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정서적 섭식의 관계에서 정서 억제의 매개효과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emotional eating : the meditating effect of emotion suppression

초록/요약

In present study, mediation of emotion suppression in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emotional eating was examined. Furthermore, validation on Palatable Eating Motives Scale(PEMS) which is a relatively new in comparison to emotional eating scale was carried out to make sure that the scale applies well to the Korean with least limitation any psychological scale may have. First of all, we conducted validation of Palatable Eating Motives Scale in Study 1. The participant consists of Korean adults and the size of the sample is 350. The results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nvergent validity check on the validated scale are as follows: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PEMS was significantly summarized into a three-factor-structure, unlike the original scal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originally assumed four-factor-construct as somewhat insignificant; as for convergent validity, the four-factor-structure scale had significant medium(or above) level correlation. Thereby implying that the validation was successful. Adopting the validated PEMS for the first time, in Study 2, whether emotion suppression has mediating role in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emotional eating was examined. The results show that emotion suppression showed (partially) as a negative mediator when emotional eating is caused by maladaptive perfectionism. Finally,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 about this study were discussed.

more

초록/요약

본 연구는 정서적 섭식과 부적응적 완벽주의 간의 관계에서 정서 억제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고자 진행하였다. 또한 기존 정서적 섭식 척도의 한계를 개선하고자 새로운 척도인 자극적인 섭식 동기 척도(Palatable Eating Motives Scale)의 국내 타당화를 진행하였다. 우선, 연구 1에서는 자극적인 섭식 동기 척도의 국내 타당화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350명을 모집하여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 분석과 수렴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결과는 탐색적 요인 분석에서 원 척도와 달리 3요인 구조를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확인적 요인 분석에서 4요인 구조도 적합하여 최종 4요인 19문항으로 타당화 하였다. 수렴 타당도 역시 관련 척도들과 중간 이상의 상관을 보여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앞서 이야기한 세 변인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 분석 및 매개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정서적 섭식 사이에서 정서 억제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적응적 완벽주의에서 정서 억제에 대해 개입하는 것이 정서적 섭식에 중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방향을 논의하였다.

more

목차

I. 서론 1
II. 이론적 배경 4
1. 정서적 섭식 4
2. 부적응적 완벽주의 4
3. 정서 억제 5
4. 정서적 섭식, 부정응적 완벽주의, 정서 억제 6
1)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정서적 섭식 6
2)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정서 억제 7
3) 부적응적 완벽주의, 정서 억제와 정서적 섭식 7
5. 자극적인 섭식 동기 척도 8
III. 연구 목적 및 가설 10
1. 연구 목적 10
2. 연구 가설 11
IV. 연구1 방법 12
1. 연구 대상 12
2. 번안 12
3. 측정 도구 13
4. 자료 분석 14
V. 연구1 결과 16
1. 기술통계 16
2. 탐색적 요인 분석 16
3. 확인적 요인 분석 20
4. 수렴 타당도 분석 23
Ⅵ. 연구2 방법 25
1. 연구 대상 25
2. 측정 도구 25
3. 자료 분석 26
Ⅶ. 연구2 결과 27
1.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27
2. 매개효과 검증 28
Ⅷ. 논의 31
■ 참고문헌 3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