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교차로 운영 개선 효과에 관한 SSAM 평가 및 검증

Evaluation and Verification of SSAM on the Effectiveness of Improving Intersection Operations

초록/요약

교차로 교통사고가 전체 교통사고 발생건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어 이를 개선하고자 도로교통공단에서는 “상습정체·사고다발 교차로 개선” 및 “생활권 주요교차로 교통환경 개선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중이다. 교통안전측면의 효과를 측정을 위해 교통사고 통계 의존시 장기간 분석이 필요하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 SSAM(대리안전척도모형)을 활용하여 교통안전성 측면의 개선효과를 예측하고 있으나, 기존의 연구 및 문헌상에 SSAM모형으로 예측된 교통사고 감소율과 실제 교통사고 감소율간의 상관관계 및 신뢰성 검증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차로 개선사업 전·후 각 6개월간의 교통사고 발생자료를 기초로 하여, SSAM모형으로 예측된 교통사고 감소율과 실제 교통사고 감소율에 대한 통계분석(상관분석, t-test)을 통해 SSAM모형의 신뢰성 평가와 검증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교차로 251개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SSAM모형으로 예측된 교통사고 감소율과 실제 교통사고 감소율간의 상관관계가 약하거나 없는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t-test 분석결과 SSAM모형으로 예측된 교통사고 사고감소율이 20% 이상인 경우에 SSAM분석 결과값을 교차로 개선사업의 안전성 지표로 적용함에 있어 통계적으로 신뢰성을 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라서, 향후 SSAM모형과 실제 교통사고 결과값을 비교평가할 때, SSAM모형으로 예측된 교통사고 감소율이 20% 이상인 경우에는 SSAM분석 결과값을 신뢰할 수 있지만, SSAM모형으로 예측된 교통사고 감소율이 20% 이하인 경우에는 SSAM분석 결과값에 대한 해석을 신중하게 접근하고, 추가적인 상세분석을 실시하여 판단하는 노력이 반드시 요구된다.

more

목차

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 2 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제 3 절 연구의 수행과정 4
제 2 장 이론적 배경 5
제 1 절 상충이론 5
제 2 절 SSAM 6
제 3 절 기존 연구 문헌고찰 11
제 3 장 연구대상 교차로 선정 및 자료 정리 16
제 1 절 연구대상 교차로 선정 16
제 2 절 연구대상 교차로 자료 정리 29
제 4 장 교차로 운영 개선 효과에 대한 SSAM 신뢰성 검증 31
제 1 절 신뢰성 검증방법 선정 31
제 2 절 SSAM 신뢰성 검증 35
제 5 장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58
제 1 절 결론 58
제 2 절 향후 연구과제 59
참 고 문 헌 6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