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합동 지휘통제체계 통합망 QoS 연구

Study of a Network QoS for Joint Integrated C4I Network

초록/요약

현재 군내 사용되는 각종 네트워크 및 체계들은 한정된 용량 내에서 기반네트워크를 상호 공유하여 구성되어 있으나 다양한 전,평시 상황에서 실시간 상황변화, 네트워크 토폴로지 변경, 지휘관 지침 등을 고려한 우선순위가 네트워크의 QoS에 반영되지 않고 운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네트워크 및 체계들은 시간과 공간 전체의 다중영역에서 군사적 환경을 최적화되도록 융합하여 시너지 효과가 발휘되도록 요구되는 복잡한 작전환경에서 효과적인 지휘통제와 합동작전을 통한 동시·통합 전투력 발휘에 많은 제한사항이 예상된다. 미군의 경우 GIG를 중심으로 한 Q모델과 작전효과에 기반한 QoS 소요도출 절차를 사이버보안 등과 연계하여 운용하고 있으나 그동안 이와 관련된 구체적 정보와 세부내용에 대한 접근이 제한되었고 특히, PPS(Port, Protocol, Service)와 관련된 양식과 내용은 보안으로 관리하고 있어 자료확보 및 이를 반영한 한국군에 대한 적용이 제한되었다. 본 연구는 상용 QoS 기술수준, 한국군의 QoS 운용실태와 미군의 QoS 운용에 대하여 세밀하게 분석한 후 합동작전 수행에 필요한 중요정보를 우선순위에 따라 신속·정확하게 전송하고 정보유통 품질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국군 합동지휘통제체계에 적합한 QoS 모델에 대해 제안하였다. 또한, 모델에 적용할 다차원 영역에서 실시간 정보공유 및 동시·통합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MDOE(Multi-Domain Operation Environment) 환경 하 QoS 소요도출 절차에 대해 제안하였다. 제안한 QoS 모델과 소요도출 절차에 대한 효과성은 모델과 QoS 절차를 조합한 모델 SET을 구성하고 계층화분석(AHP)과 MOS( Mean Opinion Score)를 이용한 능력평가를 통하여 성능을 분석하고 최적의 운용방안을 제안하였다.

more

초록/요약

Various networks and systems currently used in the military are configured by mutually sharing the base network within a limited capacity, and are operated in various wartime and peacetime situations without priorities considering real-time situation changes, network topology changes, and commander guidelines. It is expected that such a system will have many limitations in real-time sharing and distribution of various battlefield situation information, effective command and control, and effective network-oriented joint operation and simultaneous/integrated combat power through the operation of a precision weapon system. The 6Q model centered on GIG and the QoS requirement derivation procedure based on operational effects are being operated in connection with cyber security at the US military but obtaining specific informations related to these process has been limited. PPS(Port, Protocol, Service) and it’s related items are limited to the ROK military using them due to security & IA matters. In this study, after analyzing the QoS technology level, the QoS operation status of the Korean military, and the QoS operation of the US military in detail, it is possible to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necessary for joint operation quickly and accurately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priority and to ensure the quality of information distribution. A QoS model for the joint command and control system suitable for the Korean military was proposed. In addition, we proposed a QoS requirement derivation procedure under the Multi-Domain Operation Environment (MDOE) environment that can perform real-time information sharing and simultaneous/integration tasks in the multidimensional domain to be applied to the model.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QoS model and the required derivation procedure was analyzed through the capability evaluation using AHP and MOS.

more

목차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2
제2장 관련연구 4
제1절 QoS 개념 및 관련기술 4
제2절 한국군 QoS 운용실태 및 기존연구 23
제3절 미군 QoS 적용현황 38
제4절 소결론 53
제3장 합동지휘통제체계 통합망 QoS 모델 54
제1절 합동지휘통제체계 통합망 QoS 모델(A) 56
제2절 합동지휘통제체계 통합망 QoS 모델(B) 65
제3절 소결론 74
제4장 Multi-Domain Operation Environment QoS 소요 식별 75
제1절 식별절차(임무 및 정보분석) 77
제2절 PPS 작성 및 등록 87
제3절 NCO-CF를 활용한 효과분석 89
제5장 합동지휘통제체계 통합망 QoS 효과분석 91
제1절 계층화분석(AHP)을 이용한 능력평가 91
제2절 단계별 분석 93
제3절 결과분석 121
제6장 결 론 126
참 고 문 헌 12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