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억울, 우울, 정신적 웰빙의 종단적 관계와 억울 경험 : 베이비부머를 중심으로

초록/요약

한국의 베이비부머(1955년~1963년 출생자)는 비약적인 경제발전과 사회 변화 속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오면서 많은 주목을 받아왔다. 그러나 2018년부터 본격화된 은퇴와 맞물려 사회 경제 분야에서의 퇴장 및 급격한 신체, 정신적 노화 과정에 직면하면서 베이비부머의 정신건강에 적신호가 켜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끼인 세대’로 불리는 베이비부머의 정신건강에 관심을 가지고, 억울, 우울, 정신적 웰빙의 상호 관련성 및 억울과 관련한 실제 경험에 대해 탐구하였다. 먼저, 연구 1에서는 정신건강의 긍정적 측면인 정신적 웰빙과 부정적 측면인 우울, 억울에 주목하여 세 시점의 종단 자료로 상호 인과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2에서는 정신건강 예측 변인으로서 억울의 중요성에 입각하여, 억울이 베이비부머의 일상에서 어떤 이유로 경험되는지, 억울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행동이 무엇인지 등에 대한 질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억울이 갖는 정서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더하기 위하여 억울과 동반되어 나타나는 정서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1을 수행한 결과 첫째, 우울과 정신적 웰빙은 부적 방향으로 상호 인과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은 다음 시기의 정신적 웰빙을 예측하였고, 정신적 웰빙은 다음 시기의 우울을 예측하였다. 즉,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이 상호 교류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억울, 우울, 정신적 웰빙 세 변인의 상호 인과관계가 확인되었다. 억울은 우울에, 우울은 억울에 각각 정적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서 억울과 우울이 큰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셋째, 정신적 웰빙이 억울에 부적 방향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정신적 웰빙이 억울에 대한 보호 기능을 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연구 2에서는 생태순간평가 방법을 도입하여 10일간 매일 2회씩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억울 경험(이유, 사후 행동, 도움이 될 행동)에 대한 질적 자료를 수집한 후, 합의적 질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억울의 정서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위해 억울과 동반되어 나타나는 긍정 및 부정 정서를 측정하고, 이를 억울 경험 그룹과 억울 비경험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먼저, 억울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결과, 첫째, 베이비부머가 억울을 느끼는 이유와 관련된 영역으로 관계영역, 부양 및 경제 영역, 개인 영역, 시스템 및 특수 상황 영역이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 관계 영역에서는 부당한 대우나 평가를 받음, 배우자 및 가족과의 갈등, 상대방의 태도, 가치관의 차이 등 총 4개의 범주가 나타났다. 부양 및 경제 영역에서는 가족 부양 및 집안 일 관련 어려움, 생계 활동에서의 어려움 등 총 2개의 범주가 확인되었으며, 개인 영역에서는 나이들어감 및 건강상 어려움, 예기치 않은 일의 발생 등 총 2개의 범주가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시스템 및 특수 상황 영역에는 불합리한 사회 경제적 상황,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상황 등 총 2개의 범주가 포함되었다. 둘째, 억울을 느낀 후 취한 행동으로는 직접적인 대응 회피 영역, 적극적인 의사소통 시도 영역, 인지적 정서조절 시도 영역, 수동적 행동 영역, 정서 완화적 행동 영역이 도출되었다. 셋째, 억울한 감정을 느꼈을 때 도움이 될 만한 행동으로는, 실용적인 대비 영역, 적극적인 의사소통 시도 영역, 인지적 사고 전환 영역, 수용하기 영역이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억울을 경험했을 때와, 그렇지 않을 때, 긍정 및 부정 정서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억울 경험 그룹과 억울 비경험 그룹의 평균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억울을 경험했을 때 부정 정서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정 정서 중에서도 분노, 짜증, 적대감, 괴로움(이하, 분노괴로움 정서군)과 관련된 정서를 더 높은 수준으로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억울이 부정적 정서 중에서도 분노괴로움 정서들과 더 큰 관련성을 가진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함의점과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more

초록/요약

Korean baby boomers (born between 1955 and 1963) have received a lot of attention while playing a leading role in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and social change. However, as they face retirement from the socioeconomic field and the rapid physical and mental aging process in line with the retirement in earnest from 2018, a red light is turning on the mental health of baby boomers. Therefore, in this study, we were interested in the mental health of baby boomers, who are called the 'stuck generation', and explored the interrelationships of eogul, depression, and mental well-being, and actual experiences related to eogul. First, in Study 1, the positive aspect of mental health, mental well-being, and the negative aspects, depression and eogul, were focused on to verify the mutual causal relationship with longitudinal data at three time points. In Study 2, based on the importance of eogul as a predictive variable for mental health, a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why eogul is experienced in baby boomers' daily lives and what behaviors appear related to eogul. In addition,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eogul, the emotions accompanying eogul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study 1, first, it was found that depression and mental well-being had a mutual causal relationship in a negative direction. Depression predicted mental well-being in the next period, and mental well-being predicted depression in the next period.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s on each other were mutually exchanged. Second, the mutu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variables of eogul, depression, and mental well-being was confirmed. Eogul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depression and depression on eogul, respectively, in a positive direction, demonstrating that eogul and depression had a great relationship. Third, it was shown that mental well-being has an effect on the negative direction on eogul, suggesting that mental well-being can have a protective function against eogul. In Study 2, the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method was introduced a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wice a day for 10 days to collect qualitative data on eogul experiences (reasons, follow-up actions, helpful actions), and then perform a consensus qualitative analysis. In addi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eogul,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accompanying eogul were measured, and these were divided into the eogul experienced group and the eogul nonexperienced group and compared. First, as a result of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eogul experience, first, the relationship domain, support and economy domain, personal domain, system and special situation domain were derived as domains related to the reasons why baby boomers feel eogul. Specifically, in the relationship area, a total of four categories were found: unfair treatment or evaluation, conflict with spouse and family, attitude of the other party, and differences in values. In the area of ​​support and economy, a total of two categories were identified, such as difficulties related to supporting family and household chores, and difficulties in livelihood activities. Finally, in the system and special situation domain, a total of two categories were included: unreasonable socioeconomic situation and situation due to the COVID-19 epidemic. Second, as actions taken after feeling eogul, direct response avoidance domain, active communication attempt domai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ttempt domain, passive behavior domain, and emotion-relieving behavior domain were derived. Third, as actions that can be helpful when feeling eogul, the practical preparation domain, the active communication attempt domain, the cognitive thinking transformation attempts domain, and the accepting domain were derived. Next,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positive and negative affects when experiencing eogul and when not,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the eogul experience group and the eogul nonexperience group was tes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when they experienced eogul, they experienced more negative affects.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among negative affects, affects related to anger, irritability, hostility, and distress (hereafter referred to as the anger and distress emotion group) were experienced at a higher level. That is, eogul has a greater correlation with anger and suffering emotions among negative affect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ollow-up studies are presented. Key words: eogul, depression, mental well-being, baby boomers, longitudinal causation, qualitative research

more

목차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II. 이론적 배경 14
1. 억울 14
2. 우울 22
3. 정신적 웰빙 28
4. 억울, 우울, 웰빙의 관계 34

III. 연구문제 및 가설 37

IV. 연구1 - 억울, 우울 및 정신적 웰빙의 종단적 상호 인과관계 검증 39
1. 목적 39
2. 연구 방법 40
3. 연구 결과 47
4. 논의 60

V. 연구2 - 베이비부머의 억울 경험 과정 66
1. 목적 66
2. 연구 방법 66
3. 연구 결과 74
4. 논의 97

VI. 종합 논의 및 결론 106

참고문헌 11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