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부모의 감정불인정과 대학생의 신체화의 관계에서 정서신념의 매개효과

초록/요약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정적 정서 표현에 대한 부모의 감정불인정의 하위요인인 감정코칭부족반응과 감정무시반응이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신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4년제 대학생 413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상관분석과 매개효과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자녀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부와 모의 감정코칭부족은 신체화 증상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부의 감정무시 반응은 정서신념을 완전매개하여 자녀의 신체화 증상에 선행변인으로 작용하고 모의 감정무시 반응은 정서신념을 부분매개하여 자녀의 신체화 증상에 선행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이 밝혀졌다. 본 연구 결과들은 부모의 감정불인정의 하위요인 간 영향력의 차이와 부와 자녀, 모와 자녀 간 심리적 경로 구조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부모의 감정불인정의 하위요인인 감정코칭부족과 감정무시가 정서신념을 매개로 하여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8
Ⅱ. 이론적 배경 10
1. 신체화 10
2. 부모 감정불인정 12
3. 정서신념 16
4. 변인 간 관계 18
Ⅲ. 연구방법 23
1. 연구대상 23
2. 측정도구 25
3. 자료분석 29
Ⅳ. 연구결과 31
1.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량 및 상관 31
2. 부의 감정불인정과 신체화의 관계에서 정서신념의 매개효과 33
3. 모의 감정불인정과 신체화의 관계에서 정서신념의 매개효과 39
Ⅴ. 논의 45
1. 요약 및 논의 45
2. 결론 및 제언 49
참고문헌 51
부록 5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