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개별이동통신 자료를 활용한 국제선 여객 공항선택모형 구축

International Passenger Airport Choice Model using Mobile Communication Data

초록/요약

현재 우리나라 항공여객 수요추정 지침에서 공항별 국제선 여객수요를 추정할 때 공신력 있는 공항선택모형이 부족하여 현재의 공항별 국제선 여객비율 혹은 장래 국제선 여객수요의 비율로 공항별 국제선 항공수요를 추정하고 있다. 또한, 기존에 사용된 공항선택모형은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 혹은 2012년이 가장 최근 자료인 법무부 출입국자료를 이용하였다. 공항의 특성상 시기별 변화가 크기 때문에 짧은 기간에 실시한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공항선택모형을 구축하는 것은 신뢰성 부분에서 한계가 있으며, 법무부 출입국자료의 경우 2012년과 현재의 차이는 매우 크므로 데이터 최신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기존연구에서는 연구의 범위가 영남권, 전북권, 수도권 등 광역권역 대상이지만 지방공항에서도 수도권과 타 지역의 이용객이 있으므로 이를 무시할 수 없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범위는 전국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기초자료는 최신 데이터인 2019년 KT 개별이동통신 자료를 활용하여 공항선택모형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이산선택 상황에서 많이 사용되는 다항로짓모형을 이용하여 모형을 구축하였고, 변수는 공항선택 요인 중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공항접근시간, 공항접근비용, 운항횟수를 변수로 선정하였고, 기초자료 분석은 항공 통계를 통해 현재 공항별 국제선 여객 수, 노선별 운항횟수 및 여객 수, 공항별 항공사 현황 등을 파악하였다. 장래 총 국제선 여객 수 및 공항별 국제선 여객 수의 전망을 살펴보고 약 2,600만 개의 KT 개별이동통신 자료를 통해서 공항별 지역별 이용자 분포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공항별 접근시간 및 접근비용을 네이버 지도를 통해서 247개의 각 시·군·구(도시지역 제외)의 대표 지점에서부터 제주국제공항을 제외한 전국의 모든 국제공항과 7개와 장래 이전예정인 가덕도신공항과 대구·경북통합 신공항 2개의 계획 중인 공항까지 총 9개의 국제공항까지의 통행시간 및 통행비용을 구하였다. 앞서 구축한 기초자료와 다항로짓모형을 활용해서 공항선택모형 추정을 위한 자료를 정리한 다음 공항선택 모형을 구축하였다. 개별 공항선택비율을 종속변수로 해서 모형을 추정하는 방법과 공항별 이용객 수에 따라 국제선 이용객 수를 반복 관측으로 가정하여 모형을 추정하는 방법 두 가지의 방법으로 모형을 추정하였으며 각 모형의 통행시간가치 추정을 통해 현실 반영이 더 잘된 모형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모형을 기반으로 점진적 로짓모형을 이용하여 지역별 공항선택확률의 변화를 산정하여 제6차 공항개발 중장기 종합계획의 국제선 총 수요에 적용하여 장래 공항별 이용비율을 추정해보았다. 추정결과 제6차 공항개발 종합계획에서는 인천공항 2019년 대비 인천공항과 기타 공항의 비율이 상승하고 나머지 공항의 이용비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본 연구를 적용한 결과 2019년 대비 지방공항의 이용비율은 증가하고 수도권 공항의 이용비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 이어서 본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는 공항선택모형에 관련된 연구가 계속 진행된다면 여러 공항 타당성 조사 및 공항부문 연구 지침 등에 새로운 수요추정법으로 선정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more

초록/요약

Due to the lack of a credible airport choice model in Korea's present air passenger demand estimation guidelines, the international air demand for each airport is calculated using the ratio of the existing international passenger ratio or the future international passenger demand ratio. Besides, the airport choice model that has been used in the past uses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survey or the immigration data of the Ministry of Justice, which is the most recent data in 2012. Because of the huge change over time, there is a constraint in the reliability of developing the airport choice model using a survey performed in a short period of time owing to the features of airports. Also, the Ministry of Justice immigration data is outdated, the gap between 2012 and the present is quite considerable, necessitating the updating of the relevant data. Although previous research has focused on metropolitan locations such as Yeongnam, Jeonbuk, and the Seoul metropolitan area, other regional airports also serve passengers from the metro area and other places, and this should be consider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this study performs the first empirical research using airport selection model with the latest and national wide data set. The model in this study is based on using the multinomial logit model, which is commonly used in discrete choice scenarios and has been utilized in previous research. In this study, airport access time, airport access cost, and number of flights were choic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among airport choice factors. Furthermore, this study used aviation statistics to identify basic analysis data such as the current number of international passengers by airport, the number of flights and passengers by route, and the status of airlines by airport. Using over 26 million KT individual mobile communication data, this study examined the future prospects of the total number of international passengers and the number of international passengers by airport, and determined the distribution of users by airport and area. Finally, this study calculated the travel time and cost for a total of nine airports, including 7 international airports (except Jeju International Airport) and 2 new airports (Gadeokdo New Airport and Daegu-Gyeongbuk Integrated New Airport), from 247 cities, counties, and districts (excluding urban areas) using Naver maps. The airport choice model was constructed by analyzing the data for estimating the passenger's airport choice using the previously constructed basic data and the Multinomial Logit Model. Based on the choiced model, the change in the airport choice probability by region was calculated using the incremental logit mode and applied to the total international flight demand of the 6th mid- to long-term comprehensive airport development plan to estimate the future use rate for each airport.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ratio of Incheon Airport to other airports grew in the 6th Comprehensive Airport Development Plan compared to Incheon Airport 2019, but the usage ratio of the remaining airports fell. This study showed that the use ratio of regional airports would increase and that of metropolitan airports would decrease compared to 2019.

more

목차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절차 7
1. 연구의 범위 7
제2장 선행연구 고찰 10
제1절 관련 연구 고찰 10
1. 항공 여객수요 10
2. 공항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19
3. 공항선택 모형 22
제2절 선행연구의 시사점 및 본 연구의 차별성 30
제3장 기초자료 분석 32
제1절 항공 통계 32
1. 연도별 공항별 항공여객 현황 32
2. 공항별 노선별 항공여객 현황 35
3. 공항별 항공사별 항공여객 현황 39
4. 공항별 좌석점유율 현황 41
제2절 기존 항공수요예측 42
1. 공항개발 중장기 종합계획 42
제3절 KT 개별이동통신 자료 분석 49
1. 공항별 이용자 분포 52
2. 지역별 공항이용분포 56
제4절 공항별 접근시간 및 접근비용 57
제4장 연구방법론 및 결과 58
제1절 이론적 고찰 58
1. 교통선택 이론 58
2. 자료수집 방법 59
제2절 공항선택모형의 구축 61
1. 국제선 여객의 공항선택 행태 61
2. 공항선택 모형의 구축 및 결과 62
제3절 공항선택모형의 적용 및 사례 분석 66
1. 사례연구 개요 66
2. 점진적 로짓모형의 적용 및 결과 66
3. 제6차 공항개발 종합계획과의 비교 68
제5장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70
제1절 결론 70
제2절 향후 연구과제 71
제3절 정책제언 72

more