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정신분석 임상에서 도착증자의 전이 양상과 치료자의 역할

초록/요약

정신분석 임상에서 도착증자(perverts)는 치료를 통해 증상에서 비롯된 고통을 완화하거나 자신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해 치료에 오는 정신증자나 신경증자와 다른 독특한 전이 양상을 보인다. 그들은 몇 회기씩 침묵하거나 치료자가 정한 규칙을 스스럼없이 위반하거나, 경쟁적인 토론에 치료자를 끌어들여 치료자의 능력을 면전에서 평가절하 하는 등 치료자를 자극하는 다양한 종류의 행동화를 매회기마다 행한다. 경험이 부족한 치료자는 정신분석이라는 상징적인 대타자의 역할과 기능을 훼손하고 현실의 모순과 한계를 비난하면서 만족을 얻는 도착증자의 전이에 당황하게 되고 치료자의 역할을 놓친 채 도착증자의 환상을 구현하는 파트너로 전락해 무의식적 공모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정신분석 임상에서 이런 도착적인 전이가 활성화될 때 치료자는 어떻게 기능하고 어떤 역할을 해야 할까? 질문에 답하기 위해 프로이트-라캉학파(Freud-Lacanian) 관점을 중심으로 클라인학파(Kleinian)를 비롯한 현대 프로이디언(Freudian) 관점의 다양한 정신분석 임상 사례연구 문헌에 발표된 도착적인 전이의 양상과 그것을 작업하는 치료자의 역할을 탐색했다. 이를 통해 정신분석 임상에서 본 연구자가 겪었던 도착적인 전이 상황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본 연구자와 비슷한 난관을 겪었거나 겪고 있거나 앞으로 겪게 될 정신분석 지향의 치료자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임상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도착증에 대한 프로이트-라캉학파 관점 및 클라인학파를 비롯한 현대 프로이디언 관점 몇 가지를 개괄하고 도착증자의 보편적인 전이 양상을 ‘상상적 전이(imaginary transference)’, ‘공모관계(collusive relationship)’, ‘분열과 부인(split and denial)’, ‘물신화와 성애화(fetishism and sexualization)’, ‘진실에 대한 공격(attack on truth)’ 등 5가지 범주로 나눠서 설명할 것이다. 그런 다음 이런 전이 양상들이 치료 관계에서 재현되고 상연될 때 치료자가 어떤 태도를 견지해야 치료자로 살아남을 수 있고 기능할 수 있는지 치료자의 역할을 중심으로 사례 몇 가지를 인용하고 요약할 것이다. 도착적인 전이에서 환자가 상징적 거세를 수용하고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질문을 던지면서 욕망하는 존재로 나아갈 수 있게 하려면 치료자는 도착증자가 요구하는 상상적 차원의 만족을 거절하고 상징적 대타자로서 위치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도착증자의 전이와 치료자의 역전이가 만든 치료적 공모관계를 알아차리고 도착증자가 치료자에게 무의식적으로 주문한 파트너 역할에서 빠져 나와 지금-여기에서 벌어지는 전이 역동을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상징적 대타자 역할을 하는 대상󰡐a'로서 치료자의 역할은 도착증자의 원초적 외상을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신뢰를 주는 단단하지만 차갑지 않고 분명한 한계를 가진 분리된 개체로 존재할 때 가능한 것이다. 이론적인 표현이나 개념 등에서 학파들 간의 관점 및 개념화의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실제 임상 현장에서 만나는 도착적인 전이는 다양한 정신분석 학파들의 관점을 동시에 혼합적으로 지니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서 치료자의 역할 또한 통합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치료적인 관계를 시작할 수 있는 토대가 만들어진다. 정신분석 임상에서 도착적인 전이가 상연될 때 그것을 훈습하는 치료자의 역할에 주목하다보니 이론적 개념들 간의 차이에 대해서는 섬세하게 다루지 못한 한계가 있다. 이론적인 차이를 구분하기보다 통합적인 관점에서 치료에 좋은 것은 무엇이든 가져다 쓰려는 태도를 견지하는 까닭은 치료자가 도착적인 전이의 맥락과 완고함을 이해하고 그것에 휩쓸리지 않으면서 치료적인 역할을 할 수 있어야만 중요한 치료적 전환점이 생겨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지나치게 단순화하는 작업이 될지라도 이 연구가 그런 전환점을 만드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핵심어: 정신분석 임상, 도착증, 도착적인 전이 양상, 공모관계, 치료자의 역할, 상징적인 대타자, 프로이트-라캉학파, 통합적인 관점

more

초록/요약

Abstract Transference pattern of perverted subject and role of therapist in psychoanalytic clinical practice Seoyeon Jeon Department of Medical Humanities & Psychoanalysis, The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Kyunghoon Jung In the clinical practice of psychoanalysis, perverted subject exhibits unusual transference patterns different from those of psychotic and neurotic patients, who attend therapy to alleviate the distress associated with the symptoms of their conditions or widen their understanding of themselves through treatment. They engage in various kinds of enactments to rouse the therapist in every session, such as staying silent for multiple sessions, unapologetically infringe rules established by the therapist, dragging the conversation into argumentative debates, and devaluating the therapist's capabilities in the therapist's face. The novice therapist is taken aback by the perverted subject's transference—where the perverted subject obtains gratification from damaging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symbolic big Other of psychoanalysis, and condemning the contradictions and limitations of reality—losing the therapist role and descending into being the perverted subject's partner in embodying the perverted subject's fantasies, resulting in an unconscious collusive relationship. When such perverse transference is activated during clinical psychoanalysis, how should the therapist function, and what role should be assumed? To answer this question, various patterns of perverse transference that have been published in the case study literature from clinical psychoanalytical practice—and the role of therapists working with such transference patterns—were explored from the Freud-Lacanian perspective and contemporary Freudian perspectives, including Kleinian. Through this, difficulties stemming from the perverse transference, faced by the author in clinical psychoanalytical practice, will be understood. In addition, future directions for clinical practice that provide practical assistance for therapists with a psychoanalytic orientation—those who have experienced, are experiencing, or will experience challenges similar to the one faced by the author—will be proposed. First, the stances of a number of schools regarding the issue of perverts, such as the Freud-Lacanian perspective and contemporary Freudian perspectives, including Kleinian theory, will be summarized; the conventional transference patterns of perverse will be explained separately using the five categories of ‘imaginary transference’, ‘collusive relationship’, split and denial’, ‘fetishism and sexualization’, and ‘attack on truth’. Case studies will be cited and summarized, centered around the therapist role, regarding the attitude that should be assumed by the therapist to survive and function as a therapist when such transference patterns are enacted or reproduced in a therapeutic relationship. To have the patient accept symbolic castration and move on from perverse transference to become an entity capable of desiring as one questions one's own identity, the therapist must be capable of denying satisfaction in the imaginary domain—which is demanded by the perverted subject—and maintain a position as a symbolic big Other. The therapist must also be capable of perceiving the therapeutic collusive relationship established by the therapist's countertransference and the perverse transference, escape from the role of a partner unconsciously demanded by the perverted subject, and interpret the dynamics of transference that are occurring in the Here and Now. As the Object 󰡐a󰡑 who serves the role of a symbolic big Other for the perverts, the therapist’s role is only possible when the therapist exists as a separate entity that is hard yet not cold, with clear limits. This creates trust that enables the therapist to work safely on the perverts' original trauma. Although there can be differences between the viewpoints or conceptualizations of different schools of thought regarding theoretical expressions or concepts, most of the perverse transference encountered in the field during clinical psychoanalytical practice emerge as a mixture of various viewpoints from diverse schools of psychoanalysis: likewise, the role of the therapist should be approached from an integrative perspective to establish a foundation that can be used to build a therapeutic relationship. Since the author focused on the therapist's role—which is to work through the perverse transferences enacted during clinical practice—there were limitations in handling the detailed differences between the theoretical concepts. The reason for adhering to the integrative perspective that utilizes everything that can be beneficial for therapy, rather than differentiating between theoretical distinctions, is because the author believes that the formation of critical therapeutic turning-points is only possible when the therapist understands the context and stubbornness of perverse transference, is not overwhelmed by said transference, and continues serving in the therapist’s role. Even if this process ends in a case of oversimplification, the author hopes that the current study contributes to creating such turning-points, at least by a small margin Keywords: clinical practice of psychoanalysis, perverts, perverse transference patterns, collusive relationship, role of therapists, symbolic big Other, Freud-Lacanian, integrative point of view

more

목차

Ⅰ. 서 론 1
A. 연구문제와 목적 1
B. 연구방법과 범위 4
Ⅱ. 본 론 9
A. 이론적 배경 9
1. 프로이트-라캉학파의 도착증 9
2. 클라인학파 등 현대 프로이디언 관점의 도착증 15
B. 도착적인 전이 양상 5가지 19
1. 상상적 전이 19
2. 공모관계 21
3. 분열과 부인 23
4. 물신화와 성애화 25
5. 진실에 대한 공격 30
C. 도착적인 전이에서 치료자의 역할 33
1. 상징적 대타자로 존재하기 33
2. 치료자의 공모를 인식하기 49
D. 분석 및 논의 59
Ⅲ. 결 론 65
참고문헌 7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