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Using the mirrored image of the contralateral tooth as a method of implant restorations of anterior teeth

초록/요약

Objectives: Restoring the surrounding soft tissue and hard tissue to an ideal aesthetic is key to repairing the maxillary anterior implant, which is important for bone adhesion to the implant. The emergence profile of the implant prosthetics is one of the essential factors in the making aesthetics prosthetics.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quantitative basis for the use of contralateral teeth to restore the implant prosthesis in the maxillary anterior teeth.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dentified pair-matching for contralateral teeth using DICOM segmentation with STL creation and the superimposition of scanned STL data. With the outline extraction of crown and emergence profile from maxillary central, lateral incisors, and canine provided by 100 patients, a comparison was made between true-pair of the same individual and false-pair of the different individual using the Hausdorff distance (HD). Results: By using HD thresholds as a pair-matching criterion, true positive rates of emergency profiles were 0.99 (99/100), 1.00 (100/100), and 0.98 (98/100), while the false positive rates were 0.01 (1/100), 0.00 (0/100), and 0.02 (2/100) for central incisors, lateral incisors, and canines, respectively, indicating high pair-match accuracies (>98%) and sensitivities (>98%). The true positive rates of crowns were 1.00 (100/100), 0.98 (98/100), and 0.98 (98/100), while the false positive rates were 0.00 (0/100), 0.02 (2/100), and 0.02 (2/100) for central incisors, lateral incisors, and canines, respectively, indicating high pair-match accuracies (>98%) and sensitivities (>98%). Conclusion: Therefore, digitally flipped contours of crown and emergence profile can be successfully transferred for the implant reconstruction of maxillary anterior missing teeth to optimize esthetics.

more

초록/요약

목적 : 상악 전치부 임플란트 수복에 있어서 이상적인 형태로 임플란트 주위의 경조직과 연조직을 회복하는 것은 임플란트 표면의 골유착만큼이나 중요하다. 임플란트 보철물의 출현 윤곽은 이런 심미적인 보철물을 형성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상악 전치부 임플란트의 수복에 있어서 반대측 치아의 사용에 대한 정량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함에 있다. 재료 및 방법 : 아주대학교 치과병원 100명의 환자 양측 상악 전치부 치아(중절치, 측절치, 견치)를 스캔한 STL 파일과 CT DICOM 파일을 사용하여 좌우 반대측 치아에 대한 3차원적 형상, 특히 출현윤곽과 크라운의 3차원적 형상의 일치를 분석하였고, 분석 방법으로 각 대칭 치아 형상 간의Hausdorff 거리(HD)를 측정하였다. 결과 : 본 연구에서는HD 임계값을 형상 일치 기준으로 사용하였으며, 출현윤곽의 경우 중절치, 측절치 및 견치에 대한 참양성 비율은 0.99(99/100), 1.00(100/100), 0.98(98/100)이었고, 거짓양성 비율은 0.01(1/ 100), 0.00(0/100) 및 0.02(2/100)이었으며, 높은 쌍일치 정확도(>99%) 및 민감도(>98%)를 나타내었다. 크라운의 경우 중철치, 측절치, 견치의 참양성 비율은 1.00(100/100), 0.98(98/100), 0.98(98/100)이었고, 거짓양성 비율은 0.00(0/100), 0.02(2/100)이었으며, 크라운 역시 높은 쌍일치 정확도(>99%) 및 민감도(>98%)를 나타내었다. 결론 : 결론적으로 상악 전치부 결손 치아의 임플란트 수복을 위해 크라운과 출현윤곽의 3차원적 형상의 디지털 디자인 시 반대측 치아의 미러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을 사용 시 가장 심미적인 전치부 임플란트 수복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more

목차

Ⅰ. INTRODUCTION 1
Ⅱ. MATERIALS AND METHODS 3
Ⅲ. RESULTS 7
Ⅳ. DISCUSSION 14
Ⅴ. CONCLUSION 16
REFERENCES 1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