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응급실 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간호업무수행

초록/요약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 유형을 파악하고 임상적 의사결정유형에 따른 간호업무수행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대상자는 서울 소재 상급종합병원 3곳 및 수도권 소재 상급종합병원 1곳에서 근무하는 응급실 경력 1년 이상의 직접 간호를 제공하는 155명의 간호사로 2021년 10월 10일부터 2021년 11월 1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 임상적 의사결정 유형은 Lauri와 Salantera (1995)의 측정도구를 최희정(2001)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간호업무수행은 김희정 (2005), 전희경(2016)의 응급실 간호업무 개발도구를 곽자은 (2020)이 수정. 보완한 응급실 간호사의 간호수행능력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6의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K-means Cluster Analysis, Chi-square test, t-test, ANC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응급실 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 유형은 총 2개의 군집으로 구분되었으며, 군집 1은 혼합형 의사결정 유형으로 105명(67.7%)이 포함되었으며, 군집2는 높은 분석적 의사결정 유형으로 50명(32.3%)이 이에 해당하였다. 2. 혼합형 의사결정 유형의 분석-체계적 의사결정 점수는 103.06±13.05점이였고, 직관-해석적 의사결정 점수는 101.38±12.88점으로 나타났다. 3. 높은 분석적 의사결정 유형의 분석-체계적 의사결정 점수는 106.22±12.54점이였으며, 직관-해석적 의사결정 점수는 94.40±12.46점으로 나타났다. 4. 응급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적 의사결정 유형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총 임상경력이 임상적 의사결정 유형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요인으로서 혼합형 의사결정 유형이 높은 분석적 의사결정 유형보다 총 임상경력이 높았다. 5. 응급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수행유형에 따른 간호업무수행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총 임상경력을 통제하여 ANCOVA 분석을 시행한 결과 안위간호와 특수간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혼합형 의사결정 유형이 높은 분석적 의사결정 유형보다 안위간호와 특수간호의 수행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응급실 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간호업무수행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응급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수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임상적 의사결정 유형을 파악하고 교육하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지속적인 응급실 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 유형 연구를 통해 간호업무수행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향후 응급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more

초록/요약

This paper presents a cross-sectional research study to identify clinical decision-making types among emergency room nurses and examines the differences in their nursing performance according to clinical decision-making types. The subjects included 155 nurses who have provided direct nursing in the emergency room for a year or longer at three tertiary hospitals in Seoul and a tertiary hospital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Data was collected from the nurses from October 10 ~ November 15, 2021. The study used the measuring tool developed by Lauri and Salantera (1995) and translated by Choi Hee-jeong (2001) for clinical decision-making types and the nursing performance scale of Gwak Ja-eun (2020) that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tools of Kim Hee-jeong (2005) and Jeon Hee-gyeong (2016) to measure nursing performance. Collected data was put into the descriptive statistics, K-means cluster analysis, chi-square test, t-test, and ANCOVA with the SPSS Statistics 26 program.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linical decision-making types of emergency room nurses were divided into a total of two clusters. Cluster 1 represents a mixed decision-making type and included 105 emergency room nurses (67.7%). Cluster 2 represents an high systematic decision-making type and included the remaining 50 nurses (32.3%). 2. The nurses in the mixed decision-making type scored 103.06±13.05 points in analytical-systematic decision making and 101.38±12.88 in intuitive-interpretative decision making. 3. The nurses in the high systematic decision-making type scored 106.22±12.54 points in analytical-systematic decision making and 94.40±12.46 in intuitive-interpretative decision making. 4. The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the clinical decision-making types of emergency room nurses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ound that a total clinical career led t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clinical decision-making types with the mixed decision-making type recording a higher degree of clinical career than the analytical-systematic one. 5. ANCOVA was carried out with a control factor of total clinical career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nursing performance of emergency room nurses according to their nursing performance types. The analysis result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fort and specific nursing care with the mixed decision-making type recording a higher level of performance than the high systematic decision-making type The findings of the study demonstrate differences in the nursing performance of emergency room nurses according to their clinical decision-making types, raising a need to develop programs that will figure out the clinical decision-making types of emergency room nurses and offer them education according to type so that they can enhance their nursing performance. In addition, consistent research on clinical decision-making types will also promote the improvement of nursing performa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may serve as basic data to set a strategy to enhance the nursing performance of emergency room nurses.

more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제2절 연구의 목적 4
제3절 용어의 정의 4
제 2장 문헌고찰 6
제1절 응급실간호사의 간호업무수행 6
제2절 응급실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 유형 8
제3절 응급실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 유형과 간호업무수행 11
제3장 연구방법 13
제1절 연구설계 13
제2절 연구대상자 13
제3절 연구도구 14
제4절 자료 수집 기간 및 방법 15
제5절 윤리적 고려 16
제6절 자료 분석 방법 17
제4장 연구 결과 18
제1절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8
제2절 대상자의 임상적 의사결정 유형 군집분석 20
제3절 대상자의 임상적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일반적 특성의 차이 21
제4절 대상자의 임상적 의사결정 유형별 간호업무수행 23
제5장 논의 25
제6장 결론 및 제언 30
제1절 결론 30
제2절 제언 31
제7장 참고문헌 32
부록 45
ABSTRACT 5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