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실행에 따른 변화 및 어려움과 요구 : 영아중심·놀이중심적 측면을 중심으로

초록/요약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실행에 따른 변화 및 어려움과 요구-영아중심·놀이중심적 측면에서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실행에 따른 영아중심·놀이중심적 측면의 변화는 어떠한가? 둘째,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실행에 따른 영아중심·놀이중심적 운영의 어려움은 어떠한가? 셋째,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실행에 따른 영아중심·놀이중심적 운영을 위한 요구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도 수원시, 성남시, 용인시, 화성시, 일산시, 광주시, 이천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이며,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시행 전, 후 각각 1년 이상의 영아보육 경험이 있는 교사 2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66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일반적 특성 8문항,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실행에 따른 영아중심·놀이중심적 측면의 변화 20문항,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실행에 따른 영아중심·놀이중심적 운영의 어려움 22문항,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실행에 따른 영아중심·놀이중심적 운영을 위한 요구 16문항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연구 도구의 전체 신뢰도는 0.898로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신뢰할 만한 수준이다. 본 연구는 통계 처리를 위해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 도구의 신뢰도 검사를 위해 Cronbach's ⍺ 계수를 산출하였다.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시행 이전과 이후를 비교하여 영아중심·놀이중심적 측면에서 변화한 것은 무엇이며, 그에 따른 어려움과 요구를 확인하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시행 이전과 이후를 비교하여 영아중심·놀이중심적 측면에서의 변화와 그에 따른 어려움과 요구가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t 검정과 F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실행에 따른 영아중심·놀이중심적 측면의 변화에 대해 영아교사들은 높게 인식하였다. 이는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의 영아중심·놀이중심 보육과정이 보육 현장에서 긍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놀이지원자로서의 교사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놀이 환경의 변화, 운영자로서의 교사, 영아의 변화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결과는 연령, 영아보육 총 경력, 어린이집 유형, 직책에 따라 일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최종학력, 연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실행에 따른 영아중심·놀이중심적 운영의 어려움에 대하여 영아교사들은 보통으로 인식하였다. 그중 평가의 어려움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고, 계획의 어려움, 실행의 어려움, 놀이 환경 지원의 어려움, 교수·학습의 어려움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육과정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다수의 영아 평가를 병행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에 가장 높은 인식을 보였고, 다음으로 주관적인 견해에 따라 다르게 운영되는 현 보육과정 진행에 대한 객관적 평가의 어려움에 높은 인식 수준이 나타났다. 반면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영아중심·놀이중심의 의미와 가치를 정확히 이해하고 운영 및 적용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은 상대적으로 낮은 인식 수준을 보였다. 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결과는 연령, 최종학력,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 일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영아보육 총 경력, 연수, 직책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실행에 따른 영아중심·놀이중심적 운영을 위한 요구에 대하여 영아교사들은 높은 인식 수준을 보였으며, 환경에 대한 요구, 자료에 대한 요구, 연수에 대한 요구, 평가에 대한 요구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아중심·놀이중심 운영을 위한(놀이 준비 시간, 행정업무, 교사 간의 협의 등) 시간 확보 필요, 영아중심·놀이중심 운영을 위한 놀이 자료, 장비 및 교수자료 구입을 위한 재정적 지원의 필요, 영아중심·놀이중심 운영을 위해 교사의 자율성(일과 운영, 계획안 수립 등) 보장의 필요성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결과는 연령, 영아보육 총 경력, 최종학력, 근무 어린이집 유형, 직책에 따라 일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연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7
3. 용어의 정의 8

Ⅱ. 이론적 배경 9
1.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과 영아 9
2.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의 운영과 교사의 역할 22
3. 보육과정 운영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어려움과 요구 27

Ⅲ. 연구 방법 32
1. 연구 대상 32
2. 연구 도구 34
3. 연구 절차 38
4. 자료 분석 39

Ⅳ. 연구결과 및 해석 41
1.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실행에 따른 영아중심·놀이중심적 측면의 변화 41
2.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실행에 따른 영아중심·놀이중심적 운영의 어려움 50
3.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실행에 따른 영아중심·놀이중심적 운영을 위한 요구 60

Ⅴ. 논의 및 결론 73
1. 논의 73
2. 결론 및 제언 85

참고 문헌 8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