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사회적기업가의 전환학습 경험 내러티브 탐구

초록/요약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가가 일과 삶의 현장에서 사회적 가치를 실천하게 된 과정과 그 안에서 나타나는 전환학습의 양상을 살펴보고 평생학습적 의미를 밝히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특히 경제적 가치를 우선적으로 추구하는 시장자본주의 원리가 지배하는 무한 경쟁 사회 속에서 사회적 가치에 의미와 목적을 두고 묵묵히 실천해 가는 두 사회적기업가의 삶의 발자취에 오롯이 녹아져 있는 학습의 흔적을 살펴보고 사회적기업가를 넘어 사회운동 교육자로 성장해 가는 전환적 맥락을 드러냄으로써 학문적 이해에 다가서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첫째, 사회적기업가로서 사회적 가치를 실천하게 된 삶의 맥락은 어떠하며 둘째, 사회적기업가로서 사회적 가치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전환학습을 경험했는지 탐색하였고 셋째, 사회적기업가로서 전환의 경험 이후의 삶은 어떤 모습으로 나타났는지를 연구문제로 상정하여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의미를 파악하고자 내러티브 탐구를 적용하여 살펴보았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연구문제에 부합하다고 판단되는 사회적기업가 2인을 선정하였고, 선정기준으로는 사회적기업가로서 사회적 가치를 실천함에 인지도가 있는 인물, 자신의 경험을 풍성하게 표현할 수 있는 내러티브 능력을 소유한 인물, 활동하고 있는 사회적경제 조직의 유형이 다른 곳, 연구의 내용을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연구 참여가 가능한 순으로 결정하였다. 전환학습의 양상을 분석하는 이론적 틀로는 Mezirow(1991)의 전환학습이론을 적용하였고, 선행 연구들에서 밝혀졌던 전환학습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확장된 전환학습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변화 단계의 순서에 맞추어 내러티브를 기계적으로 연결시키는 오류를 범하지 않고, 정서적, 맥락적 요인을 누락하지 않도록 서술하며 전환의 지점에서 연구 자료의 전후 맥락을 상세히 표현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를 위해 Mezirow(1991)가 제시했던 10단계 모델은 의미적 단위로 단계를 재구성하여 ‘갈등의 딜레마 단계’, ‘조정단계’, ‘전환단계’, ‘학습단계’, ‘통합적 확장단계’, 총 5단계로 전환학습의 준거 틀 안에서 통합적인 시각으로 의미를 해석해 보았다. 아울러 전환학습과정을 전후하여 연구 참여자가 습득한 지식의 내용을 기술적, 실천적, 해방적 차원으로 구분하여 성인학습의 관점에서 이해를 돕고자 정리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틀을 가지고 연구 문제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가로서 사회적 가치를 실천하게 된 삶의 맥락에서는 두 연구참여자에게 공통적으로 발견된 행위가 있었는데 ‘자발적 봉사’를 주요한 학습의 과정으로 인식했다는 점이다. 실제로 사회적 가치의 구체적인 개념은 사회적기업으로의 참여를 계획하는 과정에서 기술적, 관계적 학습의 경로를 통하여 습득하였지만, 선험적 의미에서 사회적 가치로의 의미관점을 가지게 된 지점은 봉사로부터 연결되는 뚜렷한 경향을 보였다. 먼저 이공방의 경우 어린 시절 부모님으로부터 마을 내·외에 어려운 이웃을 돕는 모습을 관찰하며 배우게 된 일련의 학습과정이 실천으로 이어지는 ‘사회 환경적인 요인’이 이후 성인이 되어 자발적인 봉사로 이어지며 사회적기업으로 참여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와 달리 임바리는 어떠한 삶을 살아야 할지를 성찰하는 과정에서 성경의 구절로부터 개인적인 깨달음을 얻었고, 이러한 깨달음을 자신의 신념으로 승화시켜 자발적 봉사의 실천 동인으로 촉발되는 ‘자기 인지적 요인’으로의 차이를 보였다. 자발적 봉사의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들이 돕고자 마주하고 있는 대상이 같은 사회라는 공간 안에 살고는 있지만 누군가는 인간답게, 누군가는 두려움과 공포, 인간으로서 누릴 수 있는 자유를 결박당한 채 살아가는 모습에서 존재로서의 인간의 의미와 삶의 의미를 반성적으로 성찰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이를 둘러싸고 있는 사회의 제도와 타인들의 시선이 모여 만들어진 경계를 민감하게 바라보게 되면서, 자신의 봉사가 단순히 ‘도움을 주는’ 차원에서의 의미에서 ‘자유와 희망을 주는 책임으로서의’ 의미로 확장되어 가는 전환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기업가로서 사회적 가치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경험한 전환학습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두 사회적기업가는 사회적 가치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제도적 딜레마’를 경험하며 전환학습의 양상이 드러나기 시작하였고, 제도에 대한 기존의 의미 관점이 전환되면서 궁극적으로는 통합의 방향을 갖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핵심 맥락으로는 사회적기업이라는 제도에 참여하기 이전의 삶의 여정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돕고자 하는 강한 열망으로 시작된 특정한 대상이 있었다. 그리고 그 대상이 인간다운 삶을 위한 진정한 자립의 기회를 만들 어 줄 수 있는 도구적 수단으로서 사회적기업의 제도가 해석되면서 참여 하는 양상을 보였다. 하지만 가치를 생성할 수 있는 지식을 교육하고, 자립을 위한 환경적인 조건을 구성하여 본격적으로 일은 시작하였지만 예상과 달리 대상은 이 사회의 주체로서 자유를 위한 삶의 실현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오히려 사회의 약자에게 제공되는 복지혜택이라는 제도의 온실 속으로 되돌아가려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 지점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받는 기초생활보장이라는 제도가 오히려 해당 주체의 독립을 방해하고, 궁극적으로 사회적기업가로서 사회적 가치를 실천하지 못하게 하는 모순을 제공한다는 점에 큰 충격을 경험하며 자신의 행위에 대한 후회와 의미 없어짐에 대한 불안의 감정이 나타났다. 이러한 모순적인 상황을 직면하며 연구 참여자들은 자립의 참여 의지가 없는 대상자를 돌려보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생각하였던 사회적 가치의 본질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깊이 성찰하는 모습을 보였고, 그 본질에 다가가기 위해 기술적, 실천적 지식을 학습하며 제도에 대한 이성적 담론을 전환해 가는 모습을 보였다. 즉 어쩔 수 없이 따라야 하는 제도가 아니라 마치 하나의 사회 운동처럼 확장해 갈 수 있도록 돕는 잠재된 도구로의 관점으로 전환해 가는 양상을 보였다. 셋째, 사회적기업가로서 전환의 경험 이후에 연구 참여자들은 ‘사회운동 교육가’로의 삶은 다음과 같은 모습으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들은 정체성 수준의 깊은 곳에 있던 가정(假定)과 기준을 전환하게 되면서, 확장된 관점에서 과거에 모순되었던 의미들을 통합하고 자신의 새로운 역할을 계획하며 실행하는 모습으로 진일보한 사회적기업가로의 면모를 보였다. 특히 자신의 전환적 경험을 공유하고 이를 지지해주는 공동체는 이성적 담론의 과정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매개체가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이 삶의 경험에서 파편화 되어 가지고 있던 문제의식, 경험적 지식들이 새로운 차원으로 연결되면서 가치를 만들어 내는 소중한 자원으로 전환 되는 과정 안에는 연구 참여자들의 주변에 정서적 상호의존적인 관계에 있는 대상과의 진솔한 대화와 격려는 이성적 담론에 주요한 요인이 되었고, 이를 통한 전환의 결과는 자유와 존재로서의 해방을 추구하는 지속학습의 형태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가가 사회적 가치를 실천하게 된 본질적 동기를 발견해 봄으로써 삶의 진실이라는 보편성에 조심스럽게 다가보려는 질적 연구로의 목적과, 제도 이면에 인간으로서 추구하는 더불어 사는 사회에 다가가는 근원적 동인이 평생학습과 연결되어 있음을 밝혀보는 기초 연구로써 그 틀을 마련하는 탐구과정으로의 의미를 갖는다. 또한 사회적기업가를 평생교육학의 영역에서 연구를 시도할 때 전환학습의 관점으로 해석이 가능함을 보이는 시론적 연구로서의 의의를 가진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the meaning of lifelong learning by examining the process by which social entrepreneurs came to practice social values ​​in the field of work and life and the transformative pattern in them. This study intended to approach academic understanding by showing the transitional connection of growing into a social movement educator and learning two social entrepreneurs who put their highest priority in social values ​​and practice in competitive society of market capitalism principle of putting economic value first. For this study, I first examined the context of their life that led to the practice of social values ​​as social entrepreneurs. Second, what kind of transformative learning was experienced in practicing social values ​​as a social entrepreneur. Third, what their lives would look like after experiencing the transformation as social entrepreneurs. I applied narrative inquiry to understand the meaning from the point of view of lifelong education. To conduct the research, two social entrepreneurs were selected for the question. It was decided in the order which one has good reputation in social value practice, those are capable of expressing their experience in narrative type, working in different social economy organization,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the study, and actively participating. Mezirow (1991)'s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was applied as a theoretical framework to analyze the aspect of transformative learning. To overcome the limitations in previous studies, it was tried to analyze it from the concept of extended transformative learning. Additionally, to make the error of connecting the narrative by rote, it was examined following the sequence of emotional and contextual flows in detail with the perspective of extended transformative learning. Mezirow (1991) suggested ten steps, which were reorganized into semantic units: ‘dilemma stage of conflicts', ‘adjusting stage’, 'learning stage', 'integrated expansion stage', a total of 5 stages, considering the parts where the sequential change pattern did not appear to the study participants. I tried to interpret the meaning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within the existing frame of reference.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knowledge acquired by the research participants before and after the transformative learning process were divided into technical, practical, and emancipatory dimensions and organized from the perspective of adult learning.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research questions with the framework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xt of life that led to the practice of social values ​​as a social entrepreneur is that there was a common behavior found in both study participants, which was that they recognized 'voluntary service' as a significant learning process. The concrete concept of social value was learned through the path of technical and relational learning in the process of planning participation in social enterprise, however it is clear tendency that their semantic timing in a priori to social value started from volunteering their service for the needy. First, Lee-gongbang, had observed their parents help neighbors in need in/outside the village and it led him to practice voluntary service and participate as a social enterprise. On the other hand, Im-bari obtained personal enlightenment from Bible verses in reflecting on what kind of life he should live and made him serve others voluntarily. ‘Self-cognitive factor’ is different with Lee. In the process of voluntary service, the research participants had reflections on the meaning of his existence and the meaning of his life in the society that some live like a decent human beings. In contrast, others live with fear and terror, or lose the freedom they can enjoy. As they sensitively look at the boundaries created by the social institutions and others’ perspectives, their service has expanded from the meaning of simply 'helping others to the importance of ’being responsible for others’ freedom and hope'. Second, the social entrepreneur experienced transformative learning in practicing social values​. Both had an 'institutional dilemma' in practicing social values, and the aspect of transformative learning began to emerge. The core part was that they had specific people who wanted to help in their life journey before participating in the social enterprise system. They interpreted that the social enterprise system could be used as an instrument to stand on their own, as decent human life. After building up the administrative and practical solution as a social enterprise, it appeared that people couldn’t have stood on their own in terms of jobs and economics as they look forward to. Instead, they tend to return under the roof of welfare system provided for the underprivileged in society. In other words, the social enterprise system or the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hinders the independence of the subject and it ultimately prevents them from practicing social values ​​as social entrepreneurs. They were shocked, regretful, and anxious about their meaningless actions. Facing such a contradictory situation, the research participants did not simply return subjects who were unwilling to participate but reflected on the essence of social value. To approach the core, they acquired technical and relational knowledge. They changed perspective as a tool with potential to expand like a social movement, not a system to be followed unwillingly. Third, after experiencing the transition to social entrepreneurs, the study participants showed the following aspects of their lives as 'social movement educators'. As they had shifts in the assumptions and standards deep within the identity level, they became more developed social entrepreneurs with the ability to integrate contradictory thoughts in the past into an expanded perspective of the present, plan and execute their better role in the future. Mainly, it was found that the community that shared and supported their transformative experiences became a medium that successfully led the process of rational discourse. Also,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fragmented problem and empirical knowledge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had in their life experiences into a valuable resource that connects to a new level and creates value was a dialogue and deep emotional sympathy between the subject and object of rational discourse. As a result of the transformation, it appeared in continuous learning that pursues freedom and liberation as exist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a qualitative study to carefully approach the universality of the truth of life by discovering the essential motives that led social entrepreneurs to practice social values and an inquiry process that prepares the framework that the fundamental driving force relates to this lifelong learning in a society in which we live together as human beings behind the system. In addition, it has significance as a preliminary study that shows that social entrepreneurs can be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formative learning when research is attempted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자의 내러티브: 연구주제로의 접근 1
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7
3. 연구문제 16
Ⅱ. 이론적 배경 18
1. 사회적기업가 18
가. 사회적기업과 사회적기업가의 개념 18
나. '사회적'의 의미와 사회적 가치 30
다. 사회적기업가의 성인학습적 특성 38
2. 전환학습 43
가. 전환학습의 개념 43
나. 전환학습의 확장적 관점 49
다. 전환학습의 선행연구 검토 54
Ⅲ. 연구방법 59
1. 내러티브 탐구 59
2. 연구 참여자 62
가. 연구 참여자 선정 62
나. 연구 참여자 소개 63
3. 연구절차 및 분석과정 68
가. 현장텍스트 수집 69
나. 텍스트 분석 72
4. 연구의 진실성 및 윤리 확보 73
IV. 두 사회적기업가의 사회적 가치 실천 내러티브 75
1. 마음을 깃는 공방명인, '이공방'의 내러티브 75
가. 보개면의 한 아이 77
1)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데 팥 난다 77
2) 평범한 이웃들의 평범하지 않은 이야기 80
3) 꿈을 간직한 채 생활전선으로 87
나. 어렴풋하지만 분명하게 90
1) 유일한 나의 탈출구 90
2) 남들처럼 살아야 되는 줄 알았지 92
3) 뽀얗게 닦아 놓은 스님의 흰 고무신 96
4) 지점토 한 도막에 열정을 담아 98
다. 사회적경제를 만나다 101
1) 누나가 사는 게 사회적경제야 101
2) 한 땀 한 땀 쌓여가는 치유의 시간 105
3) 협동하며 살아가는 법을 배우는 교육 113
4) 소통을 통해 연대를 이루다 118
라. 더 넓은 세상으로 121
1) 연대 안에서 함께 걷다 121
2) 알을 깨고 나온 병아리 127
3) 엄마의 뒷모습을 보고 자란 아들과 함께 130
4) 함께 살아가는 세상을 꿈꾸며 134
2. 장애인 자활의 새로운 지평을 연, '임바리'의 내러티브 142
가. 소년 144
1) 크리스마스의 작은 상자 144
2) 수줍은 소년 웅변과 만나다 146
3) 모두 친하게 148
나. 25살 복학생의 기도 149
1) 마태복음 25장 40절 150
2) 브솔시냇가에서 만난 사람들 157
3) 마음과 마음을 모아 : 히즈빈 1호점 160
4) "무하마드 유누스"로 우리 166
다. 지극히 작은 자를 위하여 170
1) 4개월 만에 찾아 온 위기 170
2) 함께 걷는 길 175
3) 정신장애인 자활의 세계적 모델 187
라. 한명이라도 더 자립할 수 있게 191
1) 소중한 열매들 192
2) 더 넓은 지평으로 195
3) 사회적기업: 제도 안으로 198
마. 세 번째 도전 204
1) 필리핀에 새로운 씨앗이 204
2) 완전한 소진과 새로운 채움 207
3) 제 3단계 실험 218
4) 다시 꿈을 꾸는 227
V. 사회적기업가의 내러티브에 나타난 전환학습 경험 235
1. 삶의 맥락에 나타난 전환의 과정 235
가. 봉사를 넘어 책임으로의 전환 235
나. 개인의 전환에서 사회의 전환으로 260
2. 사회적기업가로의 되어감의 평생학습적 의미 263
가. 삶의 의미를 찾아서 263
나. 자유로서의 학습 277
ⅤI. 논의 및 결론 282
1. 논의 282
2. 결론 293
3. 후속 연구 제언 298
참고문헌 30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