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코로나19 유행시기 응급실 간호사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초록/요약

Factors affecting burnout of emergency nurses during COVID-19 pandemic In Keun Kim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Mi-Ae You, RN., Ph.D.) This study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emergency nur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of 141 emergency nurses who cared for patients with COVID-19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two university hospitals in Gyeonggi-do and one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from July to November 2021, and two of them were eliminated, using a total of 139 data. The data analysis method used the SPSS 28.0 program, and it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average score of burnout of the study subjects was 3.27±0.64, the average score of job stress was 3.76±0.57, and the average score of fatigue related to infection work was 3.66±0.62. In this study, burnout of the study subjec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tress (r=.32, p<.001),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fatigue related to infection work (r=.49, p<.001). Job stres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fatigue related to infection work (r=.71, p<.001). Fatigue related to infection work was a factor affecting burnout.The explanatory power is 26 percen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infectious diseases and come up with intervention measures to reduce fatigue related to infection work in order to reduce the burnout of emergency nur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Key words: Burnout, COVID-19, Emergency, Fatigue, Job Stress, Nurse

more

초록/요약

코로나19 유행시기 응급실 간호사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본 연구는 코로나19 유행시기 응급실 간호사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2021년 7월부터 11월까지 서울 소재 대학병원 1곳과 경기도 소재 대학병원 2곳의 응급실 간호사 중 코로나19 유행시기 환자를 간호한 경험이 있는 간호사 1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 직무스트레스는 허선(2013)이 개발한 감염관리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측정 도구를 장혜민(2018)이 수정 보완한 직무스트레스 도구를 사용하였고, 감염업무관련피로도는 구효훈(2017)이 개발한 감염업무관련피로도 도구를 사용하였다. 소진은 Pines 등(1981)이 개발한 Tedium Scale 도구를 픽은희(1983)가 번안한 소진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평균평점은 3.76±0.57점, 감염업무관련피로도 평균평점은 3.66±0.62점, 소진의 평균평점은 3.27±0.64점으로 나타났다. 2.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의 차이는 감염병 관련 교육을 받은 유무(t=7.60, p=.007)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감염병 관련 교육을 받지 못한 사람이 감염병 관련 교육을 받은 사람에 비해 소진이 더 높게 나타났다. 3. 연구대상자의 소진은 직무스트레스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r=.32, p<.001), 감염업무관련피로도와도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49, p<.001). 직무스트레스는 감염업무관련피로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71, p<.001). 4. 연구대상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중회귀분석으로 실시한 결과 감염업무관련피로도(β=.48, p<.001)가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진을 설명하는 설명력은 26%(R²=.26)이다. 본 연구 결과 코로나19 유행 시기 응급실 간호사는 감염업무관련피로도가 높을수록 소진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추후 코로나19와 같은 신종감염병이 재유행 시를 대비하여 응급실 간호사의 소진을 줄일 수 있는 응급실 감염관련 업무환경개선과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more

목차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5
C. 용어의 정의 6

Ⅱ. 문헌고찰 8
A. 응급실 간호사의 소진 영향 요인 8
B.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11
C. 간호사의 감염업무관련피로도 13

Ⅲ. 연구방법 15
A. 연구설계 15
B. 연구대상 15
C. 연구도구 16
D. 자료수집방법 18
E. 윤리적 고려 19
F. 자료 분석 방법 20
Ⅳ.연구결과 21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1
B. 연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감염업무관련피로도와 소진 정도 23
C.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의 차이 25
D. 연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감염업무관련피로도와 소진과의 관계 27
E. 연구대상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8

Ⅴ. 논의 30

Ⅵ. 결론 및 제언 35
A. 결론 35
B. 제언 36

참고문헌 3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