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사회불안 증상이 있는 청소년을 위한 수용전념 집단치료의 개발 및 효과성 검증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Group Therapy for adolescents with social anxiety symptoms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수용전념치료 이론에 기초하여 청소년 사회불안의 병리기제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불안 증상이 있는 청소년에게 적합한 수용전념 집단치료를 개발하여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연구 1에서는 중학생 752명을 대상으로 행동억제기질 및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를 인지융합과 경험회피가 순차적으로 매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사회불안(대인불안, 수행불안) 발생 모형에서 행동억제기질은 사회불안 증상에 직접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인지융합과 경험회피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인지융합과 경험회피를 매개로 한 간접 효과만 유의하였다. 이는 수용전념치료의 핵심 병리기제인 인지융합과 경험회피가 청소년 사회불안의 발생과 유지에 핵심 요인임을 시사한다. 연구 2에서는 사회불안 증상이 있는 청소년을 위한 수용전념 집단치료를 개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중학생 66명을 수용전념 처치집단(33명)과 대기자 통제집단(33명)에 무선 배정하였다. 수용전념 처치집단은 8회기(90분/주 2회)의 집단치료를 시행하였고, 대기자 통제집단은 처치 없이 대기하였다. 두 집단의 사전, 사후, 치료 종결 4주 후 추후평가의 점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사회불안과 우울, 삶의 질 같은 결과변인 뿐 아니라, 수용, 탈융합, 마음챙김, 가치 및 전념행동 같은 과정변인에서도 집단 및 시점의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즉, 대기자 통제집단에서는 시점에 따른 점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던 반면, 수용전념 처치집단에서는 시점에 따라 사회불안과 우울, 삶의 질과 같은 결과변인 뿐 아니라, 수용과 탈융합, 마음챙김, 가치 및 전념행동과 같은 과정변인에서도 유의한 개선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수용전념 집단치료가 사회불안에 끼치는 영향에서 유의한 매개변인은 수용과 탈융합, 마음챙김, 가치와 전념행동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발된 수용전념 집단치료가 청소년의 사회불안과 삶의 질 뿐 아니라, 핵심 과정변인의 향상에도 기여하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함의점과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more

목차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6

1. 청소년의 사회불안 6
2. 청소년 사회불안의 발생요인 13
1) 행동억제기질 14
2) 부모의 심리적 통제 16
3) 행동억제기질,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 18
4) 인지융합과 경험회피 20
4)-1. 인지융합 22
4)-2. 경험회피 24
5) 인지융합, 경험회피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 27
3. 수용전념치료 29
1) 출현 배경 29
2) 이론적 개념 31
3) 수용전념치료의 핵심적 치료기제 33
4) 치료 효과 및 기제 연구 39
5) 청소년 사회불안과 수용전념치료 44

Ⅲ. 연구 필요성과 목적 49

Ⅳ. 연구 1. 행동억제기질 및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인지융합과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52

1. 목적 52
2. 방법 58
1) 연구 참여자 및 절차 58
2) 측정도구 59
3) 분석방법 63
3. 결과 65
1) 주요 연구 변인들의 기술 통계치 및 상관관계 65
2) 측정모형 분석 68
3) 연구모형 검증 72
3)-1. 대인불안 연구모형의 검증 72
3)-2. 수행불안 연구모형의 검증 78
4. 논의 84

Ⅴ. 연구 2. 사회불안 증상이 있는 청소년을 위한 수용전념 집단치료의 개발 및 효과성 검증 92

1. 목적 및 개발과정 92
1) 목적 92
2) 사회불안 증상이 있는 청소년을 위한 수용전념 집단치료의 개발과정 97
2)-1. 수용전념 집단치료의 특징 97
2)-2. 수용전념 집단치료의 구성 및 회기 내용 100
2)-3. 수용전념 집단치료의 개발과정 107
2. 방법 115
1) 연구 참여자 및 절차 115
1)-1. 연구 참여자 115
1)-2. 절차 116
2) 측정도구 120
3) 분석방법 124
3. 결과 126
1) 연구 참여자의 사전 동질성 126
2) 수용전념 집단치료의 효과 128
2)-1. 집단과 시점의 효과 128
2)-2. 치료의 기제 분석 138
3) 프로그램 사후평가 결과 146
4. 논의 149

Ⅵ. 종합 논의 160

■ 참고문헌 16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