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최근 20년간 소아화농성 관절염의 임상적 특징

Clinical characteristic of pediatric pyogenic arthritis (Recent 20 years)

초록/요약

서론: 화농성 관절염이란 세균성 감염에 의해 유발되는 모든 관절염을 의미하며 발생률이 높지 않지만, 진단 및 치료가 늦어진다면 패혈증, 심각할 경우 사망하는 경우도 있으며 성장판 및 관절 파괴 등의 후유증이 동반되게 때문에 항상 염두에 두어야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소아의 화농성 관절염에 대한 임상적 특징, 진단, 치료경과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대상: 1997년 3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22년간 본원에서 화농성 관절염으로 진단되어 수술적 치료를 받은 만 17세 이하의 소아 109명에 대해 초진 시 획득한 병력 및 의무기록을 중심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관절에 통증, 부종, 열감, 가성마비 등의 이상증상을 보이는 환자 중 다음의 피 검사 및 신체 징후를 고려하여 환자를 자료에 포함하였다. 1) WBC 10,000이상 2) CRP 1.2 mg/dL 이상, 3) 발열(37.8︒C 이상) 로 위 3 가지 중 2가지 이상에 해당하는 환자를 포함하였으며, 이 중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 촬영한 영상학적 검사(자기공명검사(MRI)) 판독상 감염성 관절염이 관찰되거나 수술 중 채취된 가검물이나 혈액에서 균이 동정된 경우를 화농성 관절염으로 정의하였고 그렇지 않은 환자군은 배제하였다. 또한 화농성 관절염을 동반하지 않은 골수염이나 혈행성 화농성 관절염이 아닌 경우는 배제하기 위해 개방형 창상이 있거나, 수술 후에 발생한 금속 골 고정재에 의한 감염 등의 직접적인 감염에 의한 사례는 제외하였다 연구결과: 총 92명의 환자에 대해 평가를 하였으며, 남성 55례 (59.8%) 여성 37례 (40.2%) 로 남녀 비는 1.48: 1 이고, 연령에 따른 발생은 1세 이상 6세 미만에서 27례 (29.3%)로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전체 화농성 관절염의 이환 부위 별 발생은 고관절이 48례로 (52.2%) 가장 많았으며 슬관절이 25례 (27.2%), 족관절이 8례 (8.7%) 주관절이 6례로 (6.5%), 견관절이 5례 (5.4%) 관찰되었다. 견관절은 5례로 전체 이환 부위 중 가장 적은 부분을 차지하였으며, 1개월 미만에서 2례 (40%), 1개월이상 1세 미만에서 3례 (60%) 로 모든 환자들이 1세 미만에서 발생한 특징이 관찰되었다. 화농성 관절염 환자에서 시행한 균 동정 검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43례에서 관절액 또는 혈액 검체의 균 배양검사에서 균이 동종 되었으며 그 중 18 (41.8%) 례에서 Methicillin 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MSSA), 11 (25.5%) 례에서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 6 (14.0%) 례 관찰되었다.골수염 유무에 따른 치료 경과기간은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었다. 골수염이 동반된 환자의 평균 정주용 항생제 기간은 18.5일, 경구용 항생제 복용 기간은 21.6일이었다. 골수염이 동반되지 않은 환자의 평균 정주용 항생제 기간은 12.5일, 경구용 항생제 복용 기간은 16.9일이었다. 결론: 소아 화농성 관절염의 유병률은 적지만 그로 인한 후유증은 심하다. 따라서, 관절 통증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를 진찰할 때 화농성 관절염에 주의하여 진찰하여야 한다. 또한 골수염을 동반한 환자의 치료 경과는 더딜 수 있음을 환자, 보호자에게 설명해야 한다.

more

초록/요약

Background: Although ‘septic arthritis’ that means the inflammatory synovitis caused by bacterial infection is rare disease, it is very important to keep the possibility of septic arthritis in mind. The doctors have to diagnose and manage the disease without delay because of various complications; destruction of the growth plate or cartilage, sepsis, death. The authors display pediatric septic arthritis of clinical characteristics, diagnosis and treatment progres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rch 1997 and December 2019 for 22 years, all patients under 17 years of age hospitalized Ajou Hospital with a diagnosis of septic arthritis were treated by surgical operation. The authors study retrospectively medical record for the 109 patients. Firstly, we select the patients who complain of the clincal symptoms; the tenderness, swelling, heating sensation, pseudo paralysis and so on. Among the patients, we apply inclusion criteria. We include the patients at least satisfied 2 inclusion criteria; 1) wbc ≥ 10,000 / µl, 2) CRP ≥ 1.2 mg/dL, 3) fever ( ≥37.8 ︒C). We define the septic arthritis that the patients’ official image reading (MRI) is closely septic arthritis or identification of bacteria in patients’ joint fluid or blood is positive. We want to include only hematogenous septic arthritis and exclude the osteomyelitis without the septic arthritis. Therefore, we apply exclusion criteria; septic arthritis patients caused by direct infection such as open wound and implant. Results: A total of 92 subjects were included for this study. As there were 55 boys (59.8%) and 37 girls (40.2%), the gender ratio of boy to girl was 1.48 to 1. The highest ratio in incidence of the septic arthritis was in age category of 1-6 years by 27 cases (29.3%). In the anatomical location of septic arthritis, we demonstrated the hip as the most common (48 cases, 52.2%), followed by knee (25 cases, 27.2%), ankle (8 cases, 8.7%), elbow (6 cases, 6.5%) and shoulder joint (5 cases, 5.4%). The shoulder joint was the least involved. Interestingly all shoulder joint patients were younger than 1 years; age category of under 1months by 2 cases (40%) and age category between 1months- 1years by 3 cases (60%). Only 43 cases were identified bacteria in joint fluid or blood. The Methicillin 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MSSA) group was the most common (18 cases, 19.8%), followed by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 (11 cases, 12.1%), Streptococcus group (Streptococcus agalactiae, Streptococcus pneumonia, streptococcus viridans, β -hemolytic streptococcus type B) (6 cases, 6.6%), Escherichia. coli (E.coli), Enterococcus faecium (E. faecium), Salmonella serogroup B (respectively 2cases, 2.2%), Pseudomonas aeruginosa, Hemophilus influenzae type b (Hib) (respectively 1cases, 1.1%). We made a comparison between treatment progress in the patients with osteomyelitis and without osteomyelitis. The patients with osteomyelitis were treated much longer than the patients without osteomyelitis. (the mean of hospitalization day 20.0 days > 14.9 days, duration of intravenous antibiotic 18.5 days > 12.5 days, duration of oral antibiotic 21.6 days > 16.9 days) Conclusion: Septic arthritis is rare disease at a young ages, but pediatrician always has to keep the possibility of septic arthritis in mind because of severe sequela. Therefore, When treating a patient who complained of joint pain, the doctor must be taken for septic arthritis. When treating a patient with osteomyelitis, it should be explained to the patient and guardian that the course of treatment may be delayed.

more

목차

제1장 서론 1
제2장 연구 방법 및 대상 2
제3장 결과 5
제4장 고찰 11
제5장 참고문헌 2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