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질병지각, 임파워먼트 및 자가간호행위

초록/요약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질병지각, 임파워먼트 및 자가간호행위의 정도를 파악하고 자가간호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상관성 연구이다.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병을 진단받고 강원도 소재의 W 대학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외래를 통하여 통원치료를 받는 환자 156명을 대상으로 2021년 5월 10일부터 2021년 10월 2일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 수집을 하였다. 질병지각은 Weinman 등(1996)이 개발한 Illness Perception Questionnaire (IPQ) 도구를 Broadbent 등(2006)이 단순화한 Brief Illness Perception Questionnaire (B-IPQ)를 성연실과 이영휘(2011)가 한국어로 번안한 도구로 측정하였으며, 임파워먼트는 Anderson 등(2003)이 개발한 37개 문항의 Diabetes Empowerment Scale (DES) 도구를 2003년도에 Anderson 등(2003)이 재수정한 Diabetes Empowerment Scale-Short Form (DES-SF)을 박금옥 등(2017)이 한국어로 번안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자가간호행위는 Toobert와 Glasgow(1994)가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개발한 Summary of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measure scale (SDSCA)을 장선주와 송미순(2009)이 한국어로 번안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질병지각은 평균 49.88점(총점 80점)이었으며, 임파워먼트는 평균 29.74점(총점 40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자가간호행위는 평균 66.95점(총점 112점)이었으며, 하위영역별로 보면 투약 문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자가간호행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나이(F=5.99, 𝑝=.003), 직업(t=-3.99, 𝑝<.001), 당뇨병 치료 방법(F=-3.05, 𝑝=.00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자가간호행위는 질병지각(r=.555, 𝑝<.001), 임파워먼트(r=.421, 𝑝<.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자가간호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질병지각(ß=.42, 𝑝<.001), 임파워먼트(ß=.29, 𝑝<.001)가 자가간호행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총 설명력은 45%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자가간호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 시 대상자의 질병지각, 임파워먼트, 나이, 직업을 고려하여야 하며, 본 연구 결과는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자가간호행위 증진을 위한 전략 마련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more

초록/요약

Illness Perception, Empowerment, and Self-Care Behaviors in Type 2 Diabetes Patients. Hae ji Kim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Jin Hee Park, RN., Ph.D.) This cross-sectional correlation study aimed to identify the degree of illness perception, empowerment, and self-care behaviors in Type 2 diabetes patients and determine the effect on self-care behaviors. This study collected data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administered from 10 May 2021 to 21 October 2021 to 156 patients diagnosed with Type 2 diabetes and receiving outpatient treatment in the Department of Endocrinology at W University Hospital in Gangwon-do province, South Korea. Illness perception was measured with the Illness Perception Questionnaire (IPQ) developed by Weinman(1996), simplified by Broadbent et al.(2006) as the Brief Illness Perception Questionnaire (B-IPQ), and translated to Korean by Seong Yeon-sil and Lee Young-whee(2011). Empowerment was measured using the 37-question Diabetes Empowerment Scale (DES) developed by Anderson et al.(2003), revised by Anderson et al.(2003) as the Diabetes Empowerment Scale-Short Form (DES-SF), and translated to Korean by Park Keum-ok et al.(2017). Self-care behaviors was measured by the Summary of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Measure Scale (SDSCA) developed by Toobert and Glasgow(1994) for Type 2 diabetes patients and translated to Korean by Chang Sun-ju and Song Mi-soon(2009). The SPSS 25.0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1. The mean of the Illness perception was 49.88 points(a total score of 80 points). The mean of empowerment was 29.74 points(a total score of 40 points). The mean of self-care behaviors were 66.95 points(a total score of 112 points). and in terms of sub-categories, the medication dosing statement scored the highest. 2.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self-care behaviors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age(F=5.99, 𝑝=.003), occupation(t=-3.99, 𝑝<.001), diabetes treatment method(F=-3.05, 𝑝=.003)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3. The self-care behavio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llness perception (r=.555, 𝑝<.001), and empowerment(r=.421, 𝑝<.001). 4. As a result of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self-care behaviors, illness perception(ß=.42, 𝑝<.001) and empowerment(ß=.29, 𝑝<.001)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elf-care behaviors, and the total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45%.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bove, it was confirmed that illness perception, empowerment, age, and occupation were the major factors affecting self-care behavior in Type 2 diabetes patients. Therefore, when developing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self-care behaviors in Type 2 diabetes patients, the subject's illness perception, empowerment, age, and occupation should be considered.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primary data for preparing strategies for improving self-care behaviors in Type 2 diabetes patients.

more

목차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4

Ⅱ. 문헌고찰 6
A.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자가간호행위 6
B.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자가간호행위 영향요인 8
1.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질병지각 8
2.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임파워먼트 10

Ⅲ. 연구방법 12
A. 연구 설계 12
B. 연구 대상 12
C. 연구 도구 13
1. 질병지각 13
2. 임파워먼트 14
3. 자가간호행위 14
D. 자료수집방법 및 절차 15
E. 자료 분석 방법 16
F. 윤리적 고려 17

Ⅳ. 연구결과 18
A.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 18
B. 대상자의 질병지각, 임파워먼트와 자가간호행위 기술통계 22
C.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자가간호행위의 점수 차이 23
D. 대상자의 질병지각, 임파워먼트, 자가간호행위 간의 상관관계 27
E. 대상자의 자가간호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8

Ⅴ. 논 의 31

Ⅵ. 결론 및 제언 37
A. 결론 37
B. 제언 38

참고문헌 3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