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육군 군사학교 교관의 교수역량 모델링과 요구도 분석 연구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육군 군사학교 교관의 교수역량 모델링을 통해 교수역량 구성요소를 구명하고 요구도(변화필요도) 분석 연구에 있다. 이를 위해 군사학교 교관 1,356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이며, 문헌분석, 초점그룹 면담(FGI), 행동사건 면담(BEI),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교수역량 모델링을 실시하였고, 그 역량모델에 대한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군사학교 교관의 도출된 교수역량 구성요소는 총 4개 역량군(기초전문역량, 수업역량, 조직가치 구현역량, 디지털역량), 11개 상위역량, 27개의 하위역량에 대한 90개의 행동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교수역량 구성요소 문항의 Cronbach's α 계수를 조사한 결과 문항의 내적일관성은 확보되었고, 3차에 걸친 전문가 델파이 조사와 교관들의 설문을 통해 교관 구성요소의 내용타당도 및 안면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셋째, 군사학교 교관의 역량 수준을 진단한 결과 기초전문역량과 수업역량과 관련된 역량은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보유한 반면, 조직가치 구현역량에서의 교관 리더십 발휘와 학습 조직화, 디지털역량과 관련된 역량은 중요성은 인식하나 상대적으로 실행도는 낮아 향후 교수학습센터에서의 교관 소집교육과 같은 교수개발(Faculty Development) 프로그램 반영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교관들의 교수역량에 대한 요구도(변화필요도)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 교관의 공통적인 의견으로 군사학교의 학습 조직화, 디지털 기기 및 콘텐츠 수업 활용, 전문지식 습득 순으로 우선순위가 높았다. 이것은 군사학교 교육정책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군사학교 교수역량은 군 교육훈련 현장에서 교관이 성공적으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어떤 교수역량을 개발해야 하는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군사학교 교육현장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군사학교 교관 0000명 전체를 대상으로 군사학교의 특성 및 현장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최초의 연구로써 향후 군 조직에서 그 유용성을 인정받을 수 있고, 군사학교 교관의 교수역량과 행동지표, 그리고 요구도 분석결과 등은 군 교육훈련 정책의 도움이 된다. 둘째, 기존의 개인적인 차원에서의 교수역량인 기초전문역량, 수업역량에서 확대된 조직 차원에서의 새로운 시각으로서 조직가치 구현역량과 디지털역량을 포함한 폭넓은 연구 자료를 제공해준다. 특히나 개인역량에 국한된 교수역량보다는 환경과 조직의 범위를 고려함으로써 보다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교수역량까지 연구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셋째, 최근 COVID-19로 인한 세계적인 교육방법의 변화에 대처하는 디지털역량을 구명함으로써 평생교육 측면에서 새로운 시각으로 개념적 틀을 구성할 수 있으며, 21세기 미래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체계적인 군사학교 교수자와 학습자 역량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more

초록/요약

ABSTRACT Teaching Competency Modeling of Army Military School Instructor and Needs Analysis Research Park, Jong Ok Department of Education, Major in Lifelong Education & HRD The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mponents of teaching competency through the modeling of teaching competency of army military school instructors and to analyze the demand (need for change). To this end, data collected from 1,356 military school instructors were analyzed, and teaching competency modeling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focus group interview (FGI), behavior event interview (BEI), and expert Delphi survey, and the demand for the results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erived teaching competency components of military school instructors consist of a total of 4 competency groups (basic competency, class competency, organizational learning leading competency, digital competency), 11 higher competencies, and 90 behavioral indicators for 27 lower competencies.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Cronbach's α coefficient of the teaching competency component,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question was secured, and the content validity and facial validity of the instructor component were verified through three expert Delphi surveys and instructor surveys. Third, as a result of diagnosing the competency level of military school instructor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petency related to basic professional competency and instructional competency was relatively high, but the importance of instructor leadership, learning organization, and digital competency was relatively low.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mand for instructors' teaching competencies (need to change), most of them had high priorities in the order of learning organization of military schools, utilization of digital device and content classes, and expertise. This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military school education policy. The military school teaching competencies derived in this study provide information on what teaching competencies instructors must develop in order to successfully perform their duties in the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field. Therefore, these research results provid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the military school education site. First, it is the first study to comprehensive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 of military schools for all 0000 military school instructors, and its usefulness can be recognized by military organizations in the future, and the analysis results of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policies. Second, it provides a wide range of research data that encompasses organizational learning leadership and digital competencies as a new perspective at the organizational level expanded from basic professional competencies and instructional competencies, which are existing personal competencies. In particular, by considering the scope of the environment and organization rather than the teaching competencies limited to individual competencies, the scope of research can be expanded to the teaching competencies that have a more substantial impact. Third, by identifying the digital capabilities to cope with the recent changes in global education methods caused by COVID-19, a conceptual framework can be constructed from a new perspective in terms of lifelong education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military school instructor and learner capabilities in response to future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21st century. Keywords: Teaching competency, Basic professional competency, Lecture competency, Organizational learning leading competency, Digital competency, Needs analysis(need to change)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문제 5
3. 용어의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9
1. 군사학교의 특성과 교관의 교수역량 9
가. 군사학교의 조직과 특성 9
나. 군사학교 교관의 교수역량 특성 11
다. 군 교육훈련 및 군 교관의 교수역량 관련 선행연구 13
2. 역량과 역량모델링 17
가. 역량 17
나. 역량모델링 21
3. 교수역량과 역량모델 요구도 분석 31
가. 교수역량 31
나. 교수역량 구성요소 36
다. 조직가치 구현역량 45
라. 디지털역량 50
마. 교수역량 모델 요구도 분석 54
Ⅲ. 연구방법 56
1. 연구절차 56
가. 교관의 교수역량 도출 57
나. 교수역량 모델의 요구도 분석 59
2. 연구대상 60
가. 교수역량 모델링 60
(1) 학교 경영진 면담 60
(2) 초점집단 면담(FGI) 61
(3) 행동사건 면담(BEI) 61
(4) 의견수렴을 위한 학생장교 설문조사 62
(5) 델파이 조사(Delphi Method) 62
나. 교수역량 모델 요구도 분석대상 63
3. 연구도구 65
가. 학교 경영진 면담 65
나. 초점집단 면담(FGI) 및 행동사건 면담(BEI) 65
다. 학생장교 설문조사 67
라. 델파이 조사 68
마. 교수역량 모델 요구도 분석 도구 73
4. 자료수집 절차 및 분석방법 74
가. 학교 경영진 면담 74
나. 초점집단 면담 및 행동사건 면담 74
다. 학생장교 설문조사 77
라. 델파이 조사 77
마. 교수역량 모델 요구도 분석 81
Ⅳ. 연구 결과 84
1. 교수역량 도출 84
가. 심층 면담을 통한 교수역량 도출 84
나. 학생장교 설문조사 88
다. 전문가 델파이 조사 결과 90
2. 교수역량 모델 요구도 분석 132
가. 교수역량 모델 행동지표 구성 및 조사 결과 132
나. Borich 요구도 분석 결과 141
Ⅴ. 요약, 결론 및 제언 158
1. 요약 158
2. 결론 및 시사점 160
3. 제언 167
참고문헌 17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