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조선말 표준발음법」(2016)의 규정 연구

A Study on ‘The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Pronunciation(2016)’ in China

초록/요약

본 연구는 중국 조선족사회에서 제정한 중국 조선어의 현행 표준 발음법에 대한 연구로서, 남북한의 표준 발음법과의 비교를 통하여 차이점이 있는 규정에 주목하여,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제시하고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비교에 앞서 중국 조선어에서 표준 발음법이 만들어지고 발전한 역사를 보여주었다. 시기는 크게 광복 전과 광복 후, 그리고 자체 규범이 만들어진 후로 나누었다. 한반도에서 중국으로 이주한 조선족의 정착과정부터 시작하여 어문 규범의 유입 및 북한의 어문 규범의 영향에 대해 서술하였으며 자체 규범이 만들어진 후로부터 지금까지의 발전 상황을 보여주었다. 북한의 영향을 받아 「조선말 표준발음법」의 구성은 대체로 북한의 「문화어발음법」과 비슷하지만 세부적으로는 차이점이 있는데, 차이점은 성격에 따라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조선말 표준발음법」은 최근에 빈번하게 수정하게 수정되었는데, 언어 교육 현장과 언어생활에 혼란과 부담을 주지만, 한국과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한국어와의 원활한 교류의 수요에 의한 결과물로 보인다. 중국 조선어의 현행 표준 발음 규범은 「조선말 표준발음법」(2016)이다. 이해를 위하여 이전 규범인 「조선말 표준발음법」(2007)과 차이가 있는 규정과 규범의 구성방식에 대해 논의하였다. 차이가 있는 규정은 대부분 불합리한 규정을 수정한 것이다. 구성 방식의 차이점으로는 예외 규정에 대한 표기를 남북한의 표기 방식을 참고하였고, 중국 조선어의 어문 규범의 수정으로 자모의 배열순서, 띄어쓰기와 같은 것이 이전 규범과 차이점이 생겼다. 그리고 총칙에도 변화가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총칙의 변화에 대해 논의하였고, 지금의 총칙으로는 여러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수정해야 할 것을 지적하였다. 3, 4장에서는 「조선말 표준발음법」(2016)의 규정을 한국의 「표준 발음법」의 규정과 비교하였다. 3장은 음운 관련 규정에 대한 비교이고, 4장은 음운현상에 관련된 규정의 비교이다. 그리고 서로의 규범에서 찾을 수 없는 규정은 5장에서 따로 논의하였다. 이런 비교를 통하여 중국 조선족 사회와 한국의 표준 발음 규정에서 나타나는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일부 규정의 부족한 점을 밝혀냈고, 「조선말 표준발음법」(2016)의 해설서에서 해석한 문법현상의 오류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비교해 보면 조항의 구성은 차이가 많지만 세부적인 서술 방식은 「표음」과 비슷하게 변화하였다. 허용 발음의 설정, 예시의 활용 방식 등은 비슷한 부분이 있다. 다른 점은 「조선말 표준발음법」(2016)에서는 한자어의 독음을 그대로 발음하려는 취지이고, 「표준 발음법」에서는 한자어의 현실 발음이 변화한 경우는 현실 발음을 기준으로 발음하려는 취지이다. 그리고 서로가 인정하는 문법체계가 다르기에 사용한 문법용어와 음운현상에 대한 해석이 서로 다른 부분이 있다. 이 외에 두 규범에 적용된 맞춤법이 다르기에 맞춤법에 의한 차이점도 있다.

more

초록/요약

此论文通过比较中国朝鲜族社会制定的现行朝鲜语标准发音法和朝韩两国的标准话发音法,找出有差别的规定并研究差别点为目的。 为了更好的做比较,先展示了朝鲜语在中国的发展过程和朝鲜语标准发音法的制定历史。历史时期大致分为了光复前期,光复后期,自主规范期等三个时期。叙述了朝鲜族从韩半岛移居到中国的过程和语言规范的流入和朝鲜制定的语言规范给予的影响。【朝鲜语标准发音法】因受到了朝鲜的语言规范的影响,规范的结构大致跟朝鲜的语言规范相似,但也存在差别。根据性格分类展示了有差别的规定。近期多次修正了【朝鲜语标准发音法】。频繁地修改语言规范对语言教学环境和大众的语言生活造成不便。但是这种频繁地修正是为了迎合跟韩国交流的需求。 中国朝鲜语的现行标准发音规范是【朝鲜语标准发音法】(2016)。 为了更好地理解【朝鲜语标准发音法】(2016)先跟【朝鲜语标准发音法】(2007)做了比较。找出了有差异的结构和规定。有差异的规定的大部分是修正了之前不合理的规定。结构上的差异展示在以下几个方面。第一是新的规范采用的例外规定的标记参考了朝鲜和韩国的例外规定标记方法。第二是因受到了新的书写法的影响在字母的排列顺序和空写规则有别于之前的规范。第三是总则上出现了变化,但是现行的总则还是存在一些问题。 第三章和第四章比较了【朝鲜语标准发音法】(2016)和韩国的【标准发音法】 。第三章是音韵方面的比较,第四章是音韵现象的比较。另外有些规定在对方规范里是不存在的。这种规定分类到第五章一并研究。通过这种比较可以确认相互规定的差别点,并且找出了一些规定不足之处。还有对【朝鲜语标准发音法】(2016)的解说集里的误区做了批判。比较后可以看出朝鲜语的标准语规范跟韩语的标准语规范在结构上有所区别,但是规定的细节上跟韩国的叙述方法有些相近部分。比如许容发音的设定,例子的使用方式等比较相似。但是在汉字音的读法上,【朝鲜语标准发音法】(2016)尽量是维持汉字音,但是韩国的标准语发音法中,尽量采用了已经产生变化的现实生活中的汉字音读音。,还有因两国认准的语法不一样,导致了使用的语法用语不一样,而且对音韵现象的理解也产生了差异。除了这个差异之外,还有两国的书写发不一样导致的差异

more

목차

1. 서론 1
1.1. 연구 목적 1
1.2. 선행 연구 3
1.3. 연구 방법 7
2. 기본적 논의 8
2.1. 「조선말 표준발음법」의 변천사 8
2.2. 「조선말 표준발음법」(2016)의 구성 15
2.3. 「조선말 표준발음법」(2016)과 「조선말 표준발음법」(2007)의 비교 20
2.4. 「조선말 표준발음법」(2016)의 총칙 검토 30
3. 음운 관련 규정 검토 34
3.1. 모음 35
3.1.1. 단모음 35
3.1.2. 이중모음 36
3.2. 자음 38
3.2.1. 어두 자음 38
3.2.2. 받침 41
4. 음운현상 관련 규정 검토 47
4.1. 자음군단순화 47
4.2. 경음화 49
4.2.1. 평파열음 뒤의 경음화 49
4.2.2. 비음 뒤의 경음화 50
4.2.3. 어미 ‘-ㄹ’ 뒤의 경음화 51
4.2.4. 유음 뒤의 경음화 52
4.2.5. 사잇소리로 인한 경음화 53
4.3. 유기음화 55
4.4. 후음 탈락 57
4.5. 구개음화 59
4.6. 조음 방법 동화 59
4.6.1. 비음화 59
4.6.2. 유음화 62
4.7. 조음 위치 동화 63
4.8. ‘ㄴ’첨가 65
5. 기타 규정 검토 68
5.1. 「조선말 표준발음법」(2016)에 있지만 「표준 발음법」에 없는 규정 68
5.1.1. ‘ㅎ’의 약화 68
5.1.2. 한자어에서 ‘ㄴ+ㄴ’의 연쇄 69
5.2. 「표준 발음법」에 있지만 「조선말 표준발음법」(2016)에 없는 규정 71
5.2.1. 기본 원칙 및 자음과 모음의 개수 71
5.2.2. ‘져, 쪄, 쳐’의 발음 71
5.2.3. 장단 72
5.2.4. 어미 ‘-어’의 허용 발음 73
6. 결론 75
참고문헌 77
中文摘要 8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