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응급실 간호사와 119구급대원의 인수인계 실태

초록/요약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와 119구급대원 간의 인수인계 인식, 인수인계 오류 원인, 인수인계 항목 중요도와 수행 차이를 파악하여 응급실 간호사와 119구급대원의 인수인계를 개선하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경기도 남부와 북부 소재의 2개 권역응급의료센터에서 119구급대원으로부터 환자를 인계받아 중증도를 분류하는 응급실 간호사 70명과 응급실 간호사에게 인계를 진행하는 119구급대원 70명, 총 14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21년 11월 20일부터 2022년 1월 20일까지 진행되었다. 인수인계 인식은 O’Connell(2014)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인수인계 오류 원인은 한민정(2010)이 개발하고 형진주(2014)가 수정한 도구를 응급실 인수인계 상황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인수인계 항목은 연구자가 국내외의 문헌 고찰을 통해 정리하여 전문가타당도 확인한 27개 항목에 대해 중요도와 수행 여부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으로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chi-square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응급실 간호사와 119구급대원 간 인수인계 인식은 7점 만점에 응급실 간호사 4.51±0.71점, 119구급대원 4.62±0.72점으로 차이가 없었다. 인수인계 인식의 하위영역인 정보의 질(t=-1.94, p=.055), 상호작용(t=0.01, p>.999), 환자참여(t=-1.96, p=.052)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효율성(t=-4.26,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응급실 간호사와 119구급대원이 인수인계 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원인으로 인식하는 상위 순위는 응급실 간호사와 119구급대원 간 차이가 있었다. 응급실 간호사는 ‘업무량이 과도하다’, ‘중요한 정보에 대한 119구급대원이나 간호사의 배경지식의 차이가 있다’, ‘보호자나 환자의 요구에 응하면서 동시에 인수인계 해야 한다’의 순이였으며, 119구급대원의 경우 ‘인수인계시 개인의 성향이 작용한다’, ‘표준화된 인수인계 지침(내용,방법)이 없다’, ‘인수인계자의 스트레스나 피로가 심하다’ 순으로 나타났다. 3. 응급실 간호사가 인수인계 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상위 순위 항목은 ‘어눌함’, ‘사고기전’, ‘동공반사’, ‘Loss of consciousness’ ‘감각저하’, ‘사지근력’ 순 이였다. 119구급대원의 경우 ‘의식상태’, ‘주호소’, ‘보호장비 착용여부’, ‘Spinal Cord Injury(SCI) symptom’, ‘활력징후’가 상위 순위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인수인계 항목이었다. 4. 응급실 간호사와 119구급대원의 인수인계 항목 수행은 환자 발생장소, 활력징후, 과거력, 병원 전 사용약물, 평소 복용 약물, 환자 알레르기, 금식 상태, 통증양상, 통증점수, 보호장비 착용여부, 사고발생시간, SCI symptom, Head-to-toe examination, 사지근력, 동공반사, 어눌함, 감각저하의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응급실 간호사와 119구급대원이 인식하는 인수인계 시 오류가 발생 가능한 원인을 감소하고 각 대상자 간 인수인계 항목 중요도에 대한 인식 차이를 상쇄하고 효율적이고 명료한 인수인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인수인계 지침을 개발하여 응급실 간호사와 119구급대원의 인수인계 교육에 활용하고 실제 인수인계 시에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handover between emergency room nurses and 119 paramedics and improving the handover between emergency room nurses and 119 paramedics by identifying the handover recognition, causes of handover errors, the importance of handover items, and performance differences. This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hat has been attempted. At two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s located in southern and northern Gyeonggi-do, 70 emergency room nurses who took over patients from 119 paramedics and classify their severity, and 70 119 paramedics who took over to emergency room nurses, a total of 140 subjects were studie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0, 2021 to January 20, 2022. The handover recognition used the tool developed by O'Connell (2014), and the cause of the handover error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for the emergency room by using the tool developed by Han (2010) and modified by Hyung (2014). In terms of handover items,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27 items that the researcher organi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t home and abroad and also confirmed expert validity were investiga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with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and chi-squar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handover between emergency room nurses and 119 paramedics, with an emergency room nurse giving 4.51±0.71 points and 119 paramedics 4.62±0.72 points out of 7 points. It was significant in information quality (t=-1.94, p=.055), interaction (t=0.01, p>.999), and patient participation (t=-1.96, p=.052), which are subdomains of takeover recogn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iciency (t=-4.26, p<.001). 2.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emergency room nurses and the 119 paramedics in the highest ranking recognized by emergency room nurses and 119 paramedics as possible causes of errors during handover. In the emergency room nurses, 'the workload is too much',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background knowledge of the 119 paramedics and nurses on important information', and 'they need to take over while responding to the needs of the caregiver or patient'. In the case of the circle, 'individual tendencies play a role during takeover', 'there are no standardized handover guidelines (contents, methods)', and 'takeover stress or fatigue is severe'. 3. The top-ranking items that emergency room nurses consider to be important in handover were ‘disarthria’, ‘pre-accidental’, ‘pupillary reflex’, ‘Loss of consciousness (LOC)’, ‘decreased sensation’, and ‘muscle of extremities’. In the case of 119 paramedics, 'state of consciousness', 'home shelter', 'whether or not protective equipment is worn', 'Spinal Cord Injury (SCI) symptom', and 'vital sign' were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takeover items in the highest order. 4. Emergency room nurses and 119 paramedics performed handover items: patient location, vital signs, past history, pre-hospital medications, usual medications, patient allergy, Nothing per oral, pain pattern, pain score, wearing protective equipment, and accid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nset time, SCI symptom, head-to-toe examination, extremity muscle strength, pupil reflex, disarthria, and sensory hypoesthesia. Standardized handover guidelines to reduce the possible causes of errors in handover recognized by emergency room nurses and 119 paramedics, offset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each subject on the importance of handover items, and perform efficient and clear hando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use it for the handover education of emergency room nurses and 119 paramedics, and to apply it to the actual handover. Key words: emergency room nurse, 119 paramedic, handover

more

목차

제 1장 서론 1
제 1절 연구의 필요성 1
제 2절 연구의 목적 4
제 3절 용어의 정리 5

제 2장 문헌고찰 8

제 3장 연구방법 12
제 1절 연구설계 12
제 2절 연구대상자 12
재 3절 연구도구 14
제 4절 자료수집방법 17
제 5절 윤리적고려 17
제 6절 자료분석방법 18

제 4장 연구결과 19
제 1절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인수인계 특성 19
제 2절 응급실간호사와 119구급대원 간의 인수인계 인식 차이 23
제 3절 응급실간호사와 119구급대원이 인식하는 인수인계 오류원인 24
제 4절 응급실 간호사와 119구급대원 간의 인수인계 중요도와 수행 차이 26

제 5장 논의 29

제 6장 결론 및 제언 34
제 1절 결론 34
제 2절 제언 35

제 7장 참고문헌 3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