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응급실 간호사의 언어폭력경험, 극복력과 소진

초록/요약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언어폭력경험, 극복력과 소진을 확인하고,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2곳의 권역응급의료센터와 2곳의 지역응급의료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128명의 간호사로 2021년 12월 15일부터 2022년 2월 7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언어폭력경험은 남경동 등(2005)이 개발하고 구자관(2008)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간호사에 맞게 유미옥(2012)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극복력은 박미미(2015)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소진은 Maslach와 Jackson (1981)이 개발한 Maslach Burnout Inventory-HSS (MP)의 한국어판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WIN 23.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응급실 간호사의 소진은 132점 만점에 평균 70.95±14.67점으로 나타났다. 2. 응급실 간호사의 언어폭력경험은 195점 만점에 평균 83.47±24.39점으로 나타났으며, 영역별로 의사의 경우 65점 만점에 평균 24.20±7.74점, 간호사의 경우 65점 만점에 평균 26.51±10.38점, 환자 및 보호자의 경우 65점 만점에 평균 32.77±9.87점으로 나타났다. 3. 응급실 간호사의 극복력은 150점 만점에 평균 109.76±14.76점으로 나타났다. 4. 응급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결혼상태, 간호직 만족도, 부서이동 희망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응급실 간호사의 소진은 언어폭력경험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극복력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대상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결과, 극복력, 환자 및 보호자 언어폭력경험, 의사 언어폭력경험, 성별, 결혼상태, 간호직 만족도가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는 소진을 38.5% 설명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응급실 간호사의 소진은 언어폭력경험에 의하여 증가되고, 극복력에 의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응급실 간호사의 소진에 관심을 가지고, 향후 반복적인 연구 필요성이 있다. 또한 응급실 간호사의 극복력을 향상시키고, 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verbal abuse experience, resilience, and burnout,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burnout of emergency nurses. Total 128 nurses working at two reginal emergency medical centers and two local emergency medical centers in Gyeonggi Province were selected as a participants of this study, and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December 15th, 2021 to February 7th, 2022. The verbal abuse experience was measured using a tool, which is developed by Nam (2005) and revised by Ku (2008) and Yoo (2011). The resilience was measured using a tool developed by the Park (2015). The burnout was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Maslach Burnout Inventory-HSS (MP) developed by Maslach and Jackson (1981).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 23.0 to obtain numbers,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d one-way ANOVA, Scheffé 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total score of burnout was 70.95±14.67 out of 132. 2. The total score of verbal abuse experience was 83.47±24.39 out of 195, by doctors, nurses, and patients & care givers were 24.20±7.74 out of 65, 26.51±10.38 out of 65, and 32.77±9.87 out of 65 respectively. 3. The total score of resilience was 109.76±14.76 out of 150. 4. The degrees of burnou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analyzed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 such as gender, marital status, job satisfaction, and expectation of department transfer. 5. The burnout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verbal abuse experience, and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 6.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actors affecting burnout were found to be; resilience, verbal abuse experience(patients & care givers, doctors), gender, marital status, job satisfaction. The explanatory power of this finding was 38.5% and the regression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rom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he degree of burnout for emergency room nurses was increased from verbal abuse experience, and decreased by resilience of nurses. Therefore,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ould be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burnout of emergency room nurses, and to continue the relevant research in future. It also suggests developing programs to improve resilience of nurses and to reduce the burnout.

more

목차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4
Ⅱ. 문헌고찰 6
A. 응급실 간호사의 소진 6
B. 소진의 영향요인 9
1. 언어폭력경험 9
2. 극복력 11
Ⅲ. 연구방법 13
A. 연구설계 13
B. 연구대상 13
C. 연구도구 14
D. 자료수집방법 16
E. 윤리적 고려 16
F. 자료분석방법 17
Ⅳ. 연구 결과 18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8
B. 대상자의 언어폭력경험, 극복력과 소진 20
C.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의 차이 22
D. 대상자의 언어폭력경험, 극복력과 소진의 관계 24
E. 대상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5
Ⅴ. 논의 27
Ⅵ. 결론 및 제언 32
A. 결론 32
B. 제언 33
참고문헌 3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