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초록/요약

본 연구는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의 피로, 우울,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 수준을 파악하고 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경기도 소재 A대학병원 혈액종양내과 외래를 내원하는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 114명을 대상으로 2020년 5월 20일부터 2022년 1월 2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피로는 10점 만점에 평균 3.14±2.02점, 우울은 21점 만점에 평균 5.85±3.89점, 자기효능감은 5점 만점에 평균 3.42±0.77점이었다. 삶의 질은 100점 만점에 전반적 건강상태는 평균 62.43±18.39점, 기능영역은 평균 82.82±15.79점, 증상영역은 평균 17.14±15.17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반적 건강상태 삶의 질은 학력(t=-2.75, p=.007), 직업유무(t=4.43, p<.001), 가구소득(t=-2.36, p=.020)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기능영역은 직업유무(t=3.74, p<.001), 증상영역은 직업유무(t=-3.30,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전반적 건강상태 삶의 질은 피로(r=-.560, p<.001), 우울(r=-.587, p<.001)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자기효능감(r=.459. p<.001)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기능영역은 피로(r=-.773, p<.001), 우울(r=-.634, p<.001)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자기효능감(r=.356, p<.001)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증상영역은 피로(r=.677, p<.001), 우울(r=.575,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자기효능감(r=-.222, p=.011)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다중회귀분석 결과, 전반적 건강상태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요인은 피로(β=-.36, p<.001), 자기효능감(β=.22, p=.008), 직업(β=.17, p=.049)이었으며, 기능영역에 유의한 영향요인은 피로(β=-.69, p<.001), 증상영역에 유의한 영향요인은 피로(β=.61, p<.001)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의 전반적 건강상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요인은 피로, 자기효능감, 직업이었고, 기능영역 및 증상영역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요인은 피로였다. 따라서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피로를 감소시키고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간호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aimed to explore fatigue, depression,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QoL) of chronic myeloid leukemia patients and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QoL.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14 outpatients of the hemato-oncology at a university hospital in Gyeonggi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0, 2020 to January 20, 2022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WIN 23.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s of fatigue, depression and self-efficacy were 3.14±2.02 out of 10, 5.85±3.89 out of 21 and 3.42±0.77 out of 5, respectively. The mean score of global health status/QoL was 62.43±18.39 out of 100, with functional quality of life at 82.82±15.79 and symptom quality of life at 17.14±15.17. 2. The global health status/QoL by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education level (t=-2.75, p=.007), occupational status (t=4.43, p<.001) and household income (t=-2.36, p=.020). Both the functional quality of life (t=3.74, p<.001) and symptom quality of life (t=-3.30, p=.001)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occupational status. 3. The global health status/QoL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fatigue (r=-.560, p<.001) and depression (r=-.587, p<.001),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r=.459. p<.001). The functional quality of life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fatigue (r=-.773, p<.001) and depression (r=-.634, p<.001),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r=.356, p<.001). Meanwhile, the symptom quality of lif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fatigue (r=.677, p<.001) and depression (r=.575, p<.001),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r=-.222, p=.011). 4.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the global health status/QoL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fatigue (β=-.36, p<.001), self-efficacy (β=.22, p=.008) and occupational status (β=.17, p=.049). It also showed that the functional quality of life (β=-.69, p<.001) and symptom quality of life (β=.61, p<.001)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fatigue. This study suggested that fatigue, self-efficacy and occupational status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global health status/QoL of the chronic myeloid leukemia patients while fatigue was significant in the functional quality of life and symptom quality of life. Therefore,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reduce fatigue and enhance self-efficacy to eventually improve the QoL of the chronic myeloid leukemia patients.

more

목차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3
C. 용어의 정의 4
Ⅱ. 문헌고찰 7
A.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의 삶의 질 7
B.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9
Ⅲ. 연구방법 12
A. 연구설계 12
B. 연구대상 12
C. 연구도구 13
D. 자료수집방법 16
E. 자료분석방법 16
F. 윤리적 고려 17
Ⅳ. 연구결과 18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 18
B. 대상자의 피로, 우울,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 20
C.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 22
D. 대상자의 피로, 우울,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 26
E. 대상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28
Ⅴ. 논의 34
Ⅵ. 결론 및 제언 39
A. 결론 39
B. 제언 40
참고문헌 4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