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외상 후 저하 척도의 타당화

Validation of The Posttraumatic Depreciation Inventory

초록/요약

This study validated the scale that measure posttraumatic depreciation in Posttraumatic Growth and Posttraumatic Depreciation-Expanded(PTGDI-X) in Kore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on 433 adults who had experienced traumatic events. EFA found that the 4-factor structure was appropriate. Next, CFA found that the model that added covariance between errors to the four-factor model showed the best model fit. We conducted reliability analysis for internal consistency, and it was confirmed that PTD scale is reliable. To confirm the validity, correlation analysis with each variable known to be related to trauma was conduted. PTD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PTG and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TSD symptoms,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and intrusive rumination, and the convergence validity was confirmed. Also, PTD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but a low level of positive correlation with deliberative rumination and the discriminant validity was confirmed. In addition, PTD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and have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confirmed. Finally, We conduct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or the incremental validity of PTD scale, as a result PTD was found to additionally explain the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eyond post-traumatic growth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to introduce a new concept of posttraumatic depreciation. Further research on posttraumatic depreciation is needed in the future.

more

초록/요약

본 연구는 외상 후 성장 및 저하를 측정하는 척도(Posttraumatic Growth and Posttraumatic Depreciation Inventory-Expanded; PTGDI-X)에서 외상 후 저하를 측정하는 척도를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외상 경험이 있는 성인 433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상 후 저하 척도에 대해 4요인 모형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4요인 모형에 오차 간 공분산을 추가한 모형이 모형 적합도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도 분석을 통해 외상 후 저하를 측정하는 문항들의 내적 일치도를 검증한 결과, 본 척도는 신뢰로운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외상 후 저하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외상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변인들과 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상 후 저하는 외상 후 성장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확인되었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 외상 후 부정적 인지, 침투적 반추와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확인되어 수렴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의도적 반추와는 유의미하지만 낮은 수준의 정적 상관이 확인되어 변별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또한 외상 후 저하는 우울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 심리적 안녕감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준거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외상 후 저하의 증분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상 후 저하는 외상 후 성장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을 넘어서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에 대해 추가적인 설명량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외상 후 저하라는 개념이 새롭게 도입될 필요성을 제시하며, 향후 외상 후 저하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more

목차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5
1. 외상 후 변화 5
1) 외상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5
2) 외상 후 성장 6
3) 외상 후 저하 8
2. 외상 후 성장 및 저하에 대한 선행 연구 10
3. 외상 후 성장 및 저하에 대한 측정 12

Ⅲ. 연구 목적 14

Ⅵ. 연구 방법 15
1. 연구 대상 15
2. 절차 15
3. 측정 도구 16
4. 분석 방법 19

Ⅴ. 연구 결과 20
1.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외상 후 저하 사이의 상관 분석 20
2. 신뢰도 분석 20
3. 탐색적 요인분석 21
4. 확인적 요인분석 24
5. 수렴 타당도 및 변별 타당도 27
6. 준거 타당도 27
7. 증분 타당도 28

Ⅵ. 논의 31

■ 참고문헌 39
■ 부록 47
■ ABSTRACT 6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