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국 임금근로자의 재택근무와 수면장애의 연관성 : 6차 근로환경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초록/요약

재택 근무는 정보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근로자가 가정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COVID-19의 확산으로 인해 재택근무는 권장되었다. 재택근무의 긍정적인 영향은 가정과 직장 사이의 균형과 업무의 유연성·자율성의 증가 등이 있으나 반면 일-가정 간섭과 사회적인 고립 등의 부정적인 영향도 있다. 그러나 COVID-19하에서 국내 재택 근로자의 수면장애에 관련한 연구가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OVID-19 동안의 국내 재택근무자의 특성을 살펴보고, 재택근무와 수면장애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2020년 실시된 제 6차 근로환경조사를 이용하여 국내 재택근로자들의 주요 직종과 업종을 살펴보고 그들의 개인적, 직업적 특성을 통제하여 재택근무와 수면장애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성별 층화하여 재택근무와 수면장애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수면장애는 입면장애, 유지장애, 피로감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직종의 경우 재택근무를 하는 대상자 중에서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560명, 37.6%), 사무종사자(432명, 29.0%), 판매 종사자(12.4%) 순으로 많았고 업종의 경우 제조업(249명, 16.7%), 교육서비스업(194명, 13.0%), 도매 및 소매업(188명, 12.6%) 순으로 재택근로자가 많았다. 재택근무와 수면장애의 관계는 비재택 근무자를 참조 집단으로 하였을 때, 재택 근무의 입면장애에 대한 비차비는 1.56(95% CI 1.33-1.83), 유지장애에 대한 비차비는 1.49(95% CI 1.29-1.73), 피로감에 대한 비차비는 1.63(95% CI 1.63-1.85)로 높게 나타났다. 재택근무와 수면장애의 관계를 성별로 층화하여 분석시 남성과 여성에서 입면장애에 대한 비차비는 각각 1.59(95% CI 1.24-2.04), 1.52(95% CI 1.23-1.87)로, 유지장애에 대한 비차비는 각각 1.50(95% CI 1.19-1.88), 1.47(95% CI 1.21-1.79)로, 피로감에 대한 비차비는 각각 1.70(95% CI 1.41-2.05), 1.56(95% CI 1.31-1.85)로 나타났다. 재택근무는 이제 근로형태의 새로운 표준(New Normal)으로 자리잡고 있다. 재택 근무가 확대됨에 따라 근로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기전과 요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들을 바탕으로 재택 근로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이 마련된다면 근로자들의 복지와 건강증진에 도움이 될 것이다.

more

초록/요약

The association between work from home and sleep disturbance in Korean wage workers: Using the 6th Working Condition Survey Telecommuting is a way for workers to perform work from home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which has been encouraged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The positive health effects of telecommuting include balance between home and work and work flexibility, but on the other hand, it also has negative effects such as work-family interference and social isolation. However, there are no studies on sleep disorders among domestic workers at home under the pandemic.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telecommuter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lecommuting and sleep disorders. In this study, the 6th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ey conducted in 2020 was aimed at controlling the personal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of workers to find out the association between work from home and sleep disturbance in domestic wage workers. Among those who work from home, experts and related workers (560 people, 37.6%), office workers (432 people, 29.0%), and sales workers (12.4%) were the most common among those who work from home. By industry, manufacturing (249 people, 16.7%) ), the education service industry (194 persons, 13.0%), and the wholesale and retail industry (188 persons, 12.6%) had the highest number of teleworkers.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elecommuting and sleep disorder, when non-telecommuters were used as the reference group, the ratio of telecommuting to difficulty of falling asleep was 1.56 (95% CI 1.33-1.83), and the ratio to sleep maintenance disability was 1.49 (95% CI 1.29-). 1.73), the fatigue was 1.63 (95% CI 1.63-1.85), which was high. Whe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lecommuting and sleep disturbance by gender, the ratios for difficulty of falling asleep in men and women were 1.59 (95% CI 1.24-2.04) and 1.52 (95% CI 1.23-1.87), respectively. For sleep maintenance disorders, the ratio was 1.50 (95% CI 1.19-1.88) and 1.47 (95% CI 1.21-1.79), respectively, and the ratio for fatigue was 1.70 (95% CI 1.41-2.05) and 1.56 (95% CI 1.31-1.85), respectively. Telecommuting is now positioned as the new normal for work. As telecommuting expands, studies on various mechanisms and factors affecting workers' health will be needed. If measures to protect home-based workers are prepared based on these studies, it will be helpful for workers' welfare and health promotion.

more

목차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Ⅱ. 연구방법 5
A. 연구설계 5
B. 연구대상 6
C. 변수의 정의 및 측정도구 8
D. 자료분석방법 11
Ⅲ. 연구결과 13
A. 국내 재택근로자들의 주요 업종 및 직종 분포 13
B. 연구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15
C. 연구 대상자들의 재택근무에 따른 특성 16
D. 재택 근무와 수면장애의 관계 18
E. 재택근무를 하는 정도에 따른 수면장애의 관계 25
F. 성별에 따른 재택근무와 수면장애의 관계 27
Ⅳ. 고찰 29
Ⅴ. 결론 35
참고문헌 36
부록 41
ABSTRACT 4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