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직업군인의 전역과정에 나타난 학습경험 내러티브 탐구

A Narrative Inquiry on the Learning Experiences of Occupational Military Personnel During the Discharge Process

초록/요약

이 논문은 직업군인의 전역과정에 나타난 학습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이다. 직업군인의 전역과정과 삶의 변화를 탐색함으로써 학습경험이 직업군인들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직업군인의 전역과정에 나타난 학습경험을 연구하기 위해 그들의 전역과정에 주목하였다. 연구에 적합한 연구대상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자서전을 출간한 다섯 명의 전역군인을 발견했다. 연구자는 이들의 자서전을 정독하면서 질적 연구사례와 참여에 타당한 선정기준을 정하고 부합된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내러티브 탐구로 진행하였다. 내러티브는 개인적 사건과 경험에서의 이야기로 엮고, 그 이야기 안에서 개인의 경험을 탐구하는 분석방법이다. 다양한 질적 연구방법들 중에 내러티브 탐구는 직업군인의 전역과정의 경험을 이해하고 의미를 부여하는데 적합한 탐구방법으로 본 연구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연구의 모든 과정에서 연구자 자신의 경험적 탐구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또한 Clandinin & Connelly(2000)가 제시한 5단계의 내러티브 탐구 절차를 따랐다. 자료의 수집은 2018년 12월부터 2019년 9월까지 9개월간 1차로 문서 수집을 하였다. 연구 참여자가 선정된 2020년 3월부터 21년 8월까지 17개월 동안 심층면담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2차 문서 수집과 참여자 동료면담을 추가하면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Glaser & Strauss(1967)의 반복적 비교분석법(constant comparative method)을 사용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1차 코딩 초기 생성에서는 112개의 의미 단위를 구분하였다. 그리고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는 것들을 묶으면서 57개의 의미 단위로 요약하였다. 2차 코딩에서는 연구자의 통찰을 반영하여 범주의 관계 형성으로 28개의 의미로 구분하였다. 3차 코딩에서는 통합 및 주제 발견에서 8개의 의미로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도출된 요소들을 살펴보면, 길들여진 본성(本性) 붕괴로부터의 학습경험에서는 규정된 시간 속에서 비(非)규칙적인 학습의 시작, ‘마트로시카’ 같은 삶에서 자신의 발견, 제복 속에 자리 잡은 자신과의 대화의 시도, 우리의 삶이 아닌 자아의 삶 찾기로 요약되었다. 다음으로 아비투스(habitus) 해체로부터 시작된 학습경험은 익숙해진 통제된 삶에서 일상의 학습의 시작, 배부른 수첩에서 자신의 생각의 발견, 군복 안에 숨겨진 학습의 발견, 그저 살아지는 삶이 아닌 존재의 삶 알기로 요약되었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밝혀진 직업군인의 전역과정에 나타난 학습경험의 해석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의 생(生)을 찾기 위한 삶의 비평이다. 이들은 삶의 비평으로 자신이 살아온 생애의 틀을 형성하는 구조를 이해하고 자기를 탐색하는 과정의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자기 탐색은 비판으로 시작되고 일상에서 일어나는 학습의 경험을 돌아보게 했다. 이러한 경험은 자신의 전기(biography)이며, 자신으로 살아가는 학습 그 자체일 수 있다. 둘째, 자발적 가(痂) 배움을 위한 삶의 반성이다. 참여자들의 전역과정에 나타난 학습경험에는 전역 이전부터 메모와 글쓰기 습관이 이들의 자전적 글쓰기로 이어지면서 갖는 반성의 의미를 담고 있었다. 셋째, 자신의 그리고 자신을 위한 삶의 성찰이다. 무엇보다 군인으로 살고자 했던 참여자들에게 지속해서 일어나는 일상의 사건으로 자신을 되돌아보는 시간을 갖게 하였다. 또한 그 시간 속에서 이들의 시선은 변화되고, 그 변화 속에서 이들은 자신과의 대화를 시작하며 자신을 만나게 되었다. 그리고 자아를 깨닫는 성찰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참여자들은 자신이 의도하지 않는 변화에 대응하는 인식과 관심을 보였다. 이 과정에서 자신과의 도구적 학습과 실제적 학습, 그리고 해방적 학습이 드러나는 전환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의도하지 않은 삶에서 의도하는 삶을 살아가기 위한 변화를 받아들이면서 비판적 사고와 자신을 반성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도 자신의 자전적 글의 해석과 이해를 통해 진정성 있는 자기반성이 일어나고 관점 전환과 자아실현의 관심을 가지는 삶의 흔적을 드러냈다. 마지막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의 자전적 글쓰기로 자신과의 효과적인 대화와 공감적 소통을 시도한 학습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직업군인의 전역과정에 나타난 학습경험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지금까지 평생교육 연구에서 쉽게 다루지 못했던 직업군인의 전역과정을 내러티브로 살펴보고, 새로운 대상과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이 연구의 참여자들은 성별이 다른 여군과 남군이다. 젠더 관점에 국한되지 않았고, 군대의 계급 특징을 구분하여 인간의 존엄을 위배하지 않은 연구의 의의가 있다. 셋째, 선행된 전환연구에서 부족했던 직업군인을 대상으로 연구의 지평을 넓히기 위한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한 것에 주목할 만한 의의가 있다.

more

초록/요약

This dissertation is a qualitative study on the learning experience of Occupational soldiers during the discharge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meaning of the learning experience by exploring their life changes. Five veterans who had published autobiographies were chosen as study cases to investigate the learning experience from their discharge process. The researcher horoughly read the autobiographies, set appropriate requirements for participation, and selected research participants. Narrative inquiry, which is an analytical tool to explore individuals' experience by weaving personal events and anecdotes into a story,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Among the variou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t was deemed suitable for understanding individuals' experience and finding in-depth meaning, because the researcher's own empirical inquiry was required in every phase. The Five-Step Procedure of Narrative Inquiry by Clandinin & Connelly (2000) was also used. Brief literature surve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2018 to September 2019 and participants for the study were selected and then data was collected from related documents, in-depth interview, and colleague interview from March 2020 to August 2021.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by Glaser & Strauss (1967)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112 semantic units were classified from the initial coding results, and they were summarized into 57 semantic units by grouping units with similar meanings. In the secondary coding, the researcher's insight was reflected in the categorization process and 28 semantic units were classified. In tertiary coding. 8 semantic units were drawn by integration of meaning and theme discovery. The implications of the semantic units derived in this study were summarized in two perspectives of learning experience: the collapse of the tamed human nature and the dismantling of habitus. The former included the beginning of non-regular learning within a scheduled time, the discovery of oneself in a life as can be learned from 'Matroyshka', attempts to have a conversation with themselves wearing an uniform, and finding a real life of our ego. The latter included the start of daily learning from mundane and controlled life, finding own thoughts in their full notebooks, a discovery of hidden learning by the uniform, and to live a life of existence, not a life to be lived. The interpretive meanings of the learning experience from our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a critique of life to pursue one’s own life. Participants understood the structure of their life-frames, and learning itself was a process of self-examination. Self-examination started with criticism and made them reflect on their learning experiences of everyday life. Second, it was a reflection of life for voluntary ‘Scab Learning’. The learning experience that appeared in the participants' discharge processes contained the meaning of reflection as their memo and writing habits lead to autobiographical writing. Third, it was a reflection of life of oneself, and for oneself. It gave the participants, who wanted to live as soldiers, time to reflect on themselves through records of the events of single, ordinary days. Also, during their perspectives changed, and in which they met themselves through self-conversation. Participants showed awareness in responding to changes they did not intend-which implicates a transformative meaning to reveal instrumental learning with oneself, practical learning, and emancipatory learning.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developed critical thinking ability while accepting the change to live a intended life from an unintended life. In this process, the participants’ own autobiographical marks with an interest in change of perspective and self-realization were shown through the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of one's own autobiographical texts, Finally, the results were significant in that the participants attempted effective dialogue and empathic communication with themselves through autobiographical writing. The study on the learning experience during the discharge process of professional soldiers had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this study was focused on narrative inquiry on the discharge process of professional soldiers, which had not been studied well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Second, the study included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It was not confined to gender perspective, and upheld human dignity by excluding military ranks. Third, this study explored cases on professional soldiers that were lacking in previous researches, thereby it had broadened the horizon of the related field.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1. 직업군인의 전역 6
가. 직업군인 6
나. 군인의 전역 10
다. 전역의 선행연구 13
2. 학습 경험과 전역 16
가. 전환학습이론 16
나. 전환에서의 학습경험 24
Ⅲ. 연구방법 29
1. 내러티브 탐구 29
가. 본 연구에서의 내러티브 탐구 29
나. 내러티브 탐구의 절차 34
2. 연구 참여자 39
가. 연구 참여자 선정 39
나. 연구 참여자 소개 41
3. 연구자의 내러티브 : 김교관의 이야기 50
4. 자료수집 및 분석 56
가. 문서 57
나. 심층면담 59
다. 자료의 분석 63
5. 연구의 진실성 및 윤리 65
Ⅳ. 직업군인의 전역과정 내러티브 69
1. 조종사가 된 나비행의 전투감각 탈출기 69
가. 비행소녀에서 여군이 되다 69
나. 한번 여군은 영원한 여군이다 74
다. 마음의 휴전 중에 내전을 마주하다 78
라. 포로에서 탈출을 시도하다 84
2. 다시 군인이 된 김호테의 허물벗기 91
가. 숲에서 아주 큰 편린(片鱗)을 보다 91
나. 모두 반대하는 재 입대를 이루다 97
다. 혼자 남은 전장에서 걸어오다 103
라. 제2의 생명을 내려놓고 다시 길을 걷다 106
3. 소결 108
Ⅴ. 직업군인의 전역과정에 나타난 학습경험 내러티브 109
1. 나비행의 길들여진 본성(本性) 붕괴로부터의 학습경험 109
가. 규정된 시간 속에서 비(非)규칙적인 학습을 마주하다 109
나. '마트로시카' 같은 삶에서 자신을 발견하다 113
다. 제복 안에 자리 잡은 자신과 대화를 시작하다 116
라. 우리의 삶이 아닌 자아의 삶을 살아가다 121
2. 김호테의 아비투스(habitus) 해체로부터 시작된 학습경험 127
가. 익숙해진 통제된 삶에서 일상의 학습을 조우하다 128
나. 배부른 수첩에서 자신의 생각을 시작하다 132
다. 군복 안에 숨겨진 학습을 발견하다 136
라. 그저 살아지는 삶이 아닌 존재의 삶을 알아가다 138
3. 소결 143
Ⅵ. 전역과정에 나타난 학습경험의 해석적 의미 144
1. 자신의 생(生)을 찾기 위한 '삶의 비평 146
가. 자기 자신에게 묻는 학습을 이어가다 148
나. 비판한 전기(biography)에서 배움을 만나다 152
다. 당연한 일상을 거부하고 새로운 학습을 시작하다 157
2. 자발적 가(痂)를 위한 '삶의 반성' 160
가. 조직을 위한 삶에서 나를 발견하다 162
나. 차별과 차이를 넘어 내면을 보다 165
다. 엉켜진 삶의 실타래를 풀다 169
3. 자신의 그리고 자신을 위한 '삶의 성찰' 173
가. 자아를 만나는 성찰의 시간 : 인고(忍苦) 177
나. 생(生)의 서사에서 본 성찰의 연속 : 안고(安苦) 180
다. 자기 자신과의 공감적 성찰 : 낙고(樂苦) 182
Ⅶ. 요약 및 결론 187
1. 연구의 요약 187
2. 연구의 결론 192
참고문헌 197
부록 212
Abstract 22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