expand direct transactions through online marketing, relationships with family members and efforts to understand them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social interaction process that continues learning. Third, the process in which returning farmers actively participate in the marketing education of chestnuts for direct trade and develop learning activities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according to the time period. The first process of learning activities through the online community of returning farmers consists of learning activities that build up marketing knowledge through hard work. It is a time when repeated efforts to become familiar with the contents learned by participating in education and purpose-oriented learning activities to compose one's own contents based on this are simultaneously made. The next stage is the process of sharing with unspecified people by implementing the knowledge that the returning farmers have continuously learned and learned, and it is the period when the sense of community is revealed. Returning farmers experience boredom about learning by continuously implementing work and learning in parallel, but based on consensus with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they were able to see how they were able to overcome each other by becoming stronger and stronger. Interaction and learning within the community are composed more deeply and diversely with content, which is a material for marketing activities in the online space. As a result, as the meeting with new neighbors through content is expanding, it is actually a period in which direct trade in products of returning farmers gradually expands. The last stage is the period when the returning farmer learns and applies new knowledge according to the change, and experiences immersion. Since the online environment has unexpected and variable characteristics, it is becoming a driving force for returning farmers to learn continuously. The knowledge generated in this way is shared with the individual values ​​of returning farmers, and it is expanding into a relationship of sharing and connection. Fourth, in the online community, the pattern of the farmer's leading learning activities is changing from a learner who expands his/her workplace in nature to a seller of self-produced products and a producer who weave knowledge anew. Although the learning method, time, and content appearing in the process of leading learning activities of returning farmers differ according to their previous occupations and experiences, the initiative in the process of creating content for the sale of their own products is not made separately from the living world, but is connected. There are commonalities that appear. Fifth, returning farmers are creating and sharing their own knowledge by filling in the questions and gaps that arise from self-learning through collaboration with the members of 'Bamnong'. Through this process, new neighbors are created along with a sense of community, and the number of inquiries about products is increasing and meeting customers. Because the purpose of direct sales of products was clear, the returning farmers were able to overcome difficulties with persevering efforts, collaborate with community members in a common direction, and meet consumers through their own marketing materials. Sixth, the learning activities of returning farmers were thoroughly started for personal gain, but as they learn through talent donation, they receive education and form relationships with community members through study, and as learning continues, mixing beyond interests occurs. started Returning farmers broadened their interest in others and expanded their activities to new sharing and encounters through pooming activities that crossed the boundaries of neighbors and regions. As a result, the returning farmers are actively meeting new neighbors, sharing learning by continuing cooperation to live well together, and taking the lead in creating new social values, expressing various influences. The meaning and implications of lifelong learning of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reveals the process of when, where, why, and how the initiative of adult learners is realized through the image of returning farmers participating in the online community and continuing their learning activities. Second, the process of developing an online community in the relationship of returning farmers to learning activities was revealed based on the constructivist epistemology and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and how social mutual learning is being carried out and expanding. It is meaningful in that it describes the process of actively gathering, intersubjective, and forming and developing an online community in which the individual and relative experiences and knowledge of returning farmers are actively gathered. Third, the interest was expanded to the area of ​​relevance between the learning activities of learners and the various systems that act as important mediators in the online community's learning. Through thi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is possible to see what kind of influence the returning farmers socially exchange and grow together through the learning relationship. Lastly, it specifically revealed the pattern of the leading learning activities of the returning farmers who participated in the online community. From the point of view of lifelong education, it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setting strategies on how to help the returning farmers to grow and grow together with the community without ending their learning activities. Key words: returning farmers, online community, initiative, learning activity, constructivism, activity theory

more

초록/요약

본 논문은 귀농인이 참여하고 있는 온라인 공동체의 구성맥락과 학습활동 과정의 주도성 양상에 주목하여 평생학습적 의미를 탐색한 연구이다. 구성주의 인식론과 활동이론의 관점에서 귀농인을 바라보고 그들의 학습활동은 어떠한 맥락으로 전개되었는지, 그리고 어떻게 학습활동을 하는 관계 속에서 공동체를 발전시켜 나가는지, 온라인 공동체에서 귀농인이 학습활동을 하며 나타나는 주도성은 어떠한 양상을 갖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선택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사례로는 능동적 전환을 지속하고 있는 비영리 민간단체 ‘밤을 잊은 농부들’을 선정하였다. ‘밤을 잊은 농부들’에서 귀농인들은 온라인 마케팅을 목적으로 학습활동을 하고 있기 때문에 그들이 개별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블로그, 유튜브, 카페 등의 각종 온라인 콘텐츠를 통해 두텁게 자료를 수집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귀농인 개인 층위와 공동체 층위에서 발현되는 학습활동의 역동과 뒤섞임의 과정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기술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한 발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귀농인의 학습활동은 귀농이후 생산한 상품의 납품과정에서 경험한 비합리적 유통구조와 판로의 한계로 인해 온라인 직거래를 위한 방법을 찾고자 하는 목적에서 촉발되었다. ‘밤농’의 귀농인들은 납품 과정에 문제를 제기하고, 스스로 자신의 상품가격을 정하여 직거래를 확대하기 위한 목적으로 학습을 시작하기 때문에 그 과정과 절차를 주도적으로 이끌고 있다. 학습의 시작 단계에서는 이와 같이 개인의 이득을 위한 목적으로 학습활동이 지속되고 있었다. 이 단계에서는 학습의 성과가 가시적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귀농인은 분명한 목적이 있기 때문에 영농활동의 경험을 재구성하여 온라인 콘텐츠로 만들어 내는 능동적 노력을 멈추지 않고 있었다. 둘째, 귀농인은 영농활동을 하면서 학습을 이어가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알려주고 꾸준하게 학습이 지속되도록 이끌어 주는 교수자가 필요했다. 즉, 교수자가 없는 주도적 학습의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밤농’에서의 학습활동을 하게 되었으며, ‘밤농’의 교수자와 리더는 귀농인에게 일종의 해결사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온라인 공동체 ‘밤농’에서는 주체적인 학습활동을 하는 귀농인과 함께, 귀농인의 학습이 지속되고 새로운 가치를 생성할 수 있게 돕는 교육자도 활동체계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밤농’에서의 학습활동이 처음 시작될 때는 이처럼 교수자 역할을 대표가 재능나눔의 형태로 도맡아 하고 있었지만 점차 귀농인들이 성장해 가면서 상호간 학습을 조력해 주는 교수자이자 동료로서 역할이 뒤섞이고 있다. 이와 함께 귀농인이 온라인 마케팅을 통해 직거래를 확대 하는 것은 나와 내 가족을 위한 일이기 때문에 학습을 이어가는 사회적 상호작용 과정에 가족과의 관계와 이해의 노력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셋째, 귀농인이 직거래를 위해 밤농의 마케팅 교육에 본격적으로 참여하고 학습활동을 전개하는 과정은 시기에 따라 세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귀농인 온라인 공동체를 통한 학습활동의 첫 과정은 노력으로 마케팅 지식을 쌓아가는 학습활동으로 이루어진다. 교육에 참여하여 배운 내용에 익숙해지기 위한 반복적인 노력과 이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콘텐츠를 구성해 보는 목적 지향적 학습활동의 노력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다음 단계는 귀농인이 꾸준히 배우고 익힌 지식을 이행함으로써 불특정 다수에게 공유하는 과정이며 공동체성이 드러나는 시기이다. 귀농인들은 일과 학습을 병행하여 지속적으로 이행하면서 학습에 대한 권태감을 경험하지만, 공동체의 구성원들과 공감대를 바탕으로 서로 다독이면서 돈독해 져서 함께 이겨나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동체 내의 상호작용과 학습은 온라인 공간에서의 마케팅 활동 자료인 콘텐츠로 더욱 깊이 있고 다양하게 구성된다. 그 결과 콘텐츠를 매개로한 새로운 이웃과의 만남이 확장되면서 실제적으로 귀농인들의 상품에 대한 직거래가 점차 확대되는 시기이다. 마지막 단계는 귀농인이 새로운 지식을 변화에 맞추어 다시 배우며 적용하고, 몰입의 경험을 하게 되는 시기이다. 온라인 환경은 예상하지 못한 가변적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귀농인들이 지속적으로 학습을 하게 되는 동인이 되고 있다. 이렇게 생성된 지식은 귀농인 개별적인 가치를 담아 공유되고, 나눔과 이음의 관계로 확장되고 있다. 넷째, 온라인 공동체에서 귀농인의 주도적 학습활동의 양상은 자연에서 온라인으로 일터를 확장하는 학습자에서, 스스로 생산한 상품의 판매자로, 지식을 새롭게 엮어가는 생산자로 모습을 변화시키며 발현되고 있다. 귀농인들의 주도적 학습활동 과정에 나타나는 학습 방법과 시간, 내용은 이전의 직업이나 경험에 따라 다르지만 자신만의 생산품 판매를 위해 콘텐츠를 만들어 내는 과정적 측면의 주도성이 생활세계와 별도로 이루어지지 않고 연결되어 나타나는 공통점이 있다. 다섯째, 귀농인들은 스스로 학습하면서 발생하는 궁금증과 부족한 부분을 ‘밤농’의 회원들과 협업으로 채워가며 자신만의 지식을 생성하고 공유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공동체성과 함께 새로운 이웃이 생기고, 생산품에 대한 문의가 증가하면서 고객을 만나고 있다. 귀농인은 생산품의 직접 판매라는 목적이 분명했기 때문에 어려움을 인내의 노력으로 극복할 수 있었고 공동체 구성원들과 공동의 방향성을 갖고 협업할 수 있었으며, 직접 만든 마케팅 자료를 통해 소비자와 만나고 있다. 여섯째, 귀농인의 학습활동은 철저히 개인의 이득을 위해 시작되었지만, 재능기부를 통해 교육을 받고 공동체 구성원과 스터디를 매개로 관계를 맺으며 상호작용하면서 학습이 이어짐에 따라 이해관계를 넘는 뒤섞임이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귀농인들은 타인에 대한 관심의 영역을 넓히며 이웃과 지역의 경계를 넘는 품앗이활동을 통해 새로운 나눔과 만남으로 활동을 확장하였다. 이러한 결과 귀농인은 새로운 이웃과 능동적으로 만나고, 함께 잘 살기 위한 협력을 지속하여 배움을 나누고, 새로운 사회적 가치창출을 주동하면서 다양한 영향력을 발현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이 갖는 평생학습적 의미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온라인 공동체에 참여하여 학습활동을 지속 하는 귀농인들의 모습을 통해서 성인학습자의 주도성이 언제, 어디서, 왜, 그리고 어떻게 실현되는 지에 대한 과정이 드러나고 있다는 점에 의의를 갖는다. 둘째, 귀농인이 학습활동을 하는 관계 속에서 온라인 공동체를 발전시켜나가는 과정을 구성주의 인식론과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바탕으로 사회적 상호학습이 어떻게 이루어지며 확장되고 있는지를 밝혔다는 점이다. 귀농인의 개인적이고 상대적인 경험과 지식이 능동적으로 모이고 상호주관성을 갖으며 온라인 공동체로 구성 되고 발전시켜 가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셋째, 온라인 공동체의 학습을 주동하며 중요한 매개로 활동하고 있는 다양한 체계와 학습자의 학습활동이 갖는 관련성의 영역까지 관심을 확대하였다. 이를 통해 귀농인이 학습관계를 통해 삶 속에서 어떠한 영향을 사회적으로 주고받으며 함께 성장해 가는 지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공동체에 참여한 귀농인의 주도적 학습활동 양상을 구체적으로 밝혔다는 점이다. 평생교육 관점에서 어떻게 하면 귀농인의 학습활동이 배우는 차원에서 끝나지 않고 공동체와 함께 성장하면서 지속되도록 도울 수 있을 지에 대한 전략을 설정하는데 주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주제어: 귀농인, 온라인 공동체, 주도성, 학습활동, 구성주의, 활동이론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8
1. 귀농인과 귀농교육의 의미 10
가. 귀농인의 개념 10
나. 귀농교육에 나타난 특징 17
다. 성인학습이론에서의 귀농인 학습경험 19
2. 온라인 공동체에서의 학습활동 27
가. 공동체 학습활동의 특징 28
나. 온라인 공동체 학습활동의 특징 34
3. 구성주의 인식론과 학습 주체 37
가. 구성주의 인식론과 학습자 주도성 37
나. 구성주의 인식론의 문화역사적 확장 43
Ⅲ. 연구방법 57
1. 질적 사례연구 57
가. 질적 사례연구의 특징 57
나. 연구자의 내러티브 59
다. 예비면담 및 예비참여관찰 59
2. 연구사례와 연구 참여자 61
가. 연구사례 61
나. 연구참여자 64
3. 연구절차 및 분석 76
가. 자료수집 76
나. 자료분석 85
4. 연구의 진실성 및 윤리성 확보 86
가. 연구의 신뢰성 및 타당도 86
나. 연구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89
Ⅳ. 온라인 공동체 '밤을 잊은 농부들'의 생성 과정 91
1. 귀농 후, 문제 해결의 답은 온라인 직거래 92
가. 제값을 받고 싶은 내 상품 92
나. 정보를 알고 싶은 이방인 96
다. 물어보기 힘든 지식의 경계 99
2. 온라인 마케팅 교육활동을 시작한 귀농인 103
가. '1004 재능기부단' 교육활동으로 환원된 군인연금 103
나. 산넘고 물건너 '찾아가는 SNS 마케팅 교육' 108
다. '밤을 잊은 농부들'로 익어가는 공동체 115
라. 학습실행을 독려하는 카리스마와 분업 118
3. 온라인 학습공동체로 재구성된 '밤을 잊은 농부들' 122
4. 소결 129
Ⅴ. 온라인 공동체를 통한 귀농인의 학습활동 과정 132
1. 귀농인 층위: 직거래를 위한 온라인 마케팅 학습 시작 132
가. 시작: 드라마대신 선택한 인터넷강의 132
나. 내용: 미리캔버스부터 동영상편집까지 136
다. 과정: 시시콜콜한 노력 137
1) 학습자로 성장하기 위한 지속적인 학습활동 137
2) 반복과 인내로 만들어내는 나다운 콘텐츠 140
3) 변화의 흐름을 함께 타고 채워가는 동력 143
4) 지속성의 숨은 비결은 가족의 화합 144
라. 실천: 농장을 알리는 클릭 146
2. 온라인 공동체 층위: 실행과 협업이 있는 커뮤니티 149
가. 교육: 조율하고 맞추어 가는 소행성 149
나. 스터디: 흙과 나무가 있는 온라인 스터디 155
다. 소통: 우리를 알아가는 '온라인 소통의 시간' 158
라. 만남: 현실적 배움과 오고가는 공감대 160
3. 학습활동의 갈림길: 엇갈리는 마음을 딛고 이겨내기 165
가. 지속과 멈춤을 가름하는 규칙 165
나. 기다림과 긴장감이 있는 교육 168
다. 버겁지만 더 알고 싶은 새로운 지식 170
4. 개인과 공동체의 함성: 이해관계를 넘어서는 뒤섞임 172
가. 경계를 넘나드는 품앗이 172
나. 다독임으로 두둑해지는 하트 176
5. 소결 180
Ⅵ. 귀농인 활동체계의 주도적 변화 과정 183
1. 밤을 잊고 깨어있는 귀농인 183
가. 학습노력: 독수리 타자로 만들어가는 콘텐츠 183
나. 학습고조: 낮농밤공, 재미로 쌓아가는 저력 188
다. 활동체계변화: 온라인에서 만나는 이웃 190
2. 온라인 공동체로 모아지는 귀농인의 에너지 192
가. 학습관계: 위상전이가 이루어지는 협업과 실행 192
나. 귀농인의 경계넘기: 문화가 된 재능나눔 197
다. 공동체의 경계넘기: 모순을 극복하는 확장 201
3. 오롯하게 맺어가는 가치 205
4. '디지로그'로 연결하는 다음 페이지 207
5. 소결 212
Ⅶ. 논의 및 결론 214
1. 요약 214
2. 논의 및 결론 222
참고문헌 230
ABSTRACT 24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